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경희궁)]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2000, #bf1400 20%, #bf1400 80%, #972000)" {{{#ffd400 '''경희궁 흥화문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조선 왕궁의 정문)] ||<-5>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30&height=30]]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ffffff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 || 18호 ||<|2> ← || '''19호''' ||<|2> → || 20호 || || [[수표교]] || '''경희궁 흥화문''' || [[정각원#s-1|경희궁 숭정전]] || }}} || ---- ||<-2>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28]]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ffffff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9호}}}]]''' || ||<-2> {{{#fff {{{+1 '''경희궁 흥화문'''}}}[br]{{{-1 慶熙宮 興化門}}}}}} || ||<-2>{{{#!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include(틀:지도, 장소=경희궁 흥화문, 너비=100%, 높이=100%)]}}}|| || '''{{{#fff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55[br](신문로2가, [[서울역사박물관]]) || || '''{{{#fff 분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궁궐·관아 / 궁궐 || || '''{{{#fff 수량 / 면적}}}''' || 건물 1棟, 토지 303.1㎡ || || '''{{{#fff 지정연도}}}''' || [[1974년]] [[1월 15일]] || || '''{{{#fff 건축시기}}}''' || [[광해군]] 8년 (1616년) || || '''{{{#fff 소유자[br](소유단체)}}}''' || [[서울특별시]] || || '''{{{#fff 관리자[br](관리단체)}}}''' || [[서울역사박물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eunghwamun.jpg|width=100%]]}}} || || {{{#gold ''' 흥화문 '''}}}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희궁]]의 정문이다. == 역사 == 1618년([[광해군]] 10년)에 경덕궁(현재 [[경희궁]])을 창건할 때 지었다. 이후 경희궁에 크고 작은 화재들이 일어났음에도 흥화문은 건재하여 약 300년 간 그 자리를 무사히 지켰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서울종로 경희궁 흥화문 정면.jpg|width=100%]]}}} || || {{{#gold ''' 일제강점기 흥화문 정면[*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193286|사진 출처: 국립중앙박물관. 이 링크에서 사진 다운로드를 할 수 있다.]]] '''}}} || [[1910년]] [[일본 제국|일제]]가 경성중학교를 세우기 위해[* [[서울고등학교]]의 전신 중 하나이다. 공식적으로 서울고는 경성중학교 시절을 자교의 전신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그러나 경성중학교가 있던 경희궁 자리에 들어선 것은 오늘의 서울고등학교다. 서울고등학교의 교지 등에서 '경희'라는 이름이 등장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경희궁의 [[전각]]들을 헐고 몇몇 건물들을 매각하고 이건하면서 흥화문도 1915년 남쪽 담장으로 옮겼다가 [[1932년]]에는 장충동 [[박문사]]에서 사들여 정문으로 사용했다. 그 후 박문사에 영빈관과 [[서울신라호텔]]이 들어서면서 호텔 정문으로 사용되다가 [[1988년]] [[경희궁]] 현재 위치로 옮겨졌다.[* 신라호텔에는 흥화문을 복제한 영빈관(迎賓館)이라는 새 정문을 세웠다.] 경희궁의 정문이었던 흥화문은 원래 궁궐의 동남쪽 모퉁이, 지금의 [[구세군]]회관 빌딩 자리에 동향하여 서 있었다. [[수선전도]]에 따르면 [[종로]]-[[새문안로]]로 직선으로 이어져 있었다. 그러다 [[1915년]] 도로공사로 남쪽으로 이전되었으나, 현재 복원된 흥화문은 원래와 달리 남향으로 되었다. 원래 경희궁에는 동문인 흥화문 외에 흥화문 왼쪽에 [[경희궁 흥원문|흥원문(興元門)]], 오른쪽에 [[경희궁 개양문|개양문(開陽門)]], 서쪽에 [[경희궁 숭의문|숭의문(崇義門)]], 북쪽에 [[경희궁 무덕문|무덕문(武德門)]]이 있었다. == 구조 == * 정면 3칸, 측면 2칸의 다포계 겹처마 우진각지붕이다. 흥화문은 건립 당시에는 다른 궁궐의 정문과 같이 중층으로 세울 것을 고려하기도 했으나 [[인경궁]](仁慶宮)의 정문이 층문(層門)이어서 단층으로 했다고 한다. 그 이유는 경덕궁이 애초에 일시적으로 화재나 유행감염병 등을 피할 때 잠깐만 거처할 피우처(避寓處)였기 때문이다. * 흥화문의 초석과 기둥은 원형이며, 가운데 기둥 열 3칸에는 문짝을 달았다. 문틀 위에는 홍살을 달았고, 기둥 위에는 창방과 평방을 두었다. 천장은 가운데 칸은 연등천장, 좌우 협간은 우물천정으로 되어 있다. 지붕마루에는 취두 · [[용두]] · [[잡상]] 등이 올려져 있다. == 여담 == * 현판 글씨는 조선시대 당시부터 쭉 명필로 인정받아, 밤에도 그 글씨가 빛을 발산한다하여 경희궁을 "야주개 [* 夜照峴-야조현, 밤에도 빛이 비치는 고개] 대궐" 이라고도 불렸다. 현판의 글씨는 '이신'이라는 대신이 썼다고 한다. [* 다만 일제강점기에 촬영된 사진에서 보이는 현판과는 글자의 간격이나 크기 등에서 차이를 보이는데, 이에 따라 현재의 현판은 복원한 것으로 추정된다.] [[분류:경희궁]][[분류: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