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경복궁)] ---- ||<-3> [[파일:정부상징.svg|width=22]] '''[[대한민국의 사적|{{{#f39100 대한민국 사적 제117호 경복궁}}}]]''' || ||<-3> {{{#ffd700 {{{+1 '''경복궁 서십자각'''}}}[br]{{{-1 景福宮 西十字閣}}}}}}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경복궁 쪽문, 너비=100%, 높이=100%)]}}} || ||<-2> {{{#ffd700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서울)|사직로]] 161 ([[세종로]]) || ||<-2> {{{#ffd700 '''건축시기'''}}} || [[1395년]] {{{-1 (창건)}}} / [[1867년]] {{{-1 (중건)}}} / [[1923년]] {{{-1 (철거)}}}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서십자각 터.png|width=100%]]}}} || ||<-2> {{{#gold '''서십자각 터[* [[https://map.naver.com/v5/search/%EB%8F%99%EC%8B%AD%EC%9E%90%EA%B0%81?c=14134725.3625383,4519676.7035706,18,0,0,2,dha&p=QwpYx8gpHapSz-cTQQTQdw,38.38,-0.1,80,Float|사진 출처 - 네이버 지도.]]]'''}}}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복궁]]의 [[망루]]였다. 현재는 없다. [[동아시아]]권에서는 [[궁전|궁성]] 정문 옆에 궁을 수비하는 [[망루]]를 두었다. 이것을 ‘[[闕|궐(闕)]]’이라고 부른다. 즉, ‘궁궐(宮闕)’은 ‘궁(宮)’과 ‘망루(闕)’를 합쳐 부르는 말이다. 물론 [[지역]]과 [[시대]]에 따라 궐의 모습도 달랐다. 그래서 궐이 정문과 가까울 때도 있었고, 멀 때도 있었다. [[경복궁]]의 망루는 정문 [[경복궁 광화문|광화문]]과 꽤 떨어져 있었으며 궁성 동남쪽, 서남쪽 끄트머리에 각각 하나씩 있었다. 그 중 서남쪽 망루가 바로 서십자각(西十字閣)이다. 서십자각은 일제강점기에 헐렸고, 현재는 동남쪽 망루인 [[동십자각|동십자각(東十字閣)]]만 남아있다. == 이름 == 십자각(十字閣)은 말 그대로 건물 평면이 ‘열 십(十)’자인 건물을 말한다. 그런데 [[경복궁]]의 망루는 평면이 사각형이라 원칙적으로는 십자각이 될 수 없다. 그러나 위에서 볼 때 용마루가 ‘열 십(十)’자로 교차하는 모습이며, [[망루]]와 맞닿은 [[담|궁장]]이 ‘열 십(十)’자 모양으로 교차해서 십자각이란 이름이 붙었다.[[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EB%8F%99%EC%8B%AD%EC%9E%90%EA%B0%81(%E6%9D%B1%E5%8D%81%E5%AD%97%E9%96%A3)|#]] == 역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서십자각 원형.pn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서십자각 원형2.png|width=100%]]}}} || ||<-2> {{{#gold '''서십자각 사진. 왼쪽은 동남쪽(현재 [[사직로(서울)|{{{#gold 사직로}}}]])에서 바라본 모습이고, 오른편은 서북쪽(현재 [[효자로(서울)|{{{#gold 효자로}}}]])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 정확한 창건 시기는 모르나, [[망루]]라는 가장 기본적인 시설임을 감안할 때, 1395년([[태조(조선)|태조]] 4년)에 [[경복궁]]을 처음 지으면서 같이 조성한 듯 하다. 1427년([[세종(조선)|세종]] 9년)에 심하게 기울어져 철거했고, 이후 관련 기록은 없다.[[http://sillok.history.go.kr/id/kda_10903021_002|#]] 다만, 궁궐의 수비를 담당하는 중요한 건물인 만큼 머지않아 재건했을 것으로 추정한다. [[고종(대한제국)|고종]] 초에 [[흥선대원군]]이 [[경복궁]]을 중건할 때 복구했다. [[http://sillok.history.go.kr/id/kza_10303006_005|《고종실록》의 이 기사]]를 보아 1866년(고종 3년) 무렵에는 이미 완공했던 것 같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인 1920년대 초반에 [[서울 전차|전차]] 통행에 방해가 된다는 이유로 일제가 헐었다. 일제는 1923년 10월에 조선부업품공진회를 경복궁에서 개최하면서 경성전기회사와 교섭하여 [[경복궁 광화문|광화문]]에서 공진회의 출구인 [[경복궁 영추문|영추문]]까지 전차선로를 연장하기로 했다. 그 때 전차가 통행하기 쉽게 경복궁 서남쪽 모서리 구간을 곡선으로 만들면서 궁장 일부와 서십자각을 같이 허문 것이다.[[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141975|#]] [[8.15 광복|광복]] 이후인 [[1990년대]] 들어 [[문화재청|문화재관리국]](현 문화재청)에서 경복궁 복원사업을 진행할 때 서십자각을 원형으로 다시 지을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교통 문제로 [DATE] 현재까지 복원을 못하고 있다. 만약 서십자각을 재건한다면 현재 부지 일부를 점유하는 [[효자로(서울)|효자로]]를 옮겨야하는데, 그러면 도로 이설 부지 확보 및 그에 따른 토지 보상 등 여러 문제가 발생할 수 밖에 없다.그래서 경복궁 복원의 제일 마지막 단계인 2차 복원 공사 5단계(2042~2045)에 복원될 예정이다. 현재는 [[서울특별시]]에서 서십자각이 있었던 곳에 ‘서십자각 터’라는 안내 표지판을 세워두었다. >서십자각 터 >西十字閣址 >Site of Seosipjagak Watchtower > >서십자각은 경복궁 서쪽에 있던 망루이다. 원래 궁궐의 궁은 임금의 거처를 말하고, 궐은 출입문 좌우에 설치된 망루를 뜻한다. 1923년 전차부설 공사를 하면서 철거되었다. > >2016년 4월 서울특별시 >---- >서십자각 터 안내표지판 == 구조 == * 동십자각과 거의 비슷하게 생겼다. 자세한 내용은 [[경복궁 동십자각#s-4|동십자각의 구조]] 문서 참조. 그러나 세부적인 차이가 조금 있었다. 서십자각 축대가 동십자각보다 1단 더 높으며, 서십자각 지붕 추녀마루에는 [[잡상]]이 없다. 지붕 꼭대기 절병통의 모양도 다르다. 동십자각은 원통이지만 서십자각은 창살이다.[[https://www.seouland.com/arti/society/society_general/3866.html|#]] [각주]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경복궁 동십자각, version=2)] [[분류:경복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