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조선의 왕자/목조 ~ 연산군)]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51232, #94153e 20%, #94153e 80%, #751232); color: #FFD400" '''조선 성종의 왕자[br]{{{+1 경명군 | 景明君}}}'''}}}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경명군묘.jpg|width=100%]]}}} || ||<-2> {{{#ffd400 {{{-2 경명군묘 전경}}} }}} || ||<|2> '''출생''' ||[[1489년]] [[10월 6일]] || ||[[조선]] [[한성부]][br](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 || '''사망''' ||[[1526년]] [[7월 4일]] (향년 37세) || || '''묘소''' ||[[경기도]] [[의정부시]] 신곡동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본관''' ||[[전주 이씨]] || || '''휘''' ||침(忱) || || '''부모''' ||부왕 [[성종(조선)|성종]][br]모친 [[숙의 홍씨(성종)|숙의 홍씨]] || || '''형제자매''' ||16남 12녀 중 11남 || || '''배우자''' ||강양군부인 [[파평 윤씨]] (江陽郡夫人 坡平 尹氏, {{{-3 ? ~ 1537}}}) || || '''자녀''' ||'''슬하 2남 2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장녀 - 이연환(李連環) 장남 - 안성군 이수령(安城君 李壽齡, {{{-3 1516 ~ ?}}}) 차녀 - 이옥녀(李玉女) 차남 - 안남군 이수련(安南君 李壽鍊, {{{-3 1520 ~ ?}}})}}} || || '''종교''' ||[[유교]] {{{-2 ([[성리학]])}}} || || '''군호''' ||'''경명군(景明君)'''[* 봉호는 [[전라도]] [[금산군|금산]](현 [[충청남도]] 금산군)의 별호인 '경양(景陽)'에서 따왔다.] || || '''시호''' ||정민공(貞敏公)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 중기의 왕족. [[성종(조선)|성종]]의 11남이자 서7남으로, 어머니는 [[숙의 홍씨(성종)|숙의 홍씨]][* 서삼촌이 실존인물 [[홍길동#s-2]]이다.]이다. 친남매로는 누나 혜숙옹주, 정순옹주와 형 [[완원군]], [[회산군]], [[견성군]], [[익양군]] 및 남동생 [[운천군]], [[양원군]], 그리고 여동생 정숙옹주가 있다. [[전주 이씨]] 경명군파의 파시조이다. == 생애 == 평소에 단아하고 검소하며 학문이 뛰어난 것으로 유명했다고 한다. 중종 대에 [[종친부]]와 종부시, [[사옹원]]의 도제조를 맡았고 [[태조(조선)|태조]]의 [[왕비]] [[신의왕후|신의왕후 한씨]]를 모시던 문소전(文昭殿)도 관장했다. 1521년(중종 16년) 안처겸이 [[남곤]]과 [[심정]]을 없애려다 오히려 역공을 당해 역모를 꾸몄다는 죄로 사형당했다. 이 때 추대 대상으로 경명군이 언급되었지만 다행히 [[중종(조선)|중종]]의 비호로 무사했다. 그러나 활동 범위를 제약당하는 등의 불이익을 당했다. == 사후 == 1526년(중종 21년)에 사망했다. 향년 37세. [[무덤|묘]]는 [[경기도]] [[의정부시]] 산곡동에 있다. == 가족 관계 == * 부 : [[성종(조선)|성종]](成宗, 1457 ~ 1494) * 모 : [[숙의 홍씨(성종)|숙의 홍씨]](淑儀 洪氏, 1457 ~ 1510) * 누나 : [[혜숙옹주]] 이수란(惠淑翁主 李秀蘭, 1478 ~ ?) * 형 : [[완원군]] 이수(完原君 李𢢝, 1481 ~ 1509) * 형 : [[회산군]] 이념(檜山君 李恬, 1482 ~ 1512) * 형 : [[견성군]] 이돈(甄城君 李惇, 1482 ~ 1507 ) * 누나 : [[정순옹주(성종)|정순옹주]] 이복란(靜順翁主 李福蘭, 1486 ~ ?) * 형 : [[익양군]] 이회(益陽君 李懷, 1488 ~ 1552) * 동생 : [[운천군]] 이인(雲川君 李𪬦, 1491 ~ 1524) * 동생 : [[양원군]] 이희(楊原君 李憘, 1491 ~ 1551) * 동생 : [[정숙옹주(성종)|정숙옹주]] 이여란(靜淑蘭, 1493 ~ 1573) * 정부인 : 강양군부인 [[파평 윤씨]](江陽郡夫人 坡平 尹氏, ? ~ 1537) - 첨정 윤첩(僉正 尹堞)의 딸 * 장남 : 안성군 이수령(安城君 李壽齡, 1516 ~ ?) * 며느리 : [[남양 홍씨]](南陽 洪氏) - 군수 홍도경(郡守 洪輔卿)의 딸 * 손녀 : 이순현(李順賢, 1534 ~ ?) - [[진주 강씨|강윤서]](姜胤瑞)에게 출가 * 손자 : 평원군 이일(平原君 李鎰, 1539 ~ ?) * 며느리 : [[나주 나씨]](羅州 羅氏) - 현령 나윤철(縣令 羅允哲)의 딸 * 차남 : 안남군 이수련(安南君 李壽鍊, 1520 ~ ?) * 며느리 : [[안동 김씨]](安東 金氏) - 병사 김공석(兵使 金公奭)의 딸 * 손자 : 금천군 이보(錦川君 李俌, 1537 ~ ?) * 손자 : 능성군 이신(綾城君 李伸, 1542 ~ ?) * 손자 : 영천군 이정(靈川君 李侹) - 함녕군 이수련[* [[양원군]]의 아들]의 양자로 들어감 * 며느리 : [[청송 심씨]](靑松 沈氏) - 봉사 심봉(奉事沈崶)의 딸 * 손자 : 문성군 이건(文城君 李健, 1560 ~ 1623) - [[봉성군]]의 양자로 입적 * 장녀 : 이연환(李連環) * 사위 : 군수 증 좌찬성 [[안동 김씨|김생해]](郡守 贈 左贊成 金生海, 1512 ~ 1558) * 외손자 : 현감 증 영의정 김대효(縣監 贈 領議政 金大孝, 1531 ~ ?) * 외손자 : 증 판서 김원효(贈 判書 金元孝, 1536 ~ ?) * 증손자 : 김상준(金尙寯) * 외손자 : 증 영의정 김극효(贈 領議政 金克孝, 1542 ~ ?) * 증손자 : [[김상용]](金尙容) - [[인선왕후]]의 외조부 * 증손자 : 김상관(金尙寬) - [[세도가문]]의 실제 선조 * 증손자 : 김상건(金尙蹇) * 증손자 : [[김상헌(조선)|김상헌]](金尙憲) - 김대효의 양자로 출계 * 증손자 : 김상복(金尙宓) * 차녀 : 이옥녀(李玉女) * 사위 : 판관 [[전주 최씨|최충수]](判官 崔忠秀) * 외손자 : 참봉 최찬(參奉 崔瓚, 1534 ~ ?) * 외손자 : 최선(崔瑄, 1535 ~ ?) * 외손자 : 최호(崔琥, 1540 ~ ?) * 외손자 : 봉사 최박(奉事 崔璞, 1543 ~ ?) * 외손자 : 최영(崔瑛, 1551 ~ ?) * 외손녀 : 최계옥(崔季玉, 1536 ~ ?) * 외손녀 : 최종옥(崔終玉, 1539 ~ ?) * 외손녀 : 최연종(崔連終, 1547 ~ ?) * 외손녀 : 최말옥(崔末玉, 1554 ~ ?) * 외손녀 : 최예영(崔禮榮, 1575 ~ ?) * 외손녀 : 최예종(崔禮終, 1576 ~ ?) [[분류:조선의 왕자군]][[분류:서출]][[분류:1489년 출생]][[분류:1526년 사망]][[분류:종로구 출신 인물]][[분류:전주 이씨 경명군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