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경주시 시내버스)] [[파일:새천년미소 2463호 .jpg]]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경주시 CI_White.svg|width=20]] {{{#ffffff 경주시 좌석버스 711번}}}||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경주711노선도.svg|width=100%]]}}} || ||<-2><:>기점||<:>경상북도 경주시 건천읍 화천리(신경주역)||<-2><:>종점||<:>경상북도 경주시 구정동(불국역·불국로타리)|| ||<|2><:>종점행||<:>첫차||<:>07:07||<|2><:>기점행||<:>첫차||<:>08:06|| ||<:>막차||<:>20:23[br]||<:>막차||<:>21:22[br]|| ||<-2><:>배차간격||<-4><:>1일 10회|| ||<-2><:>운수사명||<:>[[새천년미소]]||<-2><:>인가대수||<:>2대|| ||<-2><:>노선||<-4><:>[[신경주역]] - 광명마을 - [[경주대학교]] - 문화중.고교입구 - [[서라벌대학교]] - [[경주고속버스터미널]] - '''천마총후문(구시청)''' - '''팔우정''' - [[동궁과 월지]](박물관네거리) - [[선덕여왕릉]] - [[통일전]] - 통일전삼거리 - [[불국사역|불국역]]·불국로타리 → [[불국사]] → 불국동행정복지센타 → [[불국사역|불국역]]·불국로타리 →이후 역순 || == 개요 == [[새천년미소]]에서 운행 중인 좌석버스 노선으로 [[신경주역]]과 [[경주고속버스터미널]], [[불국사]]를 오간다. == 역사 == * 신경주역, 경주역의 통합이전과 이용객 증가로 인해 [[2023년]] [[2월 27일]]에 [[경주 버스 710|710번 버스]]와 함께 신설됐다. [[경주 버스 1000|1000번 버스]] 개통 이후로 1년도 안 되어 신설된 중요 노선이다. == 특징 == * 상술했듯이 경주역과 신경주역이 통합이전하여 경주역의 관문 기능의 상실과 새로운 관문인 신경주역의 이용객 증가로 인해 신설된다. 또한 이 노선의 신설로 과거 불국사역을 이용하던 시민들의 불국사역의 폐업으로 인한 교통불편도 어느정도 해소되었다. * [[경주 버스 710|710번 버스]]와 함께 경주의 두 번째 700번대 노선이다. 아무래도 경주시에서 원래 좌석 번호로 고안된 [[경주 버스 700|700번]]을 신경주역 착발로 의미를 바꾼 듯 싶다. * 노선 번호에서도 알 수 있듯 [[경주 버스 10, 11|11번 버스]]의 개정판 노선으로 보인다. 하지만 완전한 순환 노선이 아니고 불국동을 바깥쪽으로 한 바퀴 돌고 도로 불국역으로 돌아와 왔던 길을 되돌아간다는 차이가 있다. 결과적으로 불국사행 버스가 감차된 셈. * 일반 시내순환버스 가운데 최초로 옛 경주역을 지나지 않는다.[* 경주시 시내버스 전체로 범위를 넓히면 최초의 옛 경주역 미경유 노선은 [[경주 버스 210]]의 동국대학교 경유 시간대 노선이다.] 원래 경주시 시내버스는 옛 경주역을 지남으로서 시민 승객들도 태우고 관광객도 태우는 형식이었으나 이것은 아예 관광용으로 계획되었는지 시내를 지나지 않고 터미널에서 바로 팔우정으로 간다. === 시간표 === [[2023년]] [[2월 27일]] 기준이다. [[http://www.newsmilebus.com/sub01/bus.asp?idx=121|#]] === 노선 === == 연계 철도역 == *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60]] 일반 철도역: [[신경주역]](KTX, SRT, 무궁화호, 누리로) [[분류:경주시의 시내버스]][[분류:2023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