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테마파크)] ||<-2> '''{{{#1B1811 {{{+1 경남 마산로봇랜드}}}[br]Gyeongnam Masan Robot Land}}}''' || ||<-2> [[파일:로봇랜드캐릭터.png|width=200%]] || ||<-2> [[파일:로봇랜드초고화질.jpg|width=250%]] || ||<-2> [[파일:로봇랜드지도그림화.jpg|width=200%]] || ||<-2>[include(틀:지도, 장소=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로봇랜드로 250, 너비=100%, 높이=200px)]|| || '''{{{#1E4DE8 종류}}}''' || [[로봇]] 특화 [[연구소|연구지원센터]][br](로봇 관련산업시설, 중소벤처센터),[br][[로봇]] 특화 [[테마파크]] || || '''{{{#1E4DE8 주소}}}'''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로봇랜드로(창원)|로봇랜드로]] 250 (반동리) || || '''{{{#1E4DE8 개장}}}''' || [[2019년]] [[9월 7일]][* 경남로봇랜드재단 설립은 [[2007년]].] || || '''{{{#1E4DE8 운영기관}}}''' || ''' [[경상남도]]'''[br]'''경남로봇랜드재단'''[br]로봇파크 주식회사[* 로봇 테마파크 (놀이공원 시설) 한정] || || '''{{{#1E4DE8 연락처}}}''' || 055-214-6000 || || '''{{{#1E4DE8 홈페이지}}}''' || [[http://www.gnrobot.or.kr|경남로봇랜드재단 홈페이지]][br] [[http://www.robot-land.co.kr|로봇랜드 공식 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robotland.jpg|width=100%]]|| || '''로봇랜드 구조고도화 계획[* 경남 마산 로봇랜드는 구산관광단지와 장기적으로 연계하여 로봇 특화 종합단지 육성에 목표를 두고 있다.][* 즉, 로봇 테마 놀이공원이 중심이 아니라, 로봇 특화 연구단지를 중심으로 한 벤처기업 육성, 로봇산업장려가 로봇랜드 설립 취지이다.]'''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로봇랜드로(창원)|로봇랜드로]] 250 (반동리)에 있는 '''[[로봇]]을 주제'''로 하는 '''도립 테마파크''', '''로봇 관련 종합 연구장려단지'''이다. 총 7,000억 원(국비 560억, 도비 1,000억, 시비 1,100억, 민자 4,340억)의 사업비를 투입하여 로봇 관련 연구시설과 체험시설, 테마파크, 숙박시설 등을 포함한 대규모 복합 시설로 조성되었다. == 역사 == 2007년 정부에서 공모한 산업연계형 테마파크 유치를 위해 전국에서 14개 이상의 지자체가 응모하였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1&aid=0000136421|기사]] 혁신도시 유치 경쟁에서 탈락한 [[마산]]을 달래기 위해 경상남도에서 적극적으로 유치에 나섰고, 결국 치열한 경쟁을 뚫고 인천과 함께 마산이 로봇랜드 예비 사업자로 선정되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01&aid=0001819416|기사]] 민간사업자를 구하지 못해 한참동안 표류하다가 2010년 울트라건설 컨소시엄과 계약을 맺고 2014년 개장을 목표로 사업에 착수하게 되었다. 하지만 울트라건설의 부도로 공사가 중단되었고 대체 사업자로 물색한 [[대우건설]] 선정을 놓고 [[홍준표]] 경남지사와 [[안상수(창원)|안상수]] 창원시장 간의 갈등으로 경상남도가 로봇랜드 사업에서 아예 발을 빼겠다고 선언하는 등의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2&aid=0000517989|대립]]이 있기도 했다. 결국 [[대우건설]]이 사업자로 선정되었고 2015년부터 공사가 재개되었다. 국도비 및 테마파크 부문 사업비가 전액 확보되어 2019년 상반기 개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19년 8월 14일 마침내 개장일을 발표했다. 2019년 9월 7일에 개장할 것으로 예정됐다. [[경상남도]]도 '12년 만에 문을 연다'며 그동안 고생한 것을 강조했다. [[https://www.gyeongnam.go.kr/board/view.gyeong?boardId=BBS_0000060&menuCd=DOM_000000104001003000&paging=ok&startPage=1&categoryCode1=A&dataSid=41052293|기사]] 예정된 대로 2019년 9월 7일 개장했다. 창원에서는 2011년 폐장된 진해 파크랜드에 이후 8년 만에 다시 테마파크가 생겼다. 그리고 예정된 수순대로 1년만에 망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ranking/article/015/0004425824?ntype=RANKING|기사]]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가 유행한 시기인데다가 [[구산중앙로]]의 미개통, 컨텐츠 부실까지 겹친 탓에 시작부터 인파를 모으는데 실패했고 막대한 건설비의 보전조차 힘든 상황에까지 이르렀다. ---그리고 어디선가 많이본 로봇 디자인도 그렇고.--- 다만 테마파크 외에 연구시설 등의 개발이 이루어질 경우 어느정도 평가 반동 가능성은 있다. [[로봇]] [[테마파크]]는 민간에게 로봇 친화형 홍보시설이며, 주 메인은 [[로봇]] 관련 기업유치, 연구시설 지원 및 장려, 로봇개발 양성을 위한 벤처산업 육성에 취지가 있기에 테마파크 운영 실적 부진에 따른 전반적 사업 실패 라고 치부하기엔 좀더 두고봐야한다.[* 아직 구산관광단지가 지역 내 환경단체 반발로 삽을 뜨지 못하고 있고 [[구산중앙로]]는 [[2021년]] [[2월 4일]]이 되어서야 완전 개통하였다.] == 주요시설 == 공공부문에서는 로봇 연구개발 센터, 컨벤션센터, 로봇전시체험시설을 건립할 예정이며, 민간부문에서는 테마파크와 숙박시설(호텔, 콘도)를 건립할 계획이다. 로봇전시체험시설에는 제조로봇관, 로봇사피언스관, 로봇팩토리, 로봇판타지아 등 교육체험과 실감형 흥미 위주 등의 5개관, 11개 콘텐츠를 준비하고 있으며, 테마파크에는 길이 681m, 높이 34m의 썬더볼트를 위시한 놀이기구 22개가 들어선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79&aid=0003047562|기사]] == 이용요금 == * 일반요금 ||<|2><#FFF600> {{{#1E4DE8 '''연령/종류'''}}} ||<-2><#FFF600> {{{#1E4DE8 '''자유이용권'''}}} ||<#FFF600> {{{#1E4DE8 '''입장권'''}}} ||<|2><#FFF600> {{{#1E4DE8 '''놀이기구 1회 탑승권'''}}} || || '''종일권''' || '''오후권 [br] (오후 2시~)''' || '''종일권''' || || '''어른''' || 35,000원 || 26,000원 || 16,000원 ||<|3> 6,000원 || || '''청소년''' || 31,000원 || 23,000원 || 13,000원 || || '''어린이''' || 27,000원 || 20,000원 || 10,000원 || * 장애인(국가유공자)요금 ||<|2><#FFF600> {{{#1E4DE8 '''연령/종류'''}}} ||<-2><#FFF600> {{{#1E4DE8 '''자유이용권'''}}} ||<#FFF600> {{{#1E4DE8 '''입장권'''}}} || || '''종일권''' || '''오후권 [br] (오후 2시~)''' || '''종일권''' || || '''어른''' || 20,000원 || 15,000원 || 9,000원 || || '''청소년''' || 18,000원 || 13,000원 || 8,000원 || || '''어린이''' || 9,000원 || 8,000원 || 6,000원 || [[https://robot-land.co.kr/bbs/board.php?bo_table=dcevent|할인혜택]] 참고 == 테마파크 == [[https://robot-land.co.kr|경남로봇랜드 테마파크 홈페이지]] === 놀이기구 === * '''스카이타워 ''' > 65m 높이에서 82km 속도로 떨어지는 자유낙하 놀이기구 높이 올라가서 돌고 떨어지면서 끝난다. 보통 65m정도 높이 드롭타워의 낙하 속도가 대게 95~98km/h 인것을 감안하면 스카이타워의 낙하 속도는 조금 느린 편이다. || '''높이''' || 65m || || '''최고속도''' || 82km/h || || '''탑승 인원''' || 최대 28명 || || '''제작사''' || [[https://www.jinmarides.com/free-fall-tower-carnival-ride-zyt-28a.html|JINMA RIDES]] || (키제한 : 140cm ~ 195cm) * '''증기 범퍼카''' > 자동차를 주행하며 충돌을 즐기는 놀이기구 (키제한 : 140cm ~, 120cm ~ 140cm는 보호자 동반 탑승) * '''파도 여행''' > 360도 회전하는 배를 타고 레일 위를 움직이는 놀이기구 롯데월드의 자이로스핀의 미니버전이다. 에버랜드의 매직스윙과 거의 똑같다. || '''탑승 인원''' || 최대 24명 || || '''제작사''' || Zamperla || (키제한 : 105cm ~ ) * '''별자리 여행''' > 2중 회전축을 통해 예측할 수 없는 방향으로 빙빙 도는 스릴 놀이기구 긴 막대의 끝에서 회전하는 원판의 의자에 타며 그 막대도 가운데를 중심으로 회전하는데, 궤도가 비스듬하다. (키제한 : 120cm ~ ) * '''회전 그네''' >7.5m 높이에서 그네를 타고 고공회전하는 놀이기구 (키제한 : 140cm ~ ) * '''[[회전 기어]]''' > 15m 높이에서 빠른 속도로 360도 입체 회전하는 놀이기구 에버랜드의 [[렛츠 트위스트]]와 운행방식이나 생김새는 약간 다르지만, 공중에서 360도 이리저리 회전하는 등 탔을때 느낌은 렛츠 트위스트와 거의 비슷하다. 자세한 것은 문서 참조. || '''높이''' || 15m || || '''탑승 인원''' || 최대 24명 || || '''제작사''' || Zamperla || (키제한 : 120cm ~ ) * '''[[쾌속열차]]''' > 최고속력 90km/h, 수직하강, 360도 회전 등 스릴 코스를 체험할 수 있는 롤러코스터 로봇랜드의 '''기함급 어트랙션'''이다. 자세한 것은 문서 참조. (키제한 : 130cm ~ )[* 구 140cm ~ ] * '''[[새로운 항해]]''' > 물보라와 함께 25m 높이에서 아찔하게 하강하는 상어 로봇 워터 롤러 코스터. 경주월드의 [[섬머린 스플래쉬]]와 비슷하지만 롤러코스터 트랙이 있다. 참고로 한 번 타면 싹 다 젖는다. 섬머린 스플래쉬 정도까지는 아니지만, 진짜로 한 번 샤워하는거라고 보면 편하다. --옷 준비 안하거나 입고 타면...-- 자세한 것은 문서 참조. (키제한 : 140cm ~, 110cm ~ 140cm[* 구 120cm ~ 140cm]는 보호자 동반 탑승) * '''티파티''' > 티컵을 타고 빙글빙글 회전하는 놀이기구 티컵, 에버랜드의 릴리댄스와 비슷한 기종. (키제한 : 100cm ~ )[* 구 140cm ~, 100cm ~ 140cm는 보호자 동반 탑승] * '''로코선장 해적선''' > 티배 모양의 승물을 타고 최대 60도까지 앞뒤로 움직이는 놀이기구 바이킹. 롤러코스터나 자이로드롭을 타기 전에 타야 된다. --왜냐하면...-- (키제한 : 110cm ~ )[* 구 140cm ~, 110cm ~ 140cm는 보호자 동반 탑승] [youtube(INNbULB8m5I)] * '''어린이 타워''' > 11m 높이에서 하강하는 어린이 전용 미니 스카이 타워 어린이용 자이로드롭. || '''높이''' || 11m || || '''최고속도''' || 10.1m/s[* 시속으로 환산하면 36.36km/h.] || || '''탑승 인원''' || 최대 12명 || || '''제작사''' || JINMA RIDES || (키제한 : 140cm ~) * '''로봇 친구들''' > 최고 7.7m 높이에서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그네형 놀이기구 작은 회전그네. (키제한 : 130cm ~ 190cm)[* 구 130cm ~ 185cm] * '''로샤와 친구들''' > 둥글게 회전하는 목마와 마차를 타는 놀이기구 회전목마. || '''최고속도''' || 3.1km/h || || '''탑승 인원''' || 최대 72명 || || '''제작사''' || JINMA RIDES || (키제한 : 100cm ~, 80cm ~ 100cm는 보호자 동반 탑승, 70cm ~ 80cm는 보호자 동반 탑승 시 마차 탑승 가능)[* 구 110cm ~, 80cm ~ 110cm는 보호자 동반 탑승] * '''점핑 봇''' > "띠용" 소리와 함께 통통 튀는 회전형 놀이기구 바운스스핀. (키제한 : 90cm ~ 140cm)[* 구 100cm ~ 140cm] * '''날으는 로봇''' > 2인승 로봇이 4m/s의 속도로 빙글빙글 돌아가며 위 아래로 움직이는 놀이기구 우주전투기. (키제한 : 130cm ~, 70cm ~ 130cm는 보호자 동반 탑승)[* 구 140cm ~, 80cm ~ 140cm는 보호자 동반 탑승] * '''어린이 범퍼카''' > 어린이들을 위한 자동차 주행 시설로 충돌을 즐기는 어트랙션 어린이용 범퍼카. (키제한 : 100cm ~ 140cm) * '''어린이 제트''' > 어린이들을 위한 회전 놀이기구 우주전투기와 비슷한 기종. (키제한 : 90cm ~ 130cm) * '''어린이 관람차''' > 천천히 7m 높이까지 올라갔다가 내려오는 어린이용 관람차 작은 관람차. (키제한 : 90cm ~, 70cm ~ 90cm는 보호자 동반 탑승) * '''콘보이''' > 지상의 레일을 따라 느린 속도로 주행하는 기차 놀이기구 롯데월드의 쁘띠빵빵과 비슷할 것으로 추정된다. (키제한 : 90cm ~ 130cm) * '''해피스윙''' > 앞/뒤로 움직이는 스윙형 놀이기구 || '''높이''' || 5m || || '''탑승 인원''' || 최대 12명 [* 양 끝 각각 한 좌석은 어른 탑승] || || '''제작사''' || Zamperla || (키제한 : 90cm ~ 185cm, 80cm ~ 90cm는 보호자 동반 탑승) * '''정글목마''' > 정글에 있는 동물과 함께하는 어린이용 회전목마 작은 회전목마. (키제한 : 105cm ~ 165cm, 90cm ~ 105cm는 보호자 동반 탑승) * '''숲속 열차''' > 숲속을 주행하는 열차를 타고 레일에 따라 급하강, 급회전을 하며 강한 원심력과 속도감을 느낄 수 있는 롤러코스터 (1회 3바퀴 회전) 어린이용 롤러코스터. || '''높이''' || 5.5m || || '''탑승 인원''' || 최대 14명 || || '''제작사''' || SBF Visa group || (키제한 : 120cm ~ )[* 구 130cm ~] === 체험시설 === * '''로봇 팩토리움''' > 나만의 자동차를 디자인하는 3D맵핑과 미래 세계를 체험할 수 있는 VR까지! 기존 제조로봇관을 리뉴얼하여 오픈한 곳이다. (VR체험 키제한 : 120cm ~ ) * '''마린로봇''' > 우리나라의 지형적 특성을 살린 심해자원 채취, 케이블 포설, 재난구조 등 해양로봇 전시 잠수정을 타고 해양 작업로봇 탐험. 해양로봇관으로 불린다. (키제한 : 110cm ~, 80cm ~ 110cm는 보호자 동반 탑승 ) * '''윙오브코스모스''' > 우주로봇 니케와 함께 가이아행성의 특수임무를 완수하는 체험관입니다. 우주항공로봇관으로 불린다. 1층은 대기공간이며 체험 시간이 되면 엘리베이터로 2층이나 3층으로 올라가 체험을 한다. (키제한 : 140cm ~, 120cm ~ 140cm는 보호자 동반 탑승) * '''로봇사피언스''' > 인간과 로봇이 협업하여 인류의 역사를 바로잡는 이야기를 들려드립니다. * '''로보타버스''' > 광활한 우주를 건너 미래 속 세상으로 떠나는 로봇랜드만의 우주선 * '''로봇스쿨''' > 로봇코딩교실과 가상스포츠실에서 즐기며 배우는 체험교실 * '''희망로봇 대모험''' > 감성로봇 리쿠와 함께 상상 속 인간의 감정을 가진 로봇들이 사는 미래로봇 세상을 뉴 미디어로 즐겨보는 로봇 체험 전시관입니다. === 관람시설 === * '''로봇극장''' > 제조로봇의 로봇공연과 퍼포먼스를 만나볼 수 있습니다. * '''로봇판타지아''' > 동화속 캐릭터로 변한 로봇들이 있는 로봇동화랜드입니다. === 운행 종료된 놀이기구 === * ''' AI해피봇 ''' > 영상 속 로봇과의 대화를 통해 미래 인공지능 기술을 느낄 수 있는 체험관입니다. * ''' 로봇스테이지 ''' > 다양한 로봇들을 만나 볼 수 있는 체험관입니다. * '''로봇 팩토리''' > 제조형 로봇들이 일사분란하게 움직이며 돌아가는 공장의 일과를 들여다보는 흥미로운 체험시설 트랙리스 다크라이드. 큰 스토리같은건 없으며, 무인자동차(전동차)를 타고 로봇을 관람하는 시설이다. 다른 지방 다크라이드[* 라바 스페이스 어드벤처]와는 달리 사진, 동영상 촬영이 허용되지만, 지방 놀이기구의 특성도 있고 개장한지 얼마 안되었기 때문에 아직은 정보가 많이 없다. 공식 명칭은 '''로봇 팩토리'''이지만 그외의 매체에서는 제조 로봇관으로 불리고있다. [[https://youtu.be/C9qTEVW2hBc|개장 두달만에 이곳에서 사고가 발생하였으며,]] [[https://n.news.naver.com/article/421/0004318523|현재는 갖가지 요인으로 인한 부실공사 의혹으로 건설사에게 배상을 요구하고있다.]] 더붙어 로봇 팩토리의 건설비용이 공개되었는데 자그마치 '''65억'''. 22년 12월 ‘로봇팩토리움’으로 리뉴얼되어 다크라이드로서의 기능을 완전히 상실해버렸다. (키제한 : 120cm ~ ) * '''에디로봇별 대모험''' > 관람객과 로봇 사이의 직접적이고 능동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전혀 새로운 경험과 즐거움을 선사하는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 체험입니다. 23년 1월 29일 기준으로 홈페이지의 놀이기구 목록에서 삭제되어 있다. 윙오브코스모스 1층에 위치해 있었다. * '''NORI-1(노리)''' > 라인을 따라 자율주행 하는 안내로봇을 탑승하여 로봇랜드를 여행합니다. 23년 1월 29일 기준으로 홈페이지의 놀이기구 목록에서 삭제되어 있다. 별자리여행 뒤쪽에 위치해 있었지만 지금도 기구는 남아있다. * '''로보폴리스''' > 다양한 로봇들이 인간들과 공존하는 미래도시를 만나보세요. 미래로봇관으로 불린다. 2023년 11월 3일부로 로보타버스로 리뉴얼되어 VR체험이 없어졌다. (키제한 : 110cm ~ ) 매년마다 신규 콘텐츠를 개발하고 있다. === 식당 및 상점 === * '''[[롯데리아]]''' > 햄버거, 치킨 등 판매 중심광장 내 왼쪽에 위치 * '''카페테리아''' > 커피, 에이드, 아이스크림 등 판매 중심광장 내 왼쪽에 위치 * '''로샤의주방''' > 돈까스 정식 등 판매 어린이범퍼카 왼쪽에 위치 * '''쉐프로코''' > 짜장면, 짬뽕, 탕수육 등 판매 증기범퍼카 왼쪽에 위치 * '''로코커피''' > 커피, 에이드 등 판매 회전기어 앞쪽, 쉐프로코 뒷쪽에 위치 * '''클라우드스테이션''' > 치킨, 맥주 등 판매 가디언로봇 뒷편, 드림스테이지 앞쪽에 위치 * '''풀하우스''' > 덮밥, 왕만두 등 판매 희망로봇대모험 오른쪽에 위치 * '''드림박스''' > 열쇠고리, 스틱풍선, 캐릭터 잡화 등 판매 중심광장 내 왼쪽에 위치 * '''매직 스페이스''' > 머리띠, 모자, 헬륨풍선, 시즌상품 등 판매 중심광장 내 오른쪽에 위치 * '''토이랜드''' > 봉제인형, 완구류, 젤리코너, 우의, 버블건, 시즌상품, 가차샾 등 판매 로코선장해적선 앞쪽에 위치 * '''[[스태프 핫도그]]''' > 핫도그, 소시지, 커피, 음료 등 판매 회전그네 앞쪽에 위치 * '''봄봄카페''' > 커피, 에이드, 티 등 판매 스카이타워 옆쪽에 위치 * '''한끼의품격''' > 치킨, 치즈볼, 핫도그, 음료 등 판매 로봇스쿨 앞쪽, 새로운 항해 뒤쪽에 위치 * '''키디보틀''' > 슬러시, 츄러스, 팝콘 등 판매 숲속열차 앞쪽에 위치 * '''[[요거프레소]]''' > 커피, 티, 요거트 등 판매 로샤와친구들 앞쪽에 위치 * '''간식천국''' > 아이스크림, 통감자, 버터구이오징어 등 판매 스카이타워 앞쪽에 위치 * '''[[신전떡볶이]]''' > 신전떡볶이, 즉석라면, 컵밥 등 판매 스카이타워 뒤쪽에 위치 * '''로봇아저씨''' > 로봇빵, 로봇아이스크림, 슬러쉬 등 판매 판타지아 가든 뒤쪽에 위치 == 교통 == 로봇랜드 개장에 맞추어 진입도로 역할을 하게 될 [[구산중앙로]]와 [[로봇랜드로(창원)|로봇랜드로]]가 개통하였다. 하지만 국도5호선 거제 - 마산 사업구간 중 마산구간 전량 개통이 지지부진 하는 와중 로봇랜드를 개장하게 되자 '''반쪽짜리 접속도로''' 덕분에 접근성이 크게 저하되어 있었으나, 2021년 2월 4일 '''구산면 관통 국도5호선이 전량됨에 따라 차량 접근성이 매우 편리해졌다!''' 장기적으로 [[거제시]]와 성공적으로 도로와 교량이 연결된다면 상당한 [[시너지]]를 얻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명주마을을 경유하는 시내버스 노선의 기종점도 그 로봇랜드에 맞추어 변경되었다.[* 단, 일부 시간대는 로봇랜드를 미경유하는 경우도 있다.] 예외인 노선도 있었는데 마산 ~ 창원간 급행버스인 [[창원 버스 801|801번]]으로 명주마을을 경유하지 않았던 노선이다. 그러나 동절기와 이후 코로나로 인한 로봇랜드 이용객의 감소 때문에 2019년 12월 2일부터 더 이상 로봇랜드를 경유하지 않게 되었다. ~~그리고 2023년 6월 10일부로 폐선되어 사라졌다.~~ 2023년 6월 10일 이후 기준으로 [[창원 버스 60번대 노선#s-2.5|64번]]을 타면 로봇랜드에 갈 수 있으며, 2023년 8월 26일부터는 일부 시간대에 한해 [[창원 버스 60번대 노선#s-2.6|65번]]도 로봇랜드에 기종점으로 종착하고 있다. 또, [[https://robot-land.co.kr/bbs/board.php?bo_table=notice&admin_mode=&wr_id=234&&admin_mode= |셔틀버스]]로 경남대에서 로봇랜드까지 무료로 이용 할 수 있다. 단, 평일은 운행되지 않는다. [[창원 버스 994]]는 2019년 로봇랜드 개장으로 신설된 임시 좌석버스 노선이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및 로봇랜드 이용객 감소로 인해 폐선되어 사라졌다. == 논란 == [youtube(VI8cJGiDFto)] [youtube(yFYhkgsJCp0)] [youtube(3Pq-a6RpIo4)] [youtube(v-8-RDbXqmo)] == 여담 ([[모모랜드]] 관련) == || [youtube(PJWLSuk3Zx4)] || || [youtube(gguCFulCiVo)] || || {{{#000000 '''[[모모랜드]], [[로봇랜드]] 홍보 영상'''}}} || 여담이지만, 본래 [[로봇랜드]]의 공식 홍보대사는 다름 아닌 '''[[모모랜드]]가 맡을 계획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모종의 이유[* [[예산]] 문제 등 행정적 마찰 문제로 보인다.]로 개장 당시 공식 홍보모델로 기용되어 활동하지는 않았었는데, [[모모랜드]]가 적극적으로 마케팅을 했었다면 로봇랜드가 전국구로 알려지는 것에 큰 작용을 하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운 목소리도 나와 여러모로 안타까운 부분. [[분류:경남 마산로봇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