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경복궁)] ---- ||<-3> [[파일:정부상징.svg|width=22]] '''[[대한민국의 사적|{{{#f39100 대한민국 사적 제117호 경복궁}}}]]''' || ||<-3> {{{#ffd700 {{{+1 '''경복궁 유화문'''}}}[br]{{{-1 景福宮 維和門}}}}}}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경복궁 유화문, 너비=100%, 높이=100%)]}}} || ||<-2> {{{#ffd700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서울)|사직로]] 161 ([[세종로]]) || ||<-2> {{{#ffd700 '''건축시기'''}}} || [[1867년]] {{{-1 (창건 추정)}}} / [[2001년]] {{{-1 (복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경복궁_유화문_전경.jpg|width=100%]]}}} || || {{{#gold '''유화문[* [[http://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1624511&ccbaKdcd=13&ccbaAsno=01170000&ccbaCtcd=11|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복궁 흥례문]]의 서쪽 행각에 있는 [[문]]이다. [[경복궁 기별청|기별청]]의 남쪽에 있다. [[경복궁]] 서남쪽에 있는 궐내각사로 가는 [[정문]]이었다. [[경복궁 흥례문|흥례문]] 일곽은 [[정전#s-6|정전]] [[경복궁 근정전|근정전]] 영역과 바로 붙어있었기 때문에 [[조회]]뿐만 아니라 [[국문]]이나 교서 반포 등 여러 중요한 [[행사]]들이 이루어진 곳이었다. 그래서 궐내각사에서 근무하던 [[관리]]들이 원활히 움직일 수 있는 [[문]]이 필요했고 유화문이 바로 그 역할을 했다.[[http://cafe.daum.net/gojukdapsa/OnbV/5?q=%EC%9C%A0%ED%99%94%EB%AC%B8%20%ED%98%84%ED%8C%90|#]] == 이름과 현판 == '유화(維和)' 뜻은 '온화(和)', '조화(和)'이다. 여기서 '유(維)'는 [[어조사]]라서 뜻이 없다. [[현판]] 글씨는 [[서예|서예가]] 소헌 정도준 선생(紹軒 鄭道準. 1948 ~ )[* [[경복궁 흥례문]]과 [[창덕궁 진선문]] 및 [[창덕궁 숙장문|숙장문]]의 [[현판]]과 [[숭례문]] [[복원]] 상량문을 썼다.]이 쓰고 각자장 철제 오옥진 선생(鐵齋 吳玉鎭, 1935 ~ 2014)이 새겼다. == 역사 == 창건 시기는 모른다. 다만, 1867년([[고종(대한제국)|고종]] 5년)에 [[경복궁]]을 중건할 때 영건도감에서 [[건물]]들의 이름을 지어 올렸는데, 이 때 유화문의 이름도 있는 것을 보아 저 때 처음 지은 듯하다.[[http://db.itkc.or.kr/dir/item?itemId=ST#/dir/node?dataId=ITKC_ST_Z0_A04_11A_08A_00080|#]] 이후 유화문은 [[임금]]이 공식적으로 [[궁궐]] 밖을 오갈 때 지나는 [[문]]으로 기능했다. 정확하게는 [[경복궁 수정전|수정전]]에서 [[숭양문#s-1.1|숭양문]][* [[경복궁 수정전|수정전]] 일곽의 [[정문]]이다.]과 유화문을 거쳐 [[경복궁 흥례문|흥례문]]을 지나 [[경복궁 광화문|광화문]]으로 나갔고, 돌아올 때는 그 반대로 들어오는 [[코스]]였다.[[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흥례문(興禮門)|#]][[http://db.itkc.or.kr/dir/item?itemId=ST#/dir/node?dataId=ITKC_ST_Z0_A06_09A_16A_00090|#]][[http://db.itkc.or.kr/dir/item?itemId=ST#/dir/node?dataId=ITKC_ST_Z0_A08_08A_09A_00310|#]] [[일제강점기]]인 1915년에 ‘시정 5주년 기념 조선물산공진회’가 [[경복궁]]에서 열리면서 [[경복궁 흥례문|흥례문]] 및 주변 행각과 같이 헐렸다. 그리고 공진회 개최 1년 뒤인 1916년에 [[일본 제국|일제]]는 흥례문, [[경복궁 영제교|영제교]], 유화문, [[경복궁 기별청|기별청]] 자리에 [[조선총독부 청사]]를 지었다. [[8.15 광복]] 후인 [[1990년대]]에 [[대한민국 정부]]에서 [[경복궁]] [[복원]][[사업]]의 일환으로 [[조선총독부]] 건물을 철거했고, 2001년 10월 26일에 [[흥례문]]과 같이 [[복원]]하여 오늘에 이른다. == 특징 == * 현재 일반 관광객은 이 문으로 드나들 수 없다. * 북쪽에는 [[경복궁 기별청|기별청]]이 있고, 남쪽에는 [[흥례문]] 서쪽 행각이 있다. 유화문과 남쪽의 행각 사이에는 협문이 있다. 협문은, 인방 위에 안상의 모양대로 위, 아래 6개 씩 총 12개의 풍혈을 뚫은 궁판이 놓여있고[* 윗 궁판의 경우, 5개는 온전히 뚫었으나 1개는 반으로 나누어 배치했다.] 그 위에 홍살을 놓은 형태이다. * [[임금]]이 [[공식]][[행사]]가 있을 때 사용했던 [[문]]이기 때문에 정면 가운데에 어도가 깔려있다. 그리고 어도의 양 옆에는 [[신하]]와 [[관리]]들이 평상시에 다니던 [[길]]이 있다. 이 길들은 박석으로 [[포장]]해놓았다. * [[기단]]은 장대석으로 쌓았으며 2단이다. [[계단]]은 정면에는 없고 뒷면에 장대석으로 쌓은 2단이 놓여있다. [[초석|주춧돌]]과 [[기둥]]은 둥근 형태이다. * 정면 3칸, 측면 2칸의 1층[* 보통 전통 건축에선 단층이라고 표현한다.] [[목조]] [[건물]]이다. [[지붕]]은 팔작지붕, [[처마]]는 겹처마에 [[공포(동음이의어)#s-2|공포]]는 다포식으로 화려하게 구성되어있다. 용마루와 추녀마루, 내림마루는 양상바름을 하고 그 위에 취두와 [[용두]], [[잡상]]을 두었다. * 창방 위에 평방을 두었는데 다른 [[전각]]들과 비교했을 때, 창방에 비해 평방의 높이가 두드러져 보일 정도로 짧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창방과 평방의 [[단청]]은 같게 칠하는 게 대부분이나 유화문의 경우는 이 부분도 다르다. 창방의 단청은 모루단청[* 부재 끝 부분만 화려하게 칠하는 단청.]이지만 평방의 단청은 소박한 긋기단청이다. 다만 초록색으로 된 계풍[* 수평 부재의 위, 아래 [[선]] 사이의 공간.]에 연한 녹색의 무늬를 화려하게 그려넣었다. * 문짝은 [[나무]] [[판]]으로 중앙 열 3칸에 달았다. 가운데 [[왕]]이 다니는 어칸(御間)을 조금 더 높게 만들었으며, 양 측면의 칸 마다 중인방을 끼우고 위, 아래를 붉은색 나무 판으로 마감했다. 뒷면의 남쪽 측면에는 초록색 쪽문이 달려있다. 이 쪽문은 유화문 남쪽의 협문과 연결된다. * 각 칸의 인방 위에 안상의 모양대로 7개의 풍혈을 뚫은 궁판이 놓여있고[* 좌, 우 칸 궁판의 경우, 6개는 온전히 뚫었으나 1개는 반으로 나누어 배치했다.] 그 위에 홍살을 놓았다. [[천장]]은 서까래와 구조들이 훤히 보이는 연등천장으로 만들었다. == 여담 == * 1887년([[고종(대한제국)|고종]] 24년) 3월에 [[대전광역시|충청도 회덕군]][* 현재의 [[대전광역시]] [[중구(대전)|중구]], [[동구(대전)|동구]], [[대덕구]] 일대.]에 살던 [[군수]] 송명로의 [[노비]] 월이(月伊)란 사람이 [[경복궁 광화문|광화문]]의 서쪽 협문으로 들어와 유화문을 두드린 일이 있었다. 원통한 일이 있어서 두드렸다는데, 아무리 그래도 [[궁궐]]에 무단침입한 것은 잘못이었다. 그 벌로 월이는 [[곤장]] 100대를 맞았다.[[http://db.itkc.or.kr/dir/item?itemId=ST#/dir/node?dataId=ITKC_ST_Z0_A24_03A_26A_00160|#]] 뿐만 아니라 6년 뒤에는 전 사과[* 司果. --[[사과|Apple]] 아니고-- [[조선시대]] 5위에 있던 정6품 무관직.] 강홍(姜苰)도 월이와 똑같은 행동을 하여 [[의금부]]에 잡혀갔다.[[http://db.itkc.or.kr/dir/item?itemId=ST#/dir/node?dataId=ITKC_ST_Z0_A30_12A_23A_00060|#]] 다만 강홍은 엄한 벌을 받지 않고 바로 풀려났다.[[http://db.itkc.or.kr/dir/item?itemId=ST#/dir/node?dataId=ITKC_ST_Z0_A30_12A_25A_00170|#]] == 매체에서 == * 2001년 ~ 2002년에 방송한 [[KBS2]] 드라마 《[[명성황후(드라마)|명성황후]]》에서는 [[궁궐]]의 출입문으로 여러 번 등장했다.[* [[임오군란]] 에피소드에서는 [[창덕궁 돈화문]]으로 나왔다.] [[분류:경복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