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경주시 시내버스)] [[파일:새천년미소 2543호 .jpg]]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경주시 CI_White.svg|width=20]] {{{#ffffff 경주시 좌석버스 710번}}}||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경주710번노선도.png|width=100%]]}}} || ||<-2><:>기점||<:>경상북도 경주시 건천읍 화천리(신경주역)||<-2><:>종점||<:>경상북도 경주시 천군동(경주월드)|| ||<|2><:>종점행||<:>첫차||<:>06:30||<|2><:>기점행||<:>첫차||<:>07:15|| ||<:>막차||<:>20:46[br]||<:>막차||<:>21:26[br]|| ||<-2><:>배차간격||<-4><:>1일 14회|| ||<-2><:>운수사명||<:>[[새천년미소]]||<-2><:>인가대수||<:>2대|| ||<-2><:>노선||<-4><:>[[신경주역]] - 광명마을 - [[경주대학교]] - 문화중.고교입구 - [[서라벌대학교]] - [[경주고속버스터미널]] - '''천마총후문(구시청)''' - '''팔우정''' - [[동궁과 월지]](박물관네거리) - [[분황사]] - 북군삼거리 - 한화리조트 - [[보문관광단지]] → 더케이호텔 → 신라밀레니엄파크 →엑스포 → [[경주월드]] →이후 역순 || == 개요 == [[새천년미소]]에서 운행 중인 좌석버스 노선으로 [[신경주역]]과 [[경주고속버스터미널]], [[보문관광단지]]를 오간다. == 역사 == * 신경주역, 경주역의 통합이전과 이용객 증가로 인해 [[2023년]] [[2월 27일]]에 [[경주 버스 711|711번 버스]]와 함께 신설됐다. [[경주 버스 1000|1000번 버스]] 개통 이후로 1년도 안 되어 신설된 중요 노선이다. == 특징 == * 상술했듯이 경주역과 신경주역이 통합이전하여 경주역의 관문 기능의 상실과 새로운 관문인 신경주역의 이용객 증가로 인해 신설된다. * [[경주 버스 711|711번 버스]]와 함께 경주의 두 번째 700번대 노선이다. 아무래도 경주시에서 원래 좌석 번호로 고안된 [[경주 버스 700|700번]]을 신경주역 착발로 의미를 바꾼 듯 싶다. * 210번 동국대 경유, 711번과 더불어 옛 경주역을 거치지 않는 버스다. * 노선 번호에서도 알 수 있듯 [[경주 버스 10, 11|10번 버스]]의 개정판 노선으로 보인다. 하지만 완전한 순환 노선이 아닌, 보문단지만 한 바퀴 돌고 온다는 큰 차이가 있다. 결과적으로 불국사행 버스가 감차된 셈. 또한 선덕네거리에서 좌회전하지 않고 박물관, 동궁과 월지를 경유함으로써 관광 수요를 꽉 잡는다. * 일반 시내순환버스 가운데 최초로 옛 경주역을 지나지 않는다.[* 경주시 시내버스 전체로 범위를 넓히면 [[경주 버스 210]]의 동국대학교 경유 시간대 노선이 옛 경주역을 경유하지 않는 최초의 노선이다.] 원래 경주시 시내버스는 옛 경주역을 지남으로서 시민 승객들도 태우고 관광객도 태우는 형식이었으나 이것은 아예 관광용으로 계획되었는지 시내를 지나지 않고 터미널에서 바로 팔우정으로 간다. 하지만 원래 같은 기능을 하던 10번은 감차되어 연선 주민들의 불편이 약간 우려된다. 그래도 11번에 비해 연선 지역 인구가 적다. 오히려 관광용이라 황리단길이나 일부 유적지 가기 좋아진 편이다. === 시간표 === [[2023년]] [[9월 14일]] 기준이다. [[http://www.newsmilebus.com/sub01/bus.asp?idx=120|#]] === 노선 === == 연계 철도역 == *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60]] 일반 철도역: [[신경주역]](KTX, SRT, 무궁화호, 누리로) [[분류:경주시의 시내버스]][[분류:2023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