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덕수궁)] ||<-5>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장.svg|width=26]]]]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ffffff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 || 266호 ||<|2> ← || '''267호''' ||<|2> → || 268호 || || 대구 옻골마을 옛 담장 || '''경운궁 양이재''' || [[최순우 옛집|서울 성북동 최순우 가옥]] || ---- ||<-3> {{{#fff '''{{{+1 서울교구장 공관}}}'''[br]서울敎區長 公館 | Bishop's Office of Diocese of Seoul}}} || ||<-3>
[[파일:정부상징.svg|width=22]]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f39100 대한민국 국가등록문화재 제267호}}}]]''' || ||<-3> {{{#683235 {{{+1 '''경운궁 양이재'''}}}[br]{{{-1 德壽宮 養怡齋 | Yangijae of Gyeongungung}}}}}}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경운궁 양이재, 너비=100%, 높이=100%)]}}} || ||<-2> {{{#fff '''소재지'''}}} || [[서울특별시]] [[중구(서울)|중구]] [[세종대로|세종대로21길]] 15 ([[중구(서울특별시)/행정#s-4|정동]]) || ||<-2> {{{#fff '''수량 / 면적'''}}} || 1동 1층, 연면적 145㎡ || ||<-2> {{{#fff '''건축시기'''}}} || [[1905년]] {{{-1 (창건) }}}[br][[2006년]] {{{-1 (리모델링)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seoultimes.net/20818_16089_4524.jpg|width=100%]]}}}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경운궁 양이재.jpg|width=100%]]}}} || || {{{#683235 '''경운궁 양이재'''}}} || {{{#fff '''서울교구장 공관'''}}} || [목차] [clearfix] == 개요 == 양이재는 [[덕수궁|덕수궁(옛 경운궁)]] 소속이었던 건물로, [[대한제국]] 시기 [[황족]]과 [[귀족]]의 자제 교육을 전담하던 [[수학원]]으로 쓰였던 곳이다. [[조선왕조]]에서 마지막으로 지은 공립 건물들 중 하나이다. == 역사 == 1905년([[광무]] 9년)에 지었다. [[일제강점기]]인 1912년 [[성공회 조선교구|조선교구]][* 현재의 [[서울]], [[성공회 대전교구|대전]] 교구의 전신.]에서 임대하여 쓰다가 1920년에 매입한 후 [[성공회 조선교구|조선교구]] 주교관으로 사용했고, 이후 1965년 [[서울교구]] 설립 이후부터 [[성공회 서울교구장]]의 공관으로 사용 중이다. [[문화재청]]에서 2006년 9월 19일에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267호로 지정하였다. 지정 이후 문화재청의 보조금을 지원받아 [[서울교구]]에서 리모델링을 하였다. == 구조 == * 정면 7칸, 측면 4칸으로 구성된 규모로, 외형상 [[삼군부]] 총무당처럼 일반적인 [[조선시대]]의 관아 건물 형태이다. [[덕수궁|경운궁(덕수궁)]]에 있던 시절에는 행각과 꽃담으로 건물 주변을 에워쌓았다. 그 일곽은 홍원(紅園)이라 불렸으며 홍원 일곽은 1906년([[광무]] 10년) ~ 1910년([[융희]] 4년)까지 황족과 귀족의 자제 교육을 전담한 수학원으로 쓰였다. * 내부에는 온돌방과 마루, 누마루가 있었으며, 지붕에는 양성 바름에 용두(龍頭)를 써서 격조를 높였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양이재 뒷모습.png|width=100%]]}}} || || {{{#683235 '''함희당과 연결되어있던 복도각과 뒤편의 모습'''}}} || * 초기에는 함희당(咸喜堂)이란 건물과 연결되어 있었으나 함희당은 1960년에 헐렸고 현재는 양이재만 남아있다. 다만 양이재 뒷편에 [[복도]]가 일부 남아있어 함희당과 연결되었던 흔적을 볼 수 있다. == 여담 == * [[덕수궁]]과 담장을 경계로 하고, [[서울대성당]] 경내에 있는 이곳 주변에는 [[구한말]] 당시 세계정세를 이끌던 초강대국 영국 대사관이나 여러 서양 대사관, 개신교회 등이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경운궁중건도감 의궤 - 양이재.pn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함희당 의궤.png|width=100%]]}}} || ||<-2> {{{#683235 '''《경운궁영건도감의궤》의 양이재(왼쪽)와 함희당(오른쪽)'''}}} || * 1905년([[광무]] 9년)에 세워졌을 당시, 경운궁 공사보고서인 《경운궁중건도감의궤》에는 [[덕수궁 중화전|중화전(中和殿)]]을 비롯한 주요 건물 11채만 따로 도면을 그렸는데 양이재와 함희당도 그 중 하나이다. [[분류:덕수궁]][[분류:대한성공회]][[분류:성공회 서울교구]][[분류: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