[[분류:식기]][[분류:술]] [youtube(lUpg7z7ZVro)] [목차] == 개요 == {{{+3 [[戒]][[盈]][[杯]]}}} == 설명 == 가득 차는 것(盈)을 경계(戒)하는 술잔(杯). 술잔의 일종으로 윗부분은 받침에 술잔을 얹어 놓은 것처럼 생겼지만 아래쪽은 주전자처럼 생겼다. 다른 술잔과 다르게 '''가득 채우려고 할수록 오히려 밑의 구멍으로 술이 떨어진다.''' 이 술잔은 KBS 스펀지 129회에서 소개된 바 있다. 이 술잔은 [[사이펀의 원리]]로 말미암아 많이 채울수록 술이 떨어지게 설계되어 있다. 계영배의 원리는 액체의 압력과 대기압, 중력의 상관관계를 이용한 것이다. 계영배 안쪽을 보면 일반 잔과 다른 점이 있다. 바로 잔 높이의 7부쯤 되는 관이 중심부분에 달려 있는 것이다. 술이 7부 능선을 넘었을 때 바닥의 구멍으로 흘러버리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술이 잔에서 일정 높이만큼 올라와 있다는 것은 그 높이일 때 관 안의 대기압과 (위로 솟아 오르려는) 액체의 압력이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다 술의 높이가 관의 높이, 즉 7부 지점을 넘어서게 되면 술이 흘러내리기 시작한다. 정점을 넘어 긴 관으로 술이 이동한 후에는 액체의 압력이 중력의 방향과 같아지면서 계속 아래로 흐르게 된다. 거기에 더해, 일단 물이 빠지기 시작하면 관 내부는 술이 빠져나간 것만큼 진공이 생기고, 바깥과의 기압차가 생기면서 잔 내부의 술이 모두 관 속으로 빨려 들어간다. 때문에 7부를 살짝 넘긴 후 술 따르는 것을 바로 멈추더라도 술은 바닥의 구멍으로 모두 빠져나가 버리는 것이다. 이렇게 가득 채울수록 술이 떨어진다는 점에서 심히 [[과유불급]]이라는 말을 떠올리게 한다. 어찌 보면 [[알코올 의존증]]자들에게도 경고의 의미를 담은 것일 수 있다.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19472&cid=40942&categoryId=32154|계영배의 유래에 대해 설명한 글]] 참고. 고대 [[중국]]에서 과한 욕심을 경계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사를 지낼 때 비밀리에 만들어진 의기(儀器)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한다. 관련된 일화가 있는데, [[공자]]가 [[제나라]] 환공의 사당을 찾았을 때 그가 생전에 과욕을 경계하기 위해 사용한 의기를 보았다고도 한다. 또 다른 이야기로는 임금에게 [[진상]]하는 물건을 만드는 곳에서 한 도공이 스승도 깨우치지 못한 기술을 익혀서 설백자기라는 뛰어난 도자기를 만들어 이름을 날렸다고 한다. 이로 인해 많은 재물을 벌어들였으나 오히려 방탕한 생활에 탕진해서 빈털터리가 되었다. 그 이후 그는 반성하는 마음으로 스승에게 돌아와서 새로운 작품을 만든 게 바로 이 술잔이라고 한다. 이때 계영배를 설계한 사람이 조선시대 실학자 하백원이며, 술잔을 빚은 이는 당시 이름난 도공이었던 우명옥이라고 한다. [[http://kor.theasian.asia/archives/225631|링크]] 서양에도 같은 원리를 이용한 잔이 있는데, 그 쪽은 [[피타고라스|Pythagorean]] cup이라고 부른다. [[https://en.m.wikipedia.org/wiki/Pythagorean_cup|#]] 피타고라스 컵이라고 부르듯이 이 컵은 피타고라스가 처음 만들었다는 설이 있으며, [[헤론#s-1]]이 제작했다는 설도 있다. 북핵 6차회담에서 미국의 수석대표가 과다한 요구를 제시하는 북한 측을 설득하기 위해 이 술잔 이야기를 한 적이 있다. 중국에서 찍은 코미디 영상은 신기한 방법으로 [[https://www.facebook.com/reel/221867107337048?mibextid=fazHQh|계영배를 구현했다]]. 책상에 잔이 놓여있는데, 책상 밑에 누운 사람이 잔 아래에 연결된 빨대로 잔의 음료를 빨아먹었다. == 창작물에서 == * 소설 <상도>에서 [[임상옥]]은 스승이었던 석숭스님에게 이 잔을 물려 받으며 인생 최후의 위기를 넘긴다. 다만 소설에서는 소설답게(?) 과장을 하여 실제 사이펀의 원리가 아닌 7할 이상의 술을 담았을때 술이 증발해버린다.또한 소설에서는 윗 문단에서 언급한 우명옥이 임상옥의 스승인 석숭스님과 동일인물이라고 묘사하고있다. * 드라마 [[슈룹]] 9화에 등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