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신라왕릉)] || {{{#fbe673 '''경애왕릉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경주역사유적지구)] ---- [include(틀:경애왕)] ---- }}} || || [[파일:정부상징.svg|width=28]] '''[[대한민국의 사적|{{{#f39100 대한민국의 사적}}}]]''' '''{{{#f39100 제222호}}}''' || || {{{+1 {{{#fff '''경애왕릉'''}}}}}} {{{-1 {{{#fff 景哀王陵}}}}}} {{{-1 {{{#fff }}}}}} || || {{{#!wiki style="margin: 0 -12px; border-right: 2px solid transparent; border-left: 2px solid transparent"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 '''{{{#fff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배동 산73-1번지 || || '''{{{#fff 분류}}}''' || 유적건조물/무덤 || || '''{{{#fff 면적}}}''' || 2,273㎡ || || '''{{{#fff 지정연도}}}''' || [[1971년]] [[4월 28일]] || || '''{{{#fff 제작시기}}}''' || [[신라]] || ||<-2> '''{{{#fff 위치}}}''' || [include(틀:지도, 장소=, 너비=360)]}}}}}}}}} || [[파일:external/www.cha.go.kr/2016012713492200.jpg]]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3,02220000,37|경주시에서 가져온 사진]] [목차] == 개요 == 景哀王陵 [[경상북도]] [[경주시]]에 위치한 [[신라]] 55대 왕 [[경애왕]]의 무덤이다. [[대한민국의 사적|사적]] 제222호로 지정되었다. 경애왕은 신라 최말기의 왕으로 성은 박씨이고 휘는 위응으로 재위 4년 [[포석정]]에 유연할 때 불의에 [[후백제]] [[왕]] [[견훤]]의 습격을 받아 비참한 최후를 마쳤다.[* 927년 포석정에서 연회를 베풀면서 회장에서 모두들 흥에 겨우고 있었는데 갑자기 견훤과 그의 군사들이 습격해 경애왕에게 자살을 명령하고 왕비와 궁녀를 견훤과 그의 군사들이 욕보이게 한 뒤 [[김부]](56대 [[경순왕]])를 왕에 자리에 올렸다.] == 상세 == '''경주에 만들어진 마지막 왕릉이다.''' 일생을 마친 포석정에서 가깝다면 가까운 1.5km 정도 거리에 있다. 근처에 박씨 왕들의 왕릉인 [[배동 삼릉]]이나 [[오릉]]이 있어 경주 시가지 서남부의 이 지역이 박씨 왕조의 능원으로 조성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주변에 송림이 울창하고 봉토가 일반 묘보다는 크므로 왕릉으로 구전되어 오고 있다. 릉은 평범한 원형 토분이고 표면에는 아무 시설이 없다. 릉 앞에 석상이 있으나 최근에 설치한 것이다. [[경애왕]]의 최후와 당시 [[신라]]의 국세가 재기할 수 없을만큼 기울었다는 정세를 감안하더라도 왕릉으로서는 빈약한 편이다. 어쩌면 견훤이 고의로 저렇게 만들 것을 명령한 것일수도 있다. 자신이 죽인 왕의 무덤을 선대 신라왕급으로 화려하게 만들 경우 견훤 본인의 위상이 그만큼 추락하기 때문이다. 다만 현재 [[일성왕릉]]으로 불리는 [[일성 이사금]]의 무덤을 경애왕의 진짜 무덤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신라왕릉]] 문서에도 나와있듯이 고고학적 지식이 부족하던 [[조선시대]]에 비정된 것이기 때문에 경애왕의 진짜 무덤이 아닐 가능성은 충분하다. [[분류:경애왕]][[분류:신라왕릉]][[분류:경주역사유적지구]][[분류:대한민국의 사적]][[분류:경상북도의 무덤]][[분류:경주시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