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광역자치단체 청사)] ||<-3> [[경상남도|[[파일:경상남도 휘장.svg|width=20]]]][br] {{{+2 {{{#000 '''경상남도청'''}}}}}}[br]{{{#000 慶尙南道廳 | Gyeongsangnam-do Provincial Hall}}} || ||<-3> {{{#!wiki style="margin: -16px -11px"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경상남도청.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경상남도청, 너비=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경상남도청 서부청사, 너비=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2 본청}}}}}} || {{{#!wiki style="margin: -5px -10px" {{{-2 서부청사}}}}}} ||}}} || ||<|2> '''주소''' ||<-2>[[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중앙대로(창원)|중앙대로]] 300 ([[봉림동(창원)|봉림동]]) {{{-2 (본청)}}} || ||<-2>[[경상남도]] [[진주시]] [[월아산로]] 2026 ([[초전동]]) {{{-2 (서부)}}}[* [[홍준표]] 지사 시절 진주의료원을 폐원하고 그 부지에 설치하였다.] || || '''국가''' ||<-2>[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광역시도''' ||<-2>[[경상남도]] || || '''직원 수''' ||<-2>1,450명[* 국가직 공무원 제외] || || '''예산''' ||<-2>12조 1,007억 원 ([[2023년]]) || || '''도지사'''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박완수]] {{{-2 (초선)}}}[* 민선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8]]기] || || '''부지사''' ||<-2>[[최만림]] {{{-2 (행정)}}}[br][[김병규]] {{{-2 (경제)}}} || ||<-3> [[https://www.gyeongnam.go.kr/index.gyeong|[[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facebook.com/gsndkorea|[[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instagram.com/gsnd_korea/|[[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크기=20, 링크=gyeongnamdo)] | [[https://story.kakao.com/ch/gyeongnamstory|[[파일:카카오스토리 아이콘.svg|width=20]]]] | [[https://blog.naver.com/gnfeel?proxyReferer=http%3A%2F%2Fwww.gyeongnam.go.kr%2F|[[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경상남도청_(3x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경상남도 서부청사_3x2.jpg|width=100%]]}}} || || {{{#white '''경상남도청'''}}} || {{{#white '''경상남도 서부청사'''}}} || [[경상남도]]의 행정을 총괄하는 기관이자 그 기관이 입주한 건물. 경상남도청 본청 바로 맞은 편에는 [[경상남도의회]]가 자리잡고 있다. == 연혁 == === 근대 === || [[파일:external/www.gnnews.co.kr/img_224241_2.jpg|width=100%]] || [[1896년]] [[경상도]]를 [[경상남도|남]][[경상북도|북]]으로 나누면서 이후 [[1925년]] [[3월]]까지 [[진주시|진주]]에 최초의 경상남도청이 설치되었다. [[도청(행정)|도청]] 건물이 있던 곳은 현 진주시 남성동 73-10-11번지. 지금의 [[진주성]] 안쪽으로, 이곳에 최초의 경상남도관찰부청사가 설치되었으며 당시 건물의 명칭은 선화당이였다. || [[파일:external/cms.donga.ac.kr/im_20140422.gif|width=100%]] || 도청이 진주군에 있던 시절 [[부산광역시|동래부]]는 흔한 경남의 소도시였지만, 부산이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점점 큰 도시가 된 데다 [[부산항|항구]]를 끼고 있어 대륙 진출에 용이한 이점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조선총독부|총독부]]는 진주를 포함한 경남 서부 주민들의 [[민란]]을 방불케하는 격렬한 반대[* 시위나 반대성토대회는 양반이고, 아예 시청 건물에 대한 테러와 지사[[관사]]까지 포위하여 반대의 뜻을 밝힌 무리도 있었다고 한다. 비슷하게 공주도 충청남도청 이전 당시 조선인 일본인 구분할 거 없이 격렬하게 반대했기 때문에 결국 야반도주하다시피 대전으로 이전했다.]를 [[까라면 까|찍어누르고]], 당시 자혜병원 건물로 짓고 있던 본 청사를 돌연 도청 청사로 용도변경하는 꼼수를 쓴 끝에 [[1925년]] [[4월 1일]] [[부산광역시|부산부]]로 [[도청(행정)|도청]]을 이전하였다. 중후한 서양식 벽돌건물로 [[6.25 전쟁]] 때는 [[북한군]]에 점령당한 [[서울특별시|서울]]의 [[중앙청]] 대신 임시수도 정부청사로 기능하기도 했다. 이 건물은 경남도청이 옮겨간 이후 한동안 [[부산지방법원]], [[부산지방검찰청]]으로 사용되다가 ([[부산고등법원]]은 사진의 왼쪽에 보이는 회색 건물에 있었다. 현재는 [[동아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부산지법과 부산지검의 [[거제동]] 이전 후 [[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으로 쓰고 있다. 그러나, 당시의 부산은 이미 [[1963년]]부터 내무부 직할의 부산시였으며, [[1981년]]에 정식으로 '부산직할시'의 명칭을 얻었을 때도 이미 [[경상남도]] 행정에서 분리된 지 20년 가까이 된 시점이었다. 이에 진주군은 다시금 도청을 품고자 경남도청의 진주환원 운동을 벌이기 시작했으나, 일제강점기부터 산업화시기를 거치며 경남의 새로운 대도시로 떠오른 경쟁자가 있었으니, 바로 1900년대 초부터 부산와 함께 부(府)로 승격되었던 [[마산시|마산]]이었다. 일제시기 진주의 도청 부산이전 반대운동으로 증명된 진주시민과, 전국 최고 [[전투민족]]이던 [[마산아재|마산시민]]간의 도청 이전을 두고 벌이는 각축전은 살벌했는데, 같은 경상남도 소속 도시임에도 [[영호남 지역갈등]]을 연상케하는 '''[[LG|진주 출신 국회의원 회사]] 물건 쓰지 말기'''[* 해당 인물은 [[구태회]].]운동이나 '''[[무학(기업)|마산에서 만든 술]] 마시지 말기''' 등의 --[[병림픽]]-- [[동족혐오|사소한 분야까지 파고들게 되었다.]] [youtube(GV4iyd8DXJE)] 그렇게 진주와 마산이 이렇게 서로의 자존심까지 내려두고 격렬히 싸웠고, 승자는 이 싸움과는 전혀 상관없던 [[창원시(통합 이전)|창원시]]가 [[어부지리|되었다]]. 다만 예나 지금이나 마산과 창원의 관계를 볼 때 사실상 마산이 이긴 거라고 봐도 무방한 상황이다.[* 당장 [[마산시]]와 옛 창원시는 지리적으로 바로 붙어 있으며, 통합 이전에도 양 도시간에는 '''시내버스를 공동 운행할 정도로''' 시내버스 노선 체계를 함께 공유했고, 택시 요금 할증도 받지 않았고, 전화요금도 시내요금으로 취급하는 등 사실상 한 도시였다. 그렇기 때문에 통합을 할 수 있었던 것.] === 현대 === 위에서 언급한 진주와 마산간의 치열한 도청 유치전은 [[1983년]] 신흥 공업도시인 창원시에 도청이 유치되며 종결되었다. 창원공업단지 건설을 위해 마산시 창원출장소에서 출발한 것이 옛 창원시의 기원이므로 사실상 진주의 처참한 패배라 할 수 있는데, 창원은 훗날 계획 인구인 30만을 넘어 50만을 초과한 대도시로 성장하면서 모태라 할 수 있는 마산과 이웃의 [[진해구|진해]]까지 합병하여 100만 규모의 대도시로 발전하였다. === 서부 청사 === [[파일:경남서청사 조감도.jpg]] [[파일:경남도청 서청사.jpg]] [[2015년]] [[12월 17일]] 옛 [[진주의료원]] 건물에 경상남도 서부청사가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12/15/0200000000AKR20151215023800052.HTML|개청하였다.]] 진주에서는 [[1925년]] 이후 90년 만의 도청의 귀환이라고 하며 환영하고 있다. 그런데 출장소에 대한 조례를 제정하지 않은 탓에 서부청사를 [[출장소]]로 보아야 할지 단순한 도청의 별관으로 봐야 할지 논란이 있다. 결국 [[https://www.law.go.kr/LSW/ordinInfoP.do?ordinSeq=1389356|경상남도 행정기구 설치 조례]]의 제12조와 [[https://law.go.kr/LSW/ordinInfoP.do?ordinSeq=1205683|경상남도 청사 관리 및 운영에 관한 조례]]의 제3조를 개정하여 서부청사를 도청의 별관으로 처리하였다. 일례로 도청 조직도에서도 서부지역본부는 본청의 소속으로 되어있다. 도의 제2청사를 출장소가 아닌 본청으로 하는 사례는 경기도에 이어 두번째이다. [[진주의료원 폐업 사태]] 문서도 참고. === [[경남도청 진주 이전요구|도청 진주 환원 요구]] === 2022년부터 지방자치법 개정으로 창원시에 [[특례시|100만 대도시 특례]]가 부여되면서, 진주 정치권과 일부 시민단체에서 진주로의 도청 환원을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특례시는 광역시 승격과 같은 별개의 지방자치단체로 분리되는 것이 아니며 오히려 광역시 승격으로 발생하는 비효율을 배제하면서 고도의 자치권을 부여하자는 취지에서 도입되는 제도이므로 이들의 주장은 근거가 부족하다.[* 특례시 제도의 모델이라 할 수 있는 일본의 [[정령지정도시]]들의 사례를 보면 정령지정도시 지정 이후에도 기존의 광역자치단체 청사가 이전한 사례가 없다. 광역시 승격과 함께 도청신도시를 만들어 행정중심지와 생활권 중심지를 분리시켜 왔던 한국의 지방행정제도는 매우 비효율적인 것으로 지금도 비판의 목소리가 높다.] 또한 경상남도 인구와 도의회 의석의 1/3을 차지하고 있는 창원시의 위상을 고려하면 도청사 이전은 현실성이 없으며, 설사 창원시가 광역시 승격으로 분리되어 나간다고 하더라도 혁신도시를 이미 차지한 진주시가 도청신도시까지 가져가도록 다른 지자체가 방관하고 있을 가능성은 전무하다. 창원시의회에서는 물론 가당치도 않은 소리라 반발하면서 서부청사 창원 복구를 주장하는 등 반격에 나섰다. 일각에서는 [[갈상돈|이 단체를 주도하고 있는 인사]]가 지난 지방선거에서 단체장에 출마하여 낙선한 것을 들어 ‘선거용’ 포석일 수도 있다는 정치적 해석도 제기하고 있다. [[http://www.g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0839|기사]] == 조직 == [[https://www.gyeongnam.go.kr/index.gyeong?menuCd=DOM_000000106001007000|해당 홈페이지]]로. === 휘하 시/군청 === [include(틀:경상남도의 기초자치단체 청사)] === 산하기관 === [include(틀:경상남도 산하기관)] ==== 지방공기업 ==== * [[경남개발공사]] ==== 지방출연기관 ==== * 경상남도청소년지원재단 * 경남신용보증재단 * 경남연구원 * 경남테크노파크 * 경남로봇랜드재단 * 경상남도람사르환경재단 * 경남문화예술진흥원 * [[경상남도마산의료원]] * 경남한방항노화연구원 * 경상남도장학회 * 경상남도사회서비스원 * 경상남도관광재단 * 경상남도여성가족재단 * 경상남도투자경제진흥원: 구 경상남도경제진흥원 * 경상남도평생교육진흥원 ==== 지방출자기관 ==== * (주)경남무역 == 역대 도지사 == [include(틀:역대 경상남도지사)] * [[경상남도지사]] 참조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본청 === ==== [[버스]]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dddddd '''경남도청/경남도의회/병무청/도립미술관(108905·108906·108915·108916·119128·119129)'''}}}}}} || ||<-2> '''[[창원시 시내버스]]''' || || [[간선버스|{{{#ffffff 간선버스}}}]]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F7CDC; font-size: .95em" [[창원 버스 100|{{{#ffffff 100}}}]]}}}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F7CDC; font-size: .95em" [[창원 버스 101|{{{#ffffff 101}}}]]}}}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F7CDC; font-size: .95em" [[창원 버스 110|{{{#ffffff 110}}}]]}}}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F7CDC; font-size: .95em" [[창원 버스 122|{{{#ffffff 122}}}]]}}}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F7CDC; font-size: .95em" [[창원 버스 150|{{{#ffffff 150}}}]]}}}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F7CDC; font-size: .95em" [[창원 버스 156|{{{#ffffff 156}}}]]}}} || || [[지선버스|{{{#ffffff 지선버스}}}]]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창원 버스 213|{{{#ffffff 213}}}]]}}}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창원 버스 215|{{{#ffffff 215}}}]]}}}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창원 버스 220|{{{#ffffff 220}}}]]}}}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창원 버스 221|{{{#ffffff 221}}}]]}}}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창원 버스 222|{{{#ffffff 222}}}]]}}}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창원 버스 223|{{{#ffffff 223}}}]]}}} || || [[좌석버스|{{{#ffffff 급행좌석버스}}}]]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32A09; font-size: .95em" [[창원 버스 3000|{{{#ffffff 3000}}}]]}}}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32A09; font-size: .95em" [[창원 버스 3004|{{{#ffffff 3004}}}]]}}}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32A09; font-size: .95em" [[창원 버스 3005|{{{#ffffff 3005}}}]]}}} || || [[좌석버스|{{{#ffffff 직행좌석버스}}}]]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32A09; font-size: .95em" [[창원 버스 730|{{{#ffffff 730}}}]]}}}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32A09; font-size: .95em" [[창원 버스 740|{{{#ffffff 740}}}]]}}}|| ||<-2> '''[[김해시 시내버스]]''' || || [[일반좌석버스|{{{#ffffff 일반좌석버스}}}]]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58220; font-size: .95em" [[김해 버스 58, 59|{{{#ffffff 58(A)}}}]]}}}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58220; font-size: .95em" [[김해 버스 58, 59|{{{#ffffff 59(A)}}}]]}}}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58220; font-size: .95em" [[김해 버스 97, 98|{{{#ffffff 97}}}]]}}}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58220; font-size: .95em" [[김해 버스 97, 98|{{{#ffffff 98}}}]]}}} || }}} ==== [[철도]] ==== * [[경전선]] - [[창원중앙역]] === 서부청사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dddddd '''경상남도청서부청사(39020)'''}}}}}} {{{#!wiki style="text-align: center" 경남서부보훈지청 방면 }}} || ||<-2> '''[[진주시 시내버스]]''' || || {{{#ffffff 통학노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ac6c; font-size: .95em" [[진주 버스 10|{{{#ffffff 10}}}]]}}} || || {{{#ffffff 경상대권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ac6c; font-size: .95em" [[진주 버스 160|{{{#ffffff 160}}}]]}}}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ac6c; font-size: .95em" [[진주 버스 161|{{{#ffffff 161}}}]]}}} || || {{{#ffffff 진양호권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ac6c; font-size: .95em" [[진주 버스 253|{{{#ffffff 253}}}]]}}}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ac6c; font-size: .95em" [[진주 버스 260|{{{#ffffff 260}}}]]}}}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ac6c; font-size: .95em" [[진주 버스 261|{{{#ffffff 261}}}]]}}} || || {{{#ffffff 이현동권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ac6c; font-size: .95em" [[진주 버스 352|{{{#ffffff 352}}}]]}}}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ac6c; font-size: .95em" [[진주 버스 360|{{{#ffffff 360}}}]]}}}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ac6c; font-size: .95em" [[진주 버스 361|{{{#ffffff 361}}}]]}}}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ac6c; font-size: .95em" [[진주 버스 362|{{{#ffffff 362}}}]]}}}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ac6c; font-size: .95em" [[진주 버스 363|{{{#ffffff 363}}}]]}}}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ac6c; font-size: .95em" [[진주 버스 373|{{{#ffffff 373}}}]]}}}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ac6c; font-size: .95em" [[진주 버스 374|{{{#ffffff 374}}}]]}}}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ac6c; font-size: .95em" [[진주 버스 375|{{{#ffffff 375}}}]]}}}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ac6c; font-size: .95em" [[진주 버스 376|{{{#ffffff 376}}}]]}}}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ac6c; font-size: .95em" [[진주 버스 377|{{{#ffffff 377}}}]]}}} || || {{{#ffffff 도심순환}}}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ac6c; font-size: .95em" [[진주 버스 550|{{{#ffffff 550}}}]]}}}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ac6c; font-size: .95em" [[진주 버스 551|{{{#ffffff 551}}}]]}}} || }}} == 여담 == 도청 내부에는 정원이 있으며 또 경상남도 모양의 호수가 있다. 그리고 도청 외부에는 정문 앞에 공원이 있는데 봄에 방문하면 벚꽃이 핀 나무들이 줄줄이 있어서 경치 감상을 할 때 장관을 연출하기도 한다. 실제로도 경남도민들뿐 아니라 외지인들도 많이 방문하며 특히 봄 때가 되면 제대로 즐기고 갈 정도다. 지금의 경상남도청 자리는 [[풍수지리]]상으로 창원에서 손꼽히는 길지라고 한다. 그래서 새로 차를 사면 도청 앞 사거리에서 목욕재계를 드리는 사람들이 종종 보인다. == 관련 문서 == * [[한국 건축]] * [[경상남도]] * [[창원시]] * [[의창구]] * [[도청(행정)]] * [[지방관청]] * [[경상남도의회]] * [[경상남도지사]] * [[경상남도 부지사]] * [[나무위키 관공서 프로젝트]] *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 둘러보기 == [include(틀:경상남도 관련 문서)] [[분류:광역자치단체 청사]][[분류:창원시의 건축물]][[분류: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분류:의창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