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9D00, #FFBE0D 20%, #FFBE0D 80%, #FF9D00)" '''계성후 | 桂城侯[br]{{{+1 왕원 | 王沅}}}'''}}} || || '''작위''' ||''' 계성후(桂城侯)''' || || '''본관''' ||[[개성 왕씨]] || || '''휘''' ||원(沅) || || '''부모''' ||부친 [[신안후|신안후 왕성]] 모친 창락궁주(昌樂宮主) 왕씨[* [[인종(고려)|인종]]의 3녀] || || '''형제자매''' ||{{{#!folding2남 1녀 중 장남 [ 펼치기 · 접기 ] [[계성후|계성후 왕원]](王沅) [[영인후|영인후 왕진]](王稹) [[원덕태후]] 유씨}}} || || '''배우자''' ||수춘궁주(壽春宮主)[* 고려 [[인종(고려)|인종]]의 왕자 [[대령후|대령후 왕경]]의 딸]로 추정 || || '''자녀''' ||'''4남''' 장남 - [[청화후|청화후 왕경]](王璟) 차남 - 하원공 왕춘(王瑃) 삼남 - 수사도 왕희(王禧) 사남 - 왕기(王樭) || || '''생몰연도''' ||연대 미상 || [목차] [clearfix] == 개요 == 고려의 왕족. 이름은 왕원(王沅). 작위는 계성후(桂城侯)다. 沅과 沆의 자형이 비슷한 이유로 수춘후(壽春侯) 왕항(王沆)[* [[최충헌]]의 차남 [[최향(고려)|최향]](崔珦)의 장인으로 사공(司空) 직위를 가진 아들 왕종(王琮)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과도 동일인으로 추정된다. 왕원으로 기록된 것이 1번,[* 《고려사》 종실열전에서 등장] 왕항으로 기록된 것이 4번[* 《고려사》 세가, 고려사절요에서 등장]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본명은 왕항(王沆)인 것으로 추정된다. == 가족 관계 == === 조상 === [[평양공|평양공파]] 왕족으로 조부 한남백(漢南伯) 왕기(王杞)는 [[예종(고려)|예종]]과 [[문경태후]]의 딸 [[승덕공주]](承德公主) 왕씨와 결혼해 아들만 셋을 낳았다. 부친은 그 중 장남인 [[신안후|신안후 왕성]](王珹)이다. 모친은 [[인종(고려)|인종]]과 [[공예태후]]의 딸 창락궁주(昌樂宮主) 왕씨[* [[인종(고려)|인종]]의 3녀]니, 계성후 왕원은 예종의 [[증손|증손자이자 외증손자]]다. 신안후 왕성의 딸로 [[강종(고려)|강종]]의 제2비인 [[원덕태후]]는 계성후 왕원의 누이가 된다. || 본인 || 부모 || 조부모 || 증조부모 || ||<|8> 계성후 왕원[br]{{{-2 (? ~ ?)}}} ||<|4> [[신안후|신안후 왕성]][br]{{{-2 (? ~ 1178)}}} ||<|2> 한남백 왕기[br]{{{-2 (? ~ ?)}}} || 승화백 왕정[br]{{{-2 (? ~ 1130)}}} || || 흥수궁주[br]{{{-2 (? ~ 1123)}}} || ||<|2> [[승덕공주]][br]{{{-2 (? ~ ?)}}} || [[예종(고려)|고려 예종]][br]{{{-2 (1079 ~ 1122)}}} || || [[문경태후]][br]{{{-2 (? ~ 1118)}}} || ||<|4> 창락궁주[br]{{{-2 (? ~ 1216)}}} ||<|2> [[인종(고려)|고려 인종]][br]{{{-2 (1109 ~ 1146)}}} || [[예종(고려)|고려 예종]][br]{{{-2 (1079 ~ 1122)}}} || || [[문경태후]][br]{{{-2 (? ~ 1118)}}} || ||<|2> [[공예태후]][br]{{{-2 (1109 ~ 1183)}}} || [[임원후]][br]{{{-2 (1089 ~ 1156)}}} || || 진한국대부인 이씨[br]{{{-2 ? ~ 1138}}} || === 후손 === * 부인: 고려 [[인종(고려)|인종]]의 왕자 [[대령후]]의 딸 수춘궁주(壽春宮主)로 추정된다.[* 아버지인 [[신안후|신안후 왕성]]이 인종의 딸, 숙부인 한남백(漢南伯) 왕기(王杞)는 [[인종(고려)|인종]]의 장남 [[의종(고려)|의종]]의 딸, 동생인 [[영인후|영인후 왕진]]이 [[인종(고려)|인종]]의 3남 [[명종(고려)|명종]]의 딸과 혼인하는 순차성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덧붙여 장남 [[청화후|청화후 왕경]]의 이름은 [[대령후|대령후 왕경]]의 이름과, 장손 [[승화후|승화후 왕온]]의 이름은 대령후의 장인 [[강릉공|강릉공 왕온]]의 이름과 한자까지 공유한다. [[신종(고려)|신종]] 초 함께 승작되는 왕평, [[광릉공|왕면]], [[영인후|왕진]], 왕우가 모두 [[의종(고려)|의종]]과 [[명종(고려)|명종]]의 사위라는 점도 그 근거다.] * 아들: [[청화후|청화후 왕경]](王璟) * 손자: [[승화후|승화후 왕온]](王溫) * 손자: 단양백(丹陽伯) 왕서(王楈)[* [[희종(고려)|희종]]의 차녀 영창공주(永昌公主)와 혼인] * 증손자: 장양공(長陽公) 왕지(王潪) * 손자: [[영녕공|영녕공 왕준]](王璟) * 손자: 수사공(守司空) 왕정(王珽) * 증손자: 함녕후(咸寧侯) 왕유(王維) * 아들: 하원공(河源公) 왕춘(王瑃) * 손자: 신안공(新安公) 왕전(王佺) * 아들: 수사도(守司徒) 왕희(王禧) * 손자: 수사도(守司徒) 왕규(王珪) * 증손자 한남군(漢南君) 왕경(王敬) * 아들: 왕기(王樭) [각주] [[분류:고려의 왕족]][[분류:개성 왕씨 평양공파]][[분류:몰년 미상]][[분류:고려의 후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