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조선의 공주]] [[분류:1393년 출생]] [[분류:1415년 사망]] [include(틀:조선의 왕녀/익조 ~ 연산군)]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51232, #94153e 20%, #94153e 80%, #751232); color: #FFD400" '''조선 태종의 왕녀[br]{{{+1 경안공주 | 慶安公主}}}'''}}}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경안공주묘.jpg|width=100%]]}}} || ||<-2> {{{#ffd400 {{{-2 제간공 권규·경안궁주 묘역 전경}}}}}} || || '''출생''' ||[[1393년]]^^([[태조(조선)|태조]] 2년)^^ || || '''사망''' ||[[1415년]]^^([[태종(조선)|태종]] 15년)^^ [[6월 8일]]^^([[음력]] [[4월 22일]])^^[br]({{{-2 향년 23세}}}) || ||<|2> '''능묘''' ||제간공 권규·경안궁주 묘역[* [[경기도]] 기념물 제214호] || ||[[경기도]] [[여주시]] [[점동면]] 덕평리 산9-1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본관''' ||[[전주 이씨]] || || '''부왕''' ||[[태종(조선)|태종]] || || '''모친''' ||[[원경왕후]] || || '''부군''' ||길창군 [[권규]](吉昌君 權跬) || || '''자녀''' ||'''슬하 2남 1녀''' 장남 - 권담(權聃) 차남 - 권총(權聰) 장녀 - 조졸 || || '''봉호''' ||경안궁주(慶安宮主) → '''경안공주(慶安公主)'''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 제3대 왕 [[태종(조선)|태종]]과 [[원경왕후|원경왕후 민씨]]의 셋째 딸. 또한 [[양녕대군]], [[효령대군]], [[세종대왕]], [[성녕대군]]에게는 셋째 누나가 된다. == 생애와 사망 == 경안공주는 1393년 당시 [[정안군]] 이었던 아버지 태종과 어머니 [[원경왕후]] 민씨 사이에서 셋째딸로 태어났다. 태종이 즉위하면서 경안궁주로 책봉되었다. 1403년 12월 18일 [[권근]]의 아들이자 이존오의 외손자인 남편 길창군 권규와 혼인하여 2남 1녀를 두었다.[* [[태종실록]] 6권, 태종 3년 12월 18일 신묘년] 1415년(태종 15년) 4월 22일, 2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태종은 경안공주의 병을 치료하는데 있어 의관 양홍달의 과실이 있었다 하여 그 신분을 폐하여 서인으로 만들었다.[* [[태종실록]] 35권, 태종 18년 4월 6일 병술. 태종이 금지옥엽으로 아끼던 경안공주와 성녕대군 모두를 제대로 진료하지 못하여 벌을 주었다.] 이후 경안공주의 남편인 권규 마저 요절하였기 때문에 경안공주의 자녀들은 궁에서 길러졌다.[* [[성종실록]] 114권, 성종 11년 2월 11일 신유년] >경안 궁주의 졸기 >경안 궁주(慶安宮主)가 졸(卒)하였다. 궁주(宮主)는 임금의 세째 딸인데, 나면서부터 정숙하고 예뻤으며, 총명과 지혜도 보통 사람과 달라서, 임금과 중전[兩宮]의 사랑을 한데 모았었다. >길천군(吉川君) 권규(權跬)에게 시집가니, 부덕(婦德)이 있어서 시부모를 섬기는데 예절을 극진히 하였고, 가정을 다스림에 법도가 있었다. >죽으니 나이가 23세로서, 아들 둘과 딸 하나를 낳았다. 임금이 애도(哀悼)하여 3일 동안 조회를 정지[輟朝]하였다. 집안이 가난하여 대·소염(大小斂)에 소용되는 물건이 부족하므로, 명하여 상의원(尙衣院)의 의대(衣襨)로 부의(賻儀)를 주게 하고, 장사는 종친(宗親)의 상등례(上等禮)를 쓰게 하였다. >권규가 불사(佛事)를 행하지 못하게 청하여, 한결같이 《예경(禮經)》의 제도에 따랐다. 궁주와 충녕 대군(忠寧大君)은 천성과 기품이 서로 닮아서, 궁중에서 그 어짊[賢]을 함께 일컬었다. >궁주는 매양 충녕의 덕기(德器)가 날로 이루어짐을 감탄하였으니, 보통 사람이 아니었다. >[[https://sillok.history.go.kr/id/kca_11504022_003|태종실록 29권, 태종 15년 4월 22일 기축 3번째기사 1415년 명 영락(永樂) 13년]] == 대중매체 출연 == * [[용의 눈물]]에서는 친딸이 아닌 민씨 집안에서 온 양녀로 29화, 30화, 31화에 등장한다. [[정안군]]이 [[명나라]]에 사신으로 가 생사가 위태로워지자 [[하륜]]이 [[원경왕후|정안군부인]] 민씨에게 [[권근]]의 아들과 딸을 혼인시키라 권한다. 나한테 무슨 딸이 있느냐하자 하륜이 민씨 집안의 규수 중 하나를 뽑아 양녀로 삼고 혼맥을 맺으라 계책을 준다. 즉 권근의 아들에게 시집간 경안공주를 양녀로 둔갑시킨 것으로 경안공주는 원래 정안군부인의 셋째 딸이 맞다. * [[태종 이방원(드라마)]]에 등장하였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전주 이씨 가문(태종 이방원), 앵커=경안공주)] == 가족관계 == * 조부 : [[태조(조선)|태조]](太祖, 1335 ~ 1408) * 조모 : [[신의왕후]] [[청주 한씨|한씨]](神懿王后 韓氏, 1337 ~ 1391) * 부 : [[태종(조선)|태종]](太宗, 1367 ~ 1422) * 모 : [[원경왕후]] [[여흥 민씨|민씨]](元敬王后 閔氏, 1365 ~ 1420) * 언니 : [[정순공주]](貞順公主, 1385~1460) * 언니 : [[경정공주]](慶貞公主, 1387 ~ 1455) * 동생 : [[양녕대군]] 이제(讓寧大君 李褆, 1394 ~ 1462) * 동생 : [[효령대군]] 이보(孝寧大君 李補, 1396 ~ 1486) * 동생 : [[세종(조선)|세종]](世宗, 1397 ~ 1450) * 동생 : [[정선공주]](貞善公主, 1404 ~ 1424) * 동생 : [[성녕대군]] 이종(誠寧大君 李褈, 1405 ~ 1418) * 부마 : 길창군 [[권규]](吉昌君 權跬, 1393 ~ 1421) - [[권근]](權近)의 아들 * 장남 : 권담(權聃, ? ~ 1439) * 며느리 : [[연일 정씨]](延日 鄭氏) - 정연(鄭淵)의 딸 * 손녀 : 권영금(權英今) - 김현석[* [[김문기(조선)|김문기]]의 장남](金玄錫)에게 출가 * 며느리 : [[함양 박씨]](咸陽朴氏) * 차남 : 권총(權聰, 1413 ~ 1480) * 며느리 : [[전주 최씨]](全州 崔氏) - 찬성 증 좌의정 최사강(贊成 贈 左議政 崔士康)의 딸, [[함녕군]]의 부인과 [[금성대군]]의 부인과 자매, [[임영대군]]의 부인의 고모 * 장녀 : 조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