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경복궁)] ---- ||<-3> [[파일:정부상징.svg|width=22]] '''[[대한민국의 사적|{{{#f39100 대한민국 사적 제117호 경복궁}}}]]''' || ||<-3> {{{#ffd700 {{{+1 '''경복궁 제수합'''}}}[br]{{{-1 景福宮 齊壽閤}}}}}}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경복궁 제수합, 너비=100%, 높이=100%)]}}} || ||<-2> {{{#ffd700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서울)|사직로]] 161 ([[세종로]]) || ||<-2> {{{#ffd700 '''건축시기'''}}} || [[1865년]] {{{-1 (창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경복궁 제수합.jpg|width=100%]]}}} || || {{{#gold '''제수합'''}}}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복궁]]의 건물이다. [[경복궁 자경전|자경전]]의 동북쪽에 있다. 경복궁의 전각이지만, 현재는 [[국립민속박물관]] 경내에 있다. == 용도 == 확실하게 모른다. 용도에 대한 [[기록]]이 거의 없어 자세하게 알 수 없다. [[경복궁 자경전|자경전]]이나 [[경복궁 만경전|만경전]]의 별당이라는 의견과, [[내전]]에서 일하는 [[나인]]들의 거처라는 의견이 있다. 또한 [[왕실]]의 [[친인척]]들이 [[궁]]에 올 때 대기소로 썼던 곳이라는 견해도 있다. == 역사 == 1395년(태조 4년) [[경복궁]]을 처음 지을 때는 없었고, 1865년([[고종(대한제국)|고종]] 2년)에 창건되었다.[[http://sillok.history.go.kr/id/kza_10411008_001|#]] [[고종(대한제국)|고종]] 때 제수합은 지금처럼 건물 하나만 있는 게 아니었다. 주변에 행각과 [[문]]이 있어 하나의 독립된 영역을 형성한 [[전각]]이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에 행각과 문이 헐려 현재와 같은 모습이 되었다. 그래도 다행히 제수합 본채는 살아남았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조선고적도보 제수합.png|width=100%]]}}} || || {{{#gold '''일제강점기의 제수합'''}}} || 2004년 [[보수]][[공사]]를 거쳐 오늘에 이른다. 이 때 땅에 묻혀있던 [[기단]]을 발굴하여 [[복구]]하였다. 경복궁 1차 복원 공사 5단계(2001 ~ 2009)에 제수합의 행각이 복원될 예정이였지만 자료 부족으로 인해 무산되었고 2차 복원 공사 4단계(2031~2042)로 밀려났다. == 구조 == * 정면 7칸, 측면 2칸이다. 서쪽부터 [[누]][[마루]] 1칸, [[온돌|온돌방]] 2칸, [[대청]] 2칸, 온돌방 2칸으로 되어있다. * [[지붕]]은 팔작지붕, [[처마]]는 홑처마이며 [[공포]]가 없는 민도리 양식이다. 좌측면과 정면 외곽에는 도리 아래에 소로수장을 두었다. [[기둥]]과 [[주춧돌]]은 사각형이며 [[가구]]는 굴도리 1고주 5량가 형식이다. * [[기단]]은 장대석 4단을 쌓은 형태이며 기단의 바닥엔 [[벽돌|전돌]]을 깔았다. 누마루 밑의 기단과 우측면 기단에는 [[아궁이]]가 있다. * [[계단]]은 정면에 2개, 좌측면에 남, 북으로 각각 1개 씩, 우측면에 1개, 그리고 뒷면 중앙에 1개가 있다. 정면의 계단은 장대석 4단짜리이고, 남쪽 좌측면의 계단은 2단, 북쪽의 좌측면과 뒷면 중앙의 계단은 3단이다. * 정면과 측면 및 뒷면의 외관이 다 다르다. 정면에는 [[창문]]과 [[문]]만 달려있고 서쪽 [[누]][[마루]]에는 창만 달려있다. 그러나 동측면은 중인방을 설치한 뒤 위, 아래를 벽으로 마감한 모습이며 (동측면의)남쪽 칸은 반으로 나뉜 형태이다. 반 칸은 [[벽]]으로 마감하고, 나머지 반 칸에는 창을 설치하였으며 창 위에 상방을 두고 그 위를 벽으로 마감했다. 뒷면은, [[대청]] 부분은 [[창문]]이며, [[온돌|온돌방]] 부분은 중인방과 문선이 있고 문선 사이에 창을 두었으며 나머지는 전부 [[벽]]으로 마감한 모습이다. * 건물 바깥쪽의 [[창문|창호]]는 세살이다. 실내 창호는, [[대청]] 좌우는 6분합 불발기들문이고 양쪽 방의 칸막이 문은 6짝 미서기 장지문이며 서쪽 [[온돌|온돌방]]에서 [[누]][[마루]]로 가는 부분은 6분합 세살들문으로 되어있다. 그리고 [[온돌|온돌방]]의 앞, 뒷면은 쌍여닫이문이고 쌍여닫이문의 안쪽에는 ‘아(亞)’ 자살 갑창이 설치되어있다. == 여담 == * 2005년 6월에 주한 외국인 기업체 부인들이 제수합에서 명원문화재단 김의정 이사장에게 [[전통]][[다례]]를 배웠다.[[https://news.v.daum.net/v/20050607033506412?f=o|#]] * 2009년 2월에 [[국립민속박물관]] 안에 있는 국립어린이박물관의 '우리 문화재 가꾸기' [[행사]]가 이곳에서 열렸다.[[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09080216110516696|#]] * 2013년 9월에 [[추석|추석]] 연휴를 맞아 다양한 [[전통]][[놀이]]들이 이곳과 국립어린이박물관 놀이마당에서 열렸다.[[https://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30913_0012359088&cID=10201&pID=10200|#]] * 2020년 1월에 [[설날|설]] 연휴를 맞아 창작스튜디오 놀자가 [[국립민속박물관]]과 협력하여 ‘2020 경자년 설맞이 한마당’ 행사를 진행했다. 이 때 제수합은 [[세배]] 예절을 배우는 행사공간으로 활용되었다.[[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00121000256|#]] [[분류:경복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