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경복궁)] || {{{#!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2000, #bf1400 20%, #bf1400 80%, #972000)" {{{#ffd400 [[조선|[[파일:조선 중기 왕 용보.png|width=25]]]] '''경복궁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조선의 5대 궁)] ---- [include(틀:아관파천)] ---- [include(틀:한국관광100선)]}}} || ||<-2> [[대한민국의 사적|{{{#f39100 '''대한민국 사적 제117호'''}}}]] || ||<-2> {{{#fff {{{+1 '''경복궁'''}}}[br]{{{-1 景福宮 | Gyeongbokgung Palace}}}}}} || ||<-2>[include(틀:지도, 장소=Gyeongbokgung, 높이=100%, 너비=100%)]|| ||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서울)|사직로]] 161([[세종로]]) || ||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궁궐·관아 / 궁궐 || || '''면적''' ||432,703㎡ || || '''건축시기''' ||[[조선시대]], [[1395년]] [[11월 27일]][* [[https://sillok.history.go.kr/id/kaa_10410007_002|]] ] || || '''지정연도''' ||[[1963년]] [[1월 21일]] || || '''관리'''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 경복궁관리소 || || '''링크''' ||[[http://www.royalpalace.go.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2]]]]|[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royalpalacego, 크기=22)]|[[https://www.instagram.com/gyeongbokgung_palace_officia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2]]]] || ||[[파일:경복궁 이미지.jpg|width=100%]] || || {{{#gold '''경복궁'''}}}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Gyeongbokgung_map.jpg|width=100%]]|| || {{{#gold ''' 〈북궐도〉, 혜촌 김학수, 1975년 作 '''}}}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TKLdb8Q9rZ8)] || || {{{#gold '''하늘에서 바라본 경복궁 영상'''}}} || >《시경(詩經)》 주아(周雅)에 있는 ‘이미 술에 취하고 이미 덕에 배부르니 군자는 영원토록 그대의 크나큰 복(景福)을 모시리라.’라는 시(詩)를 외우고, 새 궁궐을 '''경복궁(景福宮)'''이라고 이름 짓기를 청하오니, 전하와 자손께서 만년 태평의 업(業)을 누리시옵고, 사방의 신민으로 하여금 길이 보고 느끼게 하옵니다. >---- > [[정도전]], 《[[태조실록]]》 8권, [[태조(조선)|태조]] 4년(1395년) 10월 7일 [[http://sillok.history.go.kr/id/kaa_10410007_002|정유 2번째기사]] 中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서울)|사직로]] 161 ([[세종로]])[*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 1번지 일대]에 있는 [[조선]]시대의 [[조선의 궁궐|궁궐]] 중 하나이자 조선의 [[법궁|정궁(법궁)]]이다. [[대한민국의 사적|사적]] 제117호로 지정받았다. [[태조(조선)|태조]]가 조선을 건국하고 한양 천도를 단행[* 천도하기 전에는 [[개성시|개성]] [[수창궁]]에서 기거했고, 천도한 뒤 경복궁이 다 지어지기 전까지는 한양부 객사를 임시 궁궐로 사용했다.]하면서 조선 시대에 가장 먼저 지은 궁궐이다. 1592년 [[임진왜란]] 때[* 일본쪽 기록에서는 조선왕이 떠나기전에 불을 질렀다는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halmi&logNo=220973264685&referrerCode=0&searchKeyword=%ED%95%9C%EC%96%91|언급]]이 있다.] 소실되어 275년간[* 대중성에 비해 다른 궁궐보다 생각보다 역사가 그렇게 길지 않다. [[창덕궁]]이 훨씬 더 긴 시간 동안 조선의 정궁으로 사용되었고 원형 보존성도 이쪽이 더 높다. 게다가 경복궁은 19세기에 와서 아예 새로 지은 것이다. ] 방치되다가 19세기에 [[흥선대원군]] 주도로 중건되었다. 당시에는 7천여 칸이라는 거대한 규모를 자랑하는 건축물로 거듭났었지만 [[구한말]]과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수천 칸의 전각이 헐리고 매각되며 [[조선총독부 청사]]와 같은 다른 건물이 들어서는 등 궐내가 크게 훼손되었다. 1990년에 이르러서는 고작 36동의 건물([[고종(대한제국)|고종]] 재위 당시의 7% 수준)만 남았고 지금도 계속 복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다만 사라진 전각들에 대한 자료가 부족하여 최근 복원한 전각들도 원형이라는 보장은 없으며, 후일에도 완전한 경복궁의 모습을 볼 수 있을지는 미지수이다. == 구조 및 지리 == ||
[[파일:경복궁 대한민국 이집트.png|width=100%]] || || {{{#gold '''경복궁 위성사진'''}}}[* 촬영된 지 다소 시간이 지난 사진이라 현재와는 약간 다르다. 사진 속에서는 [[향원정]] 일대 보수공사가 아직 진행 중이고, [[계조당]] 복원 공사가 본격적으로 진행되기 전이며, [[경복궁 광화문|광화문]] [[월대]] 복원 공사와 그 앞의 [[사직로(서울)|사직로]] 곡선화 공사가 아직 시작되지 않은 모습이다. 2024년 기준 [[향원정]] 보수 및 취향교 복원과 [[계조당]], 광화문 앞 월대까지는 복원이 완료되었다.] || ||
[[파일:북궐도형 (4).jpg|width=100%]]|| || {{{#gold '''북궐도형(北闕圖形), 1907년(광무 11) 제작'''}}}[* 경복궁의 완전한 모습이 아닌, 건물의 실내 용도만 그린 것이다 보니 지붕의 모양, 건물 내부 모습, 건물 기단 및 계단의 모양, 기둥 및 공포는 어떻게 생겼는지 등의 세부 사항은 전혀 알 수 없다. 또 실제 건물의 배치가 틀린 것도 있는데다가 작성 당시인 1907년에 10%가량의 건물은 [[경운궁]] 중건으로 인한 이건 및 화재로 사라져서 금무(今無) 즉 이제는 없음으로 표시된 것도 꽤 있다. 그래도 이것이 다른 자료보다는 가장 정확하다보니 경복궁 복원 시 1차 자료로 기준이 된다.] || 원래는 [[신진사대부]]가 계획한 궁궐이기 때문에 '[[검이불루 화이불치]]'(검소하되 누추하지 않고 화려하되 사치스럽지 않다)라는 유교 이념을 반영하여 이전 왕조들의 궁궐에 비해 화려한 장식 없이 수수하고 검소한 형태로 지어졌었다. 배치는 유교적인 관점에 따라 삼문삼조의 형태로 되어 있었다. [[임진왜란]] 전 조선 전기 동안 조선 왕조의 법궁[* 법궁이 사무를 볼 수 없는 경우 역할을 이어받는 보조 궁궐 이궁, 궁 밖으로 나가서 기거할 행궁 등 여러 궁궐 중 왕이 평상시에 직접 사무를 보는 중심 궁궐이다.]으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경복궁은 법궁으로서의 권위를 나타내기 위해 엄정한 기하학적 공간 분할, 반듯한 축선 상의 건물 배치, 정연한 대칭 구조로 설계되었다.[* 출처: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6] 이궁인 [[창덕궁]](+[[창경궁]])과 양궐 체제를 갖췄는데, 임금들은 각자의 취향에 따라 두 궁궐을 번갈아 가며 사용했다. 임진왜란 때 소실된 이후 그 자리만 출입이 금지된 채 200여년 동안 재건되지 못하다가 [[흥선대원군]]이 재건해 지금까지 전해오고 있다. 참고로 흥선대원군이 지은 경복궁과 임진왜란 당시 소실된 경복궁의 모습은 다소 차이가 있다. [[세종(조선)|세종]]이 왕자 시절 2층에서 자다가 병이 났다는 등 다층 건물에 대한 기록이 눈에 띈다. 또한, 근정전에 청기와를 얹었다는 언급 등 차이점이 보이며, 임진왜란 이전에 조선 왕실에서 제작했다는 석가탄생도 등에서 묘사된 건축 양식을 통해 그 당시의 경복궁의 모습을 짐작할 수 있다. 무엇보다 최대 규모 5,000칸까지 서서히 확장되었던 이전 건물과 다르게 흥선대원군은 단숨에 7,400칸짜리로 중건했다. 단숨에 1.5배 크기가 된 것이다. 현재의 행정구역으로는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위치해 있다. 가장 가까운 지하철역은 [[경복궁역]]이며, 5번 출구로 나가면 바로 경복궁의 정문인 [[경복궁 광화문|광화문]] 안쪽으로 들어갈 수 있다. 그리고 [[안국역]]이나 [[광화문역]]에서도 걸어갈 수 있다. 경복궁 앞길에는 각종 관청이 있어 육조 거리라고 불렸으며, 이 길이 오늘날의 [[세종대로]]다.[* [[동(행정구역)|동]]의 이름도 [[세종로]]다.] 당대에도 국가의 중심 거리였기 때문에 육조 거리는 지금의 세종대로의 폭과 거의 같은 폭으로 조성되었다고 한다. 현재 세종대로 중앙에는 [[광화문광장]]이 있다. 주변에는 [[청와대]], [[헌법재판소]], [[정부서울청사]], [[주한미국대사관]], [[세종문화회관]] 등이 있으며, [[인사동길]]도 경복궁에서 꽤 가깝다. == [[/역사|역사 및 복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경복궁/역사)] == [[/건축물|건축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경복궁/건축물)] == [[/관람|관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경복궁/관람)] == 대중교통 == * [[수도권 전철 3호선]]: [[경복궁역]] * [[수도권 전철 5호선]]: [[광화문역]] == 기타 == * [[징비록(드라마)]]에서는 백성들에 의해 불타 잿더미가 되며, 광화문은 문루가 모두 박살난다. * 2018년 2월 7일, 서울역사박물관은 2016년 공개구입 후 보존처리를 완료한 '경복궁도'를 최초 공개했다. 임진왜란으로 소실되기 이전 경복궁내 건물(전각)들의 배치 모습을 그린 족자이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2355402|#]] 임진왜란으로 소실되기 이전의 경복궁의 모습을 엿볼 수 있는 자료로는 경복궁도(국립중앙도서관), 경복궁전도(삼성출판박물관), 경복궁지도(장서각), 조선국왕성지도(일본 와카야마 시립박물관) 등이 있다. * 흥선 대원군 시절 경복궁 재건에 기원을 둔 경기 민요인 경복궁타령이 있다. 합창을 위해 편곡된 것도 있다. * [[자금성]] 내에 한자 표기까지 똑같은 이름의 전각이 존재한다. 자금성 내 동북쪽 가장자리에 있다. [[http://blog.daum.net/dk-choi/7275193|관련 포스팅]] ||
[[파일:external/images.wikia.com/Kof97koreabg.gif|width=100%]] || || {{{#gold '''〈더 킹 오브 파이터즈 '97〉의 한국 스테이지 배경으로 나온 건춘문'''}}} || * 〈[[더 킹 오브 파이터즈 '97]]〉의 [[한국 스테이지#s-2.2.4]] 배경이었다. ||
[[파일:attachment/경복궁/info.jpg|width=100%]] || || {{{#gold '''애플 지도에 청'화'대로 잘못 적힌 경복궁'''}}}[* 추가로, 국립민속박물관의 위치도 잘못 찍혔다.] || * 애니메이션 [[변신자동차 또봇]]에서 '동덕궁'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했다. * 2012년 9월 20일에 [[애플 지도]]에서 '''청화대'''로 오기되었다. * 2014년, 일본 모델 출신이면서 [[지드래곤]]과 열애설이 나기도 했던 [[미즈하라 키코]]가 경복궁을 향해 손가락 욕을 하는 사진에 좋아요를 누른 사진이 알려져 논란이 됐었다. [[https://www.news1.kr/articles/?1895049|#]][* 허나 이것은 후에 와전된 사실로 알려졌다.] * [[신비아파트 특별판: 조선퇴마실록]]에서 주 배경으로 등장했다. * [[박서함]]은 처음 이름이 박경복이었으나 어린 시절 '''경복궁'''이라고 놀림을 받아 박승준으로 개명했다. * '''드론 비행 금지 구역'''이다. 청와대가 개방되고 대통령실이 용산으로 이전한 이후에도 마찬가지. * [[외국인]] 관광객이 [[서울특별시]]에 오면 가장 많이 보러 오는 한국의 문화재다. * 2022년 [[구찌]]가 [[국가유산청|문화재청]]과의 협의를 통해 향후 3년간 경복궁의 보존 관리 및 활용을 위한 [[후원]]을 약속했다. * 2023년 5월 16일 저녁 [[근정전]]에서 '[[구찌]] 크루즈 2024 패션쇼'를 개최했다. 이는 구찌가 한국 매장 오픈 25년만에 한국에서 여는 최초의 공식 패션쇼이며 경복궁에서 열린 최초의 패션쇼이기도 하다. 앞서 2022년 11월 1일에 이곳에서 ‘코스모고니 컬렉션 서울’ 패션쇼를 개최하려 했으나 [[이태원 참사]]로 인한 [[국가애도기간]]에 따라 전날 행사를 취소한 바 있다. [[https://twitter.com/somesome71/status/1658435232637530112|오프닝]] [[https://twitter.com/heyattidude/status/1658441421068857345|엔딩]] [[https://www.youtube.com/live/rIUdA21wEPc|구찌 채널 풀영상]] [[https://www.youtube.com/live/lY8ncC0JygY|문화유산채널 풀영상]]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62361|기사1]]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62969|기사2]] [[https://www.chosun.com/economy/market_trend/2023/05/16/2IYIGUXMNNDPNNA7CUDSLTJRPM/|기사3]] * 궁내에서 식혜를 판매하기도 한다. 관광지가 다 그렇듯이 값이 좀 있으므로 식혜는 별도로 챙겨가는 것을 권한다. 다만 취식물은 갖고 입장하는 데 제약을 받으므로 다 먹고 들어가는 것이 좋다. * 경복궁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는 유튜브 채널도 있다.[[https://www.youtube.com/live/UhULZg8QOiE?si=jNoW65wQjvVlr_ud|#]] * 2023년 [[제25회 세계스카우트잼버리]] 대원들이 방문했었다. * 2023년 드라마 〈[[혼례대첩]]〉에 [[혼례대첩/촬영지#경복궁|경복궁 안에서 촬영한 장면들]]이 나온다. * [[Europa Universalis IV]]에 기념물로 등장한다. 3레벨을 모두 증축할 시 '''군주 행정력 +2'''라는 정신나간 스탯을 보이는 유로파의 대표적 사기 기념물이다. 그 외에 조언가 비용 감소, 한성 지역 개발비용 - 25% 등 알짜배기 성능을 자랑한다. * [[문명6]]에서 모드로 플레이 할 수 있다. 경복궁을 게임 랜드마크 스타일로 모델링한 사례중에 우수한 편이라고 할 수 있다 ||[[파일:문6경복궁임시.jpg|width=100%]] || == 사건사고 == === [[경복궁 영추문 및 담장 훼손 사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경복궁 영추문 및 담장 훼손 사건)] == 관련 문서 == * [[경복궁과 자금성의 비교]] * [[석가탄생도·석가출가도]] * [[의령남씨가전화첩]] * [[첩종]]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경복궁 건춘문, version=20, paragraph=5)] [[분류:경복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