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경복궁)] ---- ||<-3> [[파일:정부상징.svg|width=22]] '''[[대한민국의 사적|{{{#f39100 대한민국 사적 제117호 경복궁}}}]]''' || ||<-3> {{{#ffd700 {{{+1 '''경복궁 향오문'''}}}[br]{{{-1 景福宮 嚮五門}}}}}}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경복궁 향오문, 너비=100%, 높이=100%)]}}} || ||<-2> {{{#ffd700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서울)|사직로]] 161 ([[세종로]]) || ||<-2> {{{#ffd700 '''건축시기'''}}} || [[1395년]] {{{-1 (창건)}}} / [[1867년]] {{{-1 (중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향오문.png|width=100%]]}}} || || {{{#gold '''향오문'''}}}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복궁 강녕전]]의 [[정문]]이다. == 이름 == ‘향오(嚮五)’ 뜻은 ‘오복(五福을) 향함(嚮)’이다. 《[[상서|서경]]》 - 〈홍범〉 편에 나온 ‘향용오복(嚮用五福)’에서 따왔다. ‘향용오복(嚮用五福)’은 ‘다섯 가지 복을 권유하여 누린다’는 뜻이다. 저기서 말하는 오복은 ‘수(壽: 목숨)’, ‘부(富: 재물)’, ‘강녕(康寧: 건강 및 편안함)’, ‘유호덕(攸好德: 덕을 베풀기 좋아함)’, ‘고종명(考終命: 제 명에 편히 죽음)’이다. 즉, [[임금]]이 오복을 편하게 누리며 백성들 역시 오복을 누릴 수 있게 좋은 정치를 하라는 의미이다. [[경복궁 강녕전|강녕전]] 이름도 오복의 종류 중 하나인 ‘강녕(康寧)’에서 따왔다. == 역사 == 1394년([[태조(조선)|태조]] 3년) [[경복궁]] 창건 당시에 처음 지었다. 1592년([[선조(조선)|선조]] 25년) [[임진왜란]] 때 불탔고 270여 년 뒤인 1867년([[고종(대한제국)|고종]] 4년)에 중건하였다. [[경복궁 강녕전|강녕전]]이 1876년(고종 13년)에 화재를 입어 1888년(고종 25년)에 재건되었는데 저 때 향오문도 강녕전과 같이 불탔다 다시 지어졌는지는 모른다. [[일제강점기]]인 1917년에 불타 없어진 [[창덕궁]] [[내전]]을 재건할 때 [[조선총독부]]가 경복궁 내전 건물을 자재로 쓰기 위해 [[경복궁 강녕전|강녕전]], [[경복궁 교태전|교태전]] 일곽의 건물들을 해체, 이전하였다. 그러나 향오문과 강녕전 남행각은 무사했다. 이후 큰 변화 없이 오늘에 이른다. == 구조 == * 1층[* 보통 [[전통]] [[건축]]에선 단층이라고 표현한다.] [[목조]] [[건물]]이다. 칸 수는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총 6칸이다. [[기단]]은 장대석 1벌대로 사실상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이며 계단도 따로 없다. [[초석|주춧돌]]과 [[기둥]]은 사각이다. * [[지붕]]은 맞배지붕, [[처마]]는 홑처마로, [[공포]]는 초익공 양식이다. 용마루와 내림마루는 양성바름을 하고 그 위에 [[용두]]와 취두를 두었다. [[문|문짝]]과 측면의 [[벽]]은 붉은색 나무판이다. 문의 바닥에는 전돌을 깔았다. [[단청]]은 모로단청[* 부재 끝부분에만 문양을 넣고 가운데는 긋기로 마무리한 단청이다.]으로 칠했다. * [[왕]]이 다니는 가운데 칸의 넓이를 양 옆 칸보다 넓게 만들었다. * 각 칸의 인방 위에 풍혈을 뚫은 궁판을 올렸다. 좌, 우 칸에는 풍혈 8개가 뚫린 궁판을, 가운데 칸에는 풍혈 10개 뚫린 궁판 하나를 올렸다. 궁판들 위에 홍살을 놓았으며 가운데 칸 궁판에 현판을 걸었다. [[천장]]은 서까래와 구조들이 훤히 보이는 연등천장이다. [각주]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경복궁 강녕전, version=55, title2=경복궁 양의문, version2=3)] [[분류:경복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