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조선의 왕자군]][[분류:서출]][[분류:1596년 출생]][[분류:1644년 사망]][[분류:전주 이씨 경창군파]][[분류:중구역 출신 인물]] [include(틀:다른 뜻1, other1=고려의 경창군 또는 경창부원군, rd1=충정왕)] [include(틀:조선의 왕자/중종 ~ 고종)] ||<-6> '''[[전주 이씨|[[파일:전주 이씨 종문.svg|width=30]]]] [[경창군#s-4.2|{{{#fafad2 전주 이씨 경창군파의 역대 종주}}}]]''' || || 경창군가 역사 시작 || {{{+1 ←}}} ||<-2> '''{{{#fafad2 1대 경창군 이주}}}''' || {{{+1 →}}} || 2대 창원군 이준[* [[임해군]]의 양자로 출계되었다는 말도 있으나, 실은 고려 대상이었던 적이 있을 뿐 입양이 실행되진 않았다. 《선원록》이나 《선원계보기략》에는 양자로 들어간 부분이 나타나지 않으며 《경창군파보》에서도 언급하지 않는다. 이는 창원군이 경창군의 장남인 관계로 가독을 이어야 했기 때문이며, 실제로 임해군의 양자는 경창군의 차남 양녕군 이경이었다.]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51232, #94153e 20%, #94153e 80%, #751232); color: #FFD400" '''조선 선조의 왕자'''[br]{{{+1 '''경창군 | 慶昌君'''}}}}}} || || '''출생''' ||[[1596년]] [[11월 12일]]^^([[음력]] [[9월 23일]])^^ || || '''사망''' ||[[1644년]] [[2월 23일]]^^([[음력]] [[1월 16일]])^^[br]{{{-1 (향년 47세)}}} || || '''묘소''' ||[[경기도]] [[김포시]] [[하성면]] 가금리 가좌골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본관''' ||[[전주 이씨]] || || '''휘''' ||주(珘) || || '''부왕''' ||[[선조(조선)|선조]] || || '''생모''' ||[[정빈 홍씨]] || || '''형제자매''' ||14남 11녀 중 9남 || || '''배우자''' ||군부인 [[창녕 조씨]](郡夫人 昌寧 曺氏) || || '''자녀[* [[http://royal.aks.ac.kr/Ge/JokboPageData?bookId=JSK_WJ_K21047&pid=64045|선원록_출처]]]''' ||{{{#!folding 6남 5녀 [ 펼치기 · 접기 ] 장녀 - [[용인 이씨|이후걸]](李後傑)의 처({{{-3 1613 ~ ?}}}) 장남 - 창원군 준(昌原君 李儁, {{{-3 1614 ~ 1639}}}) 차남 - 양녕군 경(陽寧君 李儆, {{{-3 1616 ~ 1644}}}) 차녀 - 이옥란(李玉蘭, {{{-3 1619 ~ ?}}}) 3녀 - 이말란(李唜蘭, {{{-3 1622 ~ ?}}}) 3남 - 평운군 구(平雲君 李俅, {{{-3 1624 ~ 1662}}}) 4남 - 창성군 필(昌城君 佖, {{{-3 1627 ~ 1689}}}) 서장남 - 창림군 일(昌臨君 佾, {{{-3 1629 ~ 1690}}}) 서장녀 - 이백덕(李百德, {{{-3 1630 ~ ?}}}) 서차남 - 창흥군 수(昌興君 脩, {{{-3 1638 ~ 1704}}}) 서차녀 - 이천금(李千今, {{{-3 1634 ~ ?}}}) }}} || || '''작호''' ||'''경창군(慶昌君)''' || || '''시호''' ||효헌(孝獻)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 제14대 왕 [[선조(조선)|선조]]의 서9남이다. 어머니는 후궁 [[정빈 홍씨]]이다. [[정정옹주(선조)|정정옹주]]의 친동생이며, [[광해군]]과 [[정원군|원종(정원군)]] 등의 이복동생이자[* 조카 [[인조]]보다 1살 어리다.] [[영창대군]]의 이복형이다. == 생애 == [[임진왜란]]이 한창이던 1596년 음력 9월 23일에 [[평안도]] 평양 행궁[* 현 [[평양시]] [[중구역]] 외성동]에서 태어났다. 8살 때인 1603년 경창군(慶昌君)에 봉해지고 [[광해군]] 즉위 후 15살 때인 1610년 [[창녕 조씨]] 조명욱의 딸과 혼례를 올렸다.[* 당시 혼례는 [[정원군|정원군(원종)]]이 주관하였다.] 이후 1617년 음력 11월 [[인목왕후]][* 선조의 계비. 경창군에겐 적모(嫡母).]에 대한 폐비론이 불거졌을 때는 폐비에 찬성하였다.[* 반면, 친누나인 정정옹주 부부는 인목왕후 폐비론에 반대하였다.] [[인조]] 즉위 후에도 왕실의 어른으로 대우받으며 살았다. 1625년 음력 1월 21일에 있었던 [[소현세자]]의 관례를 주관하였고 그 공으로 안구마[* 안장을 지운 말] 1필을 하사받았다. 1628년에는 역모 혐의를 뒤집어 쓴 [[인성군]]에 대한 처벌을 요청하였으나, 1631년(인조 9년)에는 '''경창군 자신'''이 [[이귀]]와 [[김자점]] 등으로부터 폐단을 일으켰다는 이유로 탄핵의 대상이 되었다. 1632년 음력 10월 16일에는 아들 [[양녕군]]이 [[회은군]]의 상소로 인해 역모에 휘말리는 일이 있었다. 당시 양녕군이 경창군의 이복 형 [[임해군]]의 양자로 들어가 있었는데, 경창군이 이러한 양녕군을 위해 남몰래 역모를 꾸민다는 이야기였다. 당시 국청까지 열렸으나 역모 고변이 거짓으로 판명나면서 경창군은 무사하였다. 한편 1636년에는 방한용 모피를 헐값에 사들여 매점매석을 저지르는 바람에 사헌부로부터 또 탄핵을 받았다. 그러나 인조는 이에 대해 별 다른 처벌을 하지 않고 지나갔다. == 사망 == 1644년 음력 1월 16일에 경기도 [[화성시|남양]] 사저에서 향년 49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 [[광해군]], [[인조]] 때 많이 희생된 다른 형제 및 친척들과 달리 그는 정치적으로 희생되지 않고 천수를 누렸다. --[[럭키]] [[가이]]-- 1871년 음력 3월 16일 [[고종(대한제국)|고종]]이 시호 '효헌(孝獻)'을 내렸다. == 여담 == * [[충청북도]] [[제천시]] 천남동 일대를 개간하여 발전시킨 적이 있었다. 그래서 그의 후손들이 이를 기념해 천남동 뜰에 석탑을 세웠다. 이후 마을 개발과정에서 이전 문제가 불거지자 1956년 의림동[* 현재의 한국전력 자리]으로 신축 이전한 제천경찰서에 경창군의 후손들이 석탑을 기증해서 지금까지 제천경찰서 정원에 있다. 기증 이유는 경찰서가 석탑을 안전하게 보존할만한 곳이기 때문이었다고. 단, 수 세월을 거치며 모습이 많이 변해 복원의 목소리가 높다.[[http://www.anewsa.com/detail.php?number=1342113|#]] == 가족 관계[* [[http://royal.aks.ac.kr/Ge/JokboPageData?bookId=JSK_WJ_K21047&pid=64045|선원록]] ] == * '''부왕''' : [[선조(조선)|선조]](宣祖, 1552 ~ 1608) * '''생모''' : [[정빈 홍씨]](貞嬪 洪氏, 1563 ~ 1638) * 누나 : [[정정옹주(선조)|정정옹주]](貞正翁主, 1595 ~ 1666) * '''정부인''' : 군부인 [[창녕 조씨]](郡夫人 昌寧 曺氏, 1594 ~ 1648) - 부사(府使) 증(贈) 좌의정(左議政) 조명욱(曺明勗)의 딸 * '''적장녀''' : 전주 이씨(全州 李氏, 1613 ~ ?) * 사위 : 익찬(翊贊) [[용인 이씨|이후걸]](李後傑) * 외손녀 : 이혜숙(李惠淑, 1631 ~ ?) * 외손녀 : 이말숙(李唜淑, 1634 ~ ?) * 외손녀 : 이애숙(李愛淑, 1638 ~ ?) * 외손자 : 이재악(李載岳, 1647 ~ ?) * 외손자 : 이진악(李鎭岳, 1650 ~ ?) * 외손녀 : 이만애(李晚愛, 1655 ~ ?) * '''적장남''' : 창원군(昌原君) 이준(李儁, 1614 ~ 1639) * 며느리 : 현감(縣監) 한사덕(韓師德)의 딸 군부인 [[청주 한씨]] * 손자 : 청평군 이전(淸平君) 이천(李洤) * 손자 : 청흥정 이헌(淸興正) 이헌(李瀗) * 손자 : 청풍군 이옥(淸豊君) 이옥(李沃) * 적차남 : 양녕군(陽寧君) 이경(李儆, 1616 ~ 1644) - [[임해군]]의 양자로 출계 * '''적차녀''' : 이옥란(李玉蘭, 1619 ~ ?) * 사위 : [[진주 류씨|류연]](柳㝚, 1621 ~ ?) * 외손녀 : 류초원(柳初媛, 1638 ~ ?) * 외손녀 : 류현원(柳賢媛, 1639 ~ ?) * 외손자 : 류창운(柳昌運, 1642 ~ ?) * '''적3녀''' : 이말란(李唜蘭, 1622 ~ ?) * 사위 : [[청송 심씨|심약하]][* 광주부윤 심총의 아들 , 응교 심광세의 손자 , 증 영의정 심엄의 증손자, 병조판서 [[심의겸]]의 고손자](沈若河) * 외손녀 : 심여취(沈女翠, 1643 ~ ?) * 외손녀 : 심여용(沈女容, 1647 ~ ?) * 외손자 : 심방(沈滂, 1652 ~ ?) * 외손자 : 심장(沈漳, 1654 ~ ?) * '''적3남''' : 평운군(平雲君) 이구(李俅, 1624 ~ 1662) - [[신성군]]의 양자로 출계 * '''적4남''' : 창성군(昌城君) 이필(李佖, 1627 ~ 1689) - [[영창대군]]의 양자로 출계 * '''측실''' : 일은(日隱) - 양민 출신 * '''서장남''' : 창림군(昌臨君) 이일(李佾, 1629 ~ 1690) - [[의창군(1589)|의창군]]의 양자로 출계 * 며느리 : 신경진(忠翼) 신경진(申景禛)의 딸 군부인 [[평산 신씨]] * 손자 : 영풍군(永豐君) 이항(李沆) * 손자 : 영평군(永平君) 이완(李浣) * '''측실''' : 득환(得環) - 속(贖) 양민 * '''서장녀''' : 이백덕(李百德, 1630 ~ ?) * 사위 : 구취형(丘就衡) * '''서차남''' : 창흥군(昌興君) 이수(李脩, 1638 ~ 1704) * 며느리 : 박세유(朴世裕)의 딸 군부인 [[고령 박씨]] * 손자 : 고평군(高坪君) 이철(李澈) * 손자 : 고성군(高城君) 이석(李氵+奭) * 손자 : 고릉수(高陵守) 이즙(李濈) * 손녀 : [[동래 정씨|정세혁]](鄭世爀)의 처 * '''측실''' : 애운(愛雲) - 속(贖) 양민 * '''서차녀''' : 이천금(李千今, 1634 ~ ?) * 사위 : [[순흥 안씨]] 현감(縣監) 안집(安㙫) === 후손 === 경창군은 [[창녕 조씨]] 조명욱의 딸과 혼인하여 4남 3녀를 두고, 측실에게서 2남 2녀를 두었다. 조씨 부인은 경창군보다 5년 먼저인 1639년에 사망하였다. 조씨 소생의 차남 [[양녕군]]은 임해군의 양자로 입적되었으나 요절하였고, 3남 평운군은 [[신성군]]의 양자로 입적되었으며 1659년에 수릉관에 임명되었다. 4남은 창성군[* 《선원보략수정의궤(璿源譜略修正儀軌)》 1874년판을 보면, [[영창대군]]의 사후 양자에 지명된다는 내용이 나와 있다.]이다. 장녀는 이후걸에게, 차녀는 류연에게, 3녀는 심약하에게 시집갔다. 측실 소생의 두 아들은 창림군과 창흥군이다.[* 경창군 아들들의 봉호는 조씨 부인의 본관인 [[경상남도]] [[창녕군]]에서 따왔다. 단, 양녕군은 양어머니(임해군 부인)의 본관 [[경기도]] [[양천군]][* 현재 [[서울특별시]] [[강서구(서울특별시)|강서구]], [[양천구]].]에서, 평운군 역시 양어머니(신성군 부인)의 본관 [[황해도]] [[평산군]]에서 따왔다.] 따라서 현재 전주 이씨 [[임해군]]파, [[신성군]]파 구성원의 대부분은 경창군의 후손들이다.[* 왜 대부분이냐면, 일부 구성원은 다른 파에서 입계했기 때문이다.] 조선 말 [[춘생문 사건]]의 주역 중 하나인 [[이도철]][* 서장남 창림군의 7대손.], 의병장이었던 [[이소응(조선)|이소응]][* 서차남 창흥군의 8대손.]이 경창군의 후손이다. === 조선 후기 왕실을 이루다 === 경창군 후손들 중 일부는 조선 후기와 말기에 '''정식으로 왕실의 일원이 되었다.''' 왜냐하면 [[효종(조선)|효종]] 이후 절손한 왕손들이 많아져서 왕실에서는 이들의 후사를 다른 파에서 [[양자(가족)|양자]]를 들여 겨우 잇게 했는데, '''이 때 입양왔던 사람들 대부분이 경창군 후손들이기 때문이다.''' [[선조(조선)|선조]]는 슬하에 아들을 14명 두었다. 그 중 8명은[* [[임해군]], [[광해군]], [[의안군]], [[신성군]], [[순화군]], [[의창군(1589)|의창군]], [[영창대군]], [[영성군(1607)|영성군]].]은 실제 후손이 끊겼고[* 광해군은 [[폐세자 이지|아들 하나]]가 있었으나 후사 없이 죽었다. 영성군 역시 [[회원군(1636)|아들 한 명]]이 있었지만, 그 아들의 대가 끊겨 무려 [[광평대군]]파에서 손자를 입양하여 대를 이었다.], 나머지 6명[* [[정원군|원종(정원군)]], [[인성군]], 경창군, [[흥안군]], [[경평군(1600)|경평군]], [[인흥군(1604)|인흥군]].]은 후사를 남겼다. 여기서 왕통이 이어지는 [[정원군|원종]]의 가계를 제외하면 그 중 그나마 가장 번성한 집안이 바로 경창군파였다. 그래서 양자가 나가더라도 기존의 본가에서 부담을 덜 느낄 수 있었다.[* 흥안군은 [[이괄의 난]]에 엮여 역적으로 죽었기에 그의 후손들은 고려 대상이 아니었다.] * 숙종의 6남(이자 실질적 3남) [[연령군]]의 양자는 경창군의 적장자 창원군의 5대손 [[낙천군|낙천군 이온]]이다.(연령군파)[* 단, 낙천군 역시 친자식이 없어 양자로 [[은신군]]을, 그 은신군도 아들이 없어(...) [[인평대군]]파의 [[남연군|남연군 이구]]를 입적시켜 현재까지 대가 이어져 온다.] * [[정조(조선)|정조]]의 이복동생 [[은전군]]의 양손자이자 [[풍계군]]의 양자는 경창군의 서장남 창림군의 8대손 [[완평군|완평군 이승응]]이다.(은전군파)[* 원래 풍계군의 양자는 [[정원군|원종]]의 2남이자 [[인조]]의 동생 [[능원대군]]의 8대손인 [[이인응|경평군 이호(이세보)]]였다. 그러나 1860년 세도가들을 비판하다가 그들의 눈에 찍혀 파양당했다.] * [[흥선대원군]]의 둘째 형 [[흥완군]]의 양자는 경창군의 9대 종손 이신응의 아들 [[완순군|완순군 이재완]]이다.(연령군파 - 흥완군계).[* 단, 흥완군 이정응은 친 아들 [[완림군 이재원]]이 있었다. 그러나 큰 형 [[흥녕군 이창응]]이 아들을 낳지 못하고 죽어 집안의 종가를 잇게 하기 위해 양자로 보냈는데 흥완군 역시 일찍 죽음으로써 정작 자신의 후계는 없었던 상황이었다.(...) 원래는 흥선군의 장남이자 고종의 친형인 이재면이 양자로 들어갔으나, 고종 즉위 후 이재면이 흥선군의 대를 잇기 위해 돌아갔기 때문에 다시 양자를 들인 것.][* 참고로 완순군 이재완의 양고조부인 낙천군 이온은 이재완의 생가 6대조 이정욱의 동생 이정수의 손자다.(쉽게 말해 친고조부의 6촌)] * [[철종(조선)|철종]]의 이복형 [[영평군 이경응]]의 양자는 경창군의 서차남 창흥군의 9대손 [[청안군(1851)|청안군 이재순]]이다.(은언군파 - 전계대원군계)[* 단 청안군 이재순의 경우 역시 친자가 없어 [[소현세자]]파에서 양자 [[풍선군|풍선군 이한용]]을 입적했다가 그 역시 자식이 없어 [[덕흥대원군]]파인 [[청풍군(1890)|청풍군 이해승]]을 입양해 그 뒤를 이었다.(실제로는 [[월산대군]]의 후손. 월산대군파에서 덕흥대원군파로 입적한 집안 출신이다.)] 이렇게 후기 조선 왕실은 왕통 직계와 소수 종친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경창군의 후손들로 구성되었다. 이에 다른 경창군파 일원들 중에서도 왕실 사람들과 사실상 한 일가처럼 가깝게 지낸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 역대 종주(宗主) === * 1. 경창군 이주(慶昌君 李珘). * 2. 창원군 이준(昌原君 李儁). - 경창군파 1대 사손. 사손(嗣孫)의 댓수는 종주의 댓수에서 '-1' 하면 된다. * 3. 청평군 이천(淸平君 李洤). * 4. 서천군 이황(西川君 李榥). * 5. 이정욱(李廷煜). * 6. 이기(李垍).[* 원음은 '게'인데 경창군파 족보에는 독음이 기로 되어 있다.] * 7. 이유병(李惟秉). * 8. 이술초(李述初).[* 6대 종주 이기의 동생 이재의 아들 이유수의 생자. 7대 종주 이유병과는 5촌 당숙 - 당조카 사이다.] * 9. 이도본(李道本). * 10. 이신응(李愼應).[* 흥선대원군의 둘째 형 흥완군의 양자가 된 완순군의 생부다.] * 11. [[이재곤(1859)|이재곤(李載崑)]].[* 원래 형이 있었는데 흥선대원군의 둘째 형 흥완군의 양자가 되어 나갔기에 그가 사손이 되었다. '''참고로 [[정미칠적]] 중 한 명인 친일파다.'''] * --12. 이원용(李源鎔).--[* 11대 종주 이재곤의 아들로 원래 아버지의 뒤를 이어 종주가 될 예정이었으나 아버지보다 4달 일찍 죽었다.] * 12. [[이해국|이해국(李海菊)]]. * 13. 이해석(李海釋). - 현재 종주.[* 12대 종주 이원용의 양자이자 이원용의 동생 이운용(李沄鎔)의 친자.][* 이재곤 사후, 이미 죽은 이재곤의 장남 이원용의 첫째 아들 이해국(李海菊)이 종주 자리를 바로 물려받았으나 6.25 전쟁 때 실종되고, 친동생 이해백(李海栢)마저 북한군에게 피살당했는데 둘 다 후손이 없어 부득이 이해석이 이원용의 사후 양자가 되어 뒤를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