京仁水道, 수도길, 수돗길 [[파일:20210531113939.png]] [목차] == 개요 == [[서울]]과 [[인천]]을 이었던 대규모 송수관과 그 상부를 덮었던 도로를 말하며 '수도길'이라고 불렀다. [[조선]] 말기까지의 [[제물포]] 시가지는 [[인천항]] 바로 앞의 어촌이 전부였다.[* 당시까지도 인천의 중심지는 문학동 일대이다.] 이 지역은 바로 앞의 바다와 주변 구릉지 및 산으로 인해 제대로 발달된 수계가 없었으며, 지하수 역시 해수의 영향으로 개발이 어려워서 우물의 용량이 작은 마을 규모인 당시 제물포 인구 정도만 감당해낼 수 있는 정도였다. 조선시대까지 서울로 향하는 해운이 종착하는 항구는 인천이 아닌 [[마포구]]였기 때문에 10여개 집이 오순도순 어촌을 이루고 있던 작은 제물포는 적은 우물만으로도 물 공급에는 문제가 없었다. 그러나 [[일본 제국|일제]]의 [[강화도 조약]]으로 인해 1883년 강제 개항되면서 인천은 당시 [[한성부]]의 물동량을 감당하는 대표 무역항으로 떠오르기 시작했고, 많은 일본인이 정착했다. [[청일전쟁]]이 끝난 1895년에는 4000명의 일본인이 조계지와 그 주변에 모여 살게 되면서 현재의 인천 중구 개항장 일대를 구성하게 되었고, 무역항이 된 인천항에 중국 상인들이 들어와서 [[차이나타운(인천)|차이나타운]]까지 구성, [[상수도]] 시설이 없는 인천은 물 공급이 큰 문제로 떠오르게 된다. 이후 [[러일전쟁]]이 끝난 뒤인 1905년, 일본인 나카지마(中島)가 다른 일본인들과 함께 서울과 인천 사이의 상수도 건설계획을 추진, 설계하였다. 일본인이 많이 사는 용산과 인천 개항장에 상수도를 공급하는 설계였다. 이 설계도에 의하면 수원지는 [[한강]] [[노량진동]][* 현재 노량진동 258번지 한강대교 남단. 현재도 노량진 배수지 공원이 조성된 곳이고, 지하에는 여전히 수도시설이 있어서 [[노량진 배수지 수몰 참사]]가 난 곳이기도 하다.] 일대이고, 급수지역은 서울, 용산, 인천지역이었다. 이 설계도에 따라 1906년 6월 당시 대한제국 정부는 오늘날 재정경제부와 비슷한 국가재정 전반을 다루던 탁지부에 수도국을 두었다. 그런데 재정이 부족해 수도사업에는 엄두를 내지 못했다. 그러던 차에 일본의 [[한국통감부#s-2|한국통감]]이었던 [[이토 히로부미]]가 대한제국 정부에 관세수입을 담보로 일본흥업에서 1천원을 대출받아 상수도 사업을 시행하였다. 1906년 11월 노량진 수원지에서 공사를 시작하여 1910년 10월 준공되었다. 인천 수도국산[* 수도국산이라는 이름 자체가 이 산에 수도국에서 송현배수지를 조성하였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본래 이름은 송림산 또는 만수산]에도 송현배수지를 만들어 물을 저장하게 되었다. 노량진하고 수도국산 사이 32.62㎞에는 지름 500밀리미터 독일제 주철 수도관이 깔렸다. 이 수도관을 땅 밑에 심고 그 위는 흙을 덮어서 폭이 4미터나 되는 당시에는 제일 큰 신작로인 수도길을 만들었다. 수도선로(水道線路)라고 명명했다. 1910년 10월 30일 통수식과 시범급수를 거쳐 12월 1일 급수를 시작하게 되었다. 한국 최초의 수돗물이 송현배수지에 가득 차게 되었다. 이 송현배수지는 부지면적 36,780㎡이고 5,000㎥ 저수조 3개를 갖추고 있었다. 제물포 일대에 하루 2만톤에 달하는 수돗물을 공급했다. 이 물로 일본인 거류민들이 맘껏 식수로 쓰고 목욕물로 쓰고 제물포 일대에 세워지기 시작한 군수공장의 공업용수로도 썼다. 당시 제물포항에 정박하는 일본기선, 서양기선들도 식수를 공급 받았다. == 경로 및 현재 == 경인수도는 상부를 덮은 '수돗길' 혹은 '수도선로'라 불리는 신작로와 함께 개통되었기 때문에 현재에도 서울-인천간에 도로로 흔적이 많이 남아있으며, 일부 시설은 여전히 수도공급을 위해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이 수돗길은 한국이 근대적으로 발전하기 전까지만 해도 [[경인선]]과 함께 [[경인(지역)|경인지역]]을 잇는 주요 교통로중 하나였으며, [[인천상륙작전]] 당시에는 오히려 [[6번 국도]]보다 큰 규모였기에 인천에서 서울 방향 진격에도 국도가 아닌 경인수도 수돗길이 활용되었다. 현재는 크고 좋은 대체 도로가 많이 뚫려서 많은 구간이 이면도로화 되어있지만 연속적으로 연결되어있어 지적편집도 내에서 보면 연속성이 보인다. [[사육신묘]] 근처 현재 노들나루공원에 있었던 노량진 정수장에서 출발한 수도길은 영등포에서 경인선 철도 및 경인로와 엇갈리며 영등포로터리와 오목교를 지나 서울시 서쪽의 김포 정수장으로 올라간다. 김포 정수장은 지금의 [[서서울호수공원]][* (구.신월동정수장) [[신월동(서울)|신월동]]-[[부천시]] 사이는 꽤나 높은 구릉지이다. 개화기 당시 상수도 기술의 한계로 이 고개를 노량진 수원지의 수압만으로 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중간 저수지 겸 정수장으로 활용하기 위해 조성되었다. 현재 호수공원은 이 정수장을 리모델링한 것이다.]이다. 서서울호수공원 근처에서 수도길은 북서방향으로 부천시 고강동을 지나가 서쪽으로 부천 제일시장을 통과한 뒤 남서방향으로 원종동을 지나 부평을 향한다. 오정동 군부대 및 [[경인고속도로]]를 만나고, 신흥동과 도당동 사이의 경계를 이루다가 약대오거리를 넘어 약대동을 관통한 뒤, [[중동신도시]]를 지나(이 구간은 흔적이 거의 없음) 현재 부평중학교 뒤(장제로189,190번길)를 지나 계속되어 현재의 미군부대인 부평 캠프마켓으로 이어진다. 캠프마켓에서 수도길은 장고개(場峴)로(현재는 한국군 군부대가 장고개가 있는 산곡동에 위치하여 민간인 통제지역이다)를 지나 [[주안역]] 북쪽의 옛 염전 근처인 염전로201,202번길을 거쳐 송림삼거리에서 인천서흥초등학교를 지나가는 고개길을 올라 [[동인천역]] 북쪽의 수도국산(水道局山)에서 끝이 난다. 이렇게 저렇게 남아있는 흔적은 아래와 같다. 지적편집도로 보면 대부분 지목이 "수"(수도공급 및 하수도시설)로 되어있다. * 노들나루공원(구.노량진 배수지 공원)([[노량진동]] 258번지, 구 노량진수원지) - [[노량진로]] * [[여의대방로]]62, 61길 - [[영등포로]]57길 - [[경인로]]112길 - 영등포로터리 * [[영등포로]] - [[오목로]] - [[신정중앙로]] - [[화곡고가]]/[[국회대로]] 교차 [* [[목동동로]] - [[목동아파트|목동7단지아파트]] 중앙길 - [[목동로]]25길 - [[국회대로]]7길 - [[강서로]]5나길 - [[곰달래로]]14길 구간은 복개천 구간이다.] * [[강서로]]5나길[* 흔히 화곡동-신월동 복개천 유흥지구로 통하는 지역이다. 해당 구간은 위에서 언급한 복개천 수로와 경인수도 상수로를 동시에 부설한 구간이라 도로 폭이 넓어 도로 양쪽에 주차장을 운영중.] - [[월정로]]17길 - [[남부순환로]]65길 * [[서서울호수공원]](구 신월동정수장) * [[역곡로]]482, 481번길 - [[성지로(부천)|성지로]]102, 101번길 - [[소사로(부천)|소사로]]794, 793번길 - [[성오로]]128, 127번길 - [[상오정로]][* 본 도로보다 한블럭 북쪽의 신월동정수장 - [[역곡로]]490, 489번길 - [[성지로(부천)|성지로]]112, 111번길 - [[소사로(부천)|소사로]]808, 807번길 - [[성오로]]160번길 - (국가보안시설) - [[부천로]]460, 459번길로 이어지는 구간은 신규 간선 수도관 매설 도로. 해방 이후에 경인지역 물 공급이 경인수도만으로는 부족해지자 1959년 신월동정수장-노량진간 상수도 용량 업그레이드와 함께 개설되었다.] * [[수도로(부천)|수도로]][* 당연히 이 도로 이름의 기원은 경인수도이다.] * 약대동에서 인천시계까지는 [[중동신도시]] 개발로 인해 흔적이 사라졌다. * [[충선로]]161번길 - [[장제로]]190, 189번길 - [[부평고등학교]] - [[부평대로]]104번길 * [[부평여자고등학교]] - 부평 창보아파트, 대우아파트 - 부평구건강가정지원센터 * 부평[[주한미군]]기지 내 통과 - 인천산곡남초등학교/산곡여자중학교 - 마장로204번길 - 부평[[주한미군]]기지 내 통과 * [[장고개로(인천)|장고개로]] - 인천교공원[* 과거 이곳은 서해바다가 들어오던 뻘밭으로, 인천교라는 다리가 들어서있다가 매립되었다. (이곳에서 경인수도와 교차하는 [[방축로(인천)|방축로]]는 바로 과거 인천 앞바다의 방조제인 방축이었다.) 인천교가 세워지기 이전에는 '''수도나루'''라고 불렸던 위치이다.] - [[염전로]]201번길, 144번안길, 202번길 - [[송림로(인천)|송림로]]201번길 및 본선 - [[송림로(인천)|송림로]]157번길 - [[육송로]]44번길 - [[샛골로]]194, 193번길 - [[안송로]]113번길 * 송현근린공원(구 송현배수지, 수도국산. 경인수도 종점.) [[분류:도로]] [[파일:22220210531114055.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