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안성터미널과 야탑역을 잇는 노선, rd1=안성 버스 8201)] [include(틀:폐선)] || [[파일:KD8201-a.png|width=100%]] || [[파일:KD8201-c.png|width=100%]] || || 지역난방공사까지 운행하던 시절 || 폐선 직전 모습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광주시 CI_White.svg|width=20]] {{{#ffffff 광주시 간선급행버스 8201번}}} || ||<-2><:>기점||<:>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상현동(상현역)||<-2><:>종점||<:>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강남역]])|| ||<|2><:>종점행||<:>첫차||<:>05:30||<|2><:>기점행||<:>첫차||<:>06:10|| ||<:>막차||<:>23:10||<:>막차||<:>23:50|| ||<-2><:>평일배차||<:>10~20분||<-2><:>주말배차||<:>20분|| ||<-2><:>운수사명||<:>[[대원고속]]||<-2><:>운행대수||<:>11대 || ||<-3><:><#ff0000>{{{#ffffff 경유 정류장}}}|| ||<:>'''용인(수지)'''||<|8><:> ↔||<:>'''서울(강남)'''|| ||<:> 상현역 ||<:>KCC사옥|| ||<:>수지지역난방공사||<:>신논현역.BSX빌딩|| ||<:>풍덕천2동주민센터.현대성우아파트||<:>강남역.도시에빛|| ||<:>한성아파트.한국아파트.현대1차아파트||<:>역삼동.우성아파트|| ||<:>풍덕천1동주민센터||<:>뱅뱅사거리|| ||<:>동천동현대홈타운2차아파트||<:>양재역.엘타워빌딩|| ||<:>머내(IBK기업은행)||<:>시민의숲.양재꽃시장|| == 개요 == '''[[대원고속]] 최후의 [[간선급행버스]] 노선'''으로, [[용인]] 수지구와 서울 강남구를 오갔다. == 역사 == * 2008년 9월 20일 간선급행버스 도입 때 신설되었다.[* 같은 날에는 8200번(서울역행)이 신설되고 1115-5번이 8202번(잠실역행)으로 전환되었다.] * 2011년 수지구 광역버스 개편 때 동천동현대홈타운 경유로 변경되었다. * 과거엔 출근시간에[* 7시 20분, 7시 40분에 성원아파트에서 출발] 진산마을을 경유했으나 폐지되었다. 현재는 마을버스가 있는 [[죽전역(분당선)|죽전역]]을 이용하거나 [[수지구청역]]에서 [[신분당선]]을 타고 가야 한다. * 이후 불법감차로 인해 배차간격이 나빠졌다. * 2018년 4월 20일에 경기도 시내버스 준공영제가 시행되어 인가대수인 11대로 증차되었다. * 2018년 5월 25일에 수지지역난방공사에서 상현역까지 연장되었다. [[http://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ransit&no=50041|관련 게시물]] * 수요 부족으로 인해 2019년 8월 5일에 폐선되었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ransit&no=159426|관련 게시물]]. 다만 준공영제 노선이므로 단순 폐선은 아니고 [[화성 버스 6004|6004번]] 개통에 따라 [[용인 버스 1560|대체노선]] 신설에 활용되었다. 서류상으로는 8201번이 1560번으로 노선과 번호를 변경한 셈이다.[* 舊 1560번은 6004번으로 노선ㆍ번호를 변경했다.] 이로 인해 대원고속의 간선급행버스는 사라지게 되었다. == 특징 == * 과거 신분당선이 개통되기 전에는 출퇴근 시간대마다 지역난방공사부터 빈 자리가 없어 머내기업은행을 지나면 입석이 엄청 넘칠 정도로 인기가 좋았다. [[광역급행버스 M4101|M4101]]과 함께 [[수지구]] 주민들의 빛과 소금이라 할 수 있었다. 특히 과거에는 [[광역급행버스 M5414|M5414]]에 비해 엄청난 배차간격을 보여줬다. 2011년 10월 수지지역 직행좌석버스 개편으로 인해 머내에서 [[강남역]]으로 가는 노선이 이 노선 말고는 [[경기광주 버스 6800|6800번]]밖에 없어 이 노선에 의존하는 경향이 컸다. 이후 [[성남 버스 1251|1251번]]도 추가되어 총 세 노선이 경유하게 되었다.[* 이와 동시에 M4101번, 6800번에 이어 수지구에서 3번째로 [[자일대우버스 FX|FX116]] 차량이 도입되었다. 로얄력셔리 차량이 점점 줄어들고 FX116 차량이 점점 많아지더니 2012년 전 차량 FX 차량으로 교체되었다.] * [[신분당선]] 개통 이전에는 [[광교신도시]] 주민들이 M5414번의 대체재로 이용하기도 했다. 이 외에도 [[상현동]]에서는 [[포은대로]]를 직통해 연결해주는 [[경기광주 버스 660|660번]], [[경기광주 버스 720|720번]], [[용인 마을버스 82-1|82-1번]] 등을 타거나 환승할인을 이용해 직행좌석버스인 [[성남 버스 1002|1002번]], [[성남 버스 6900|6900번]]을 타고 나가기도 했다. * [[신분당선]] 연장선이 개통된 후 수요가 급감했다. 당장 이 노선 주 수요처에 [[성복역]], [[수지구청역]], [[동천역(신분당선)|동천역]]이 생겨, 수지 지역에서 신분당선을 타고 훨씬 빨리 환승 없이 강남까지 나갈 수 있게 됐기 때문.[* [[신분당선]]으로 강남역까지 가는 요금이 수지지구나 광교지구 내에서는 2500원을 넘기 때문에 이 노선에 타격을 입히기 어려울 것 같다는 의견도 있었으나([[광역급행버스]]와 [[직행좌석버스]]는 2400원), 정기권 적용 시 버스보다 훨씬 유리한 운임을 적용받고 무엇보다도 신분당선의 속도, 배차간격 및 접근성이 버스에 비해 매우 좋다는 점으로 반박됐다.] [[신분당선]] 개통으로 2016년 1월 전체 승하차 14,000여 명에서 2월 6,200명으로 5월에는 5,100명으로 줄더니 11월에는 '''1000명대'''로 떨어졌다.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bus&no=1265831|관련 게시물]] 2018년 이후로는 '''900명대'''로 광주시 면허 직행좌석버스 최하위권에 머물러 있다. 운행대수 역시 18대에서 5대로 감소. 앞으로도 승차량이 더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 때 감차된 차량들은 마침 기존 차량들의 내구연한이 만료된 [[경기광주 버스 1113-1|1113-1번]], [[경기광주 버스 1113-2|1113-2번]]으로 넘어갔다. 즉, 기존에 있던 차량들을 말소시키고 이 노선에 있던 차량들을 전출시킨 것.[* 2017년 10월에는 승차승객이 1182명을 기록했는데 경기광주 직행좌석버스 중 이거보다 적게 탄 노선은 [[경기광주 버스 1113|1113번]] 밖에 없다.] 2017년 11월 27일에는 평일임에도 불구하고 4대로 운행한 적이 있지만, ~~몰려드는 민원 때문에~~ 다음 날 바로 5대로 환원되었다. ~~이 노선보다 더 망한건 M5414번이다~~ * 제대로 직격탄을 맞은 [[광역급행버스 M5414|M5414번]]과 달리 이 노선은 출퇴근 시간대에 만석을 많이 찍었다. 이 노선은 입석으로 신분당선을 타야 했던 출퇴근 승객들의 대체제가 되었고 노선 선형도 나쁘지 않았다. 그러나 M5414번은 광교신도시 내의 노선 선형이 신분당선의 강남 방향과 정면으로 역행하는 데다가 상행 운행 시 신갈분기점으로 돌아서 가기 때문에 이 노선이나 신분당선과 비교해 볼 때 선형이 매우 불량했다. 게다가 당시 [[광교역]]부터 [[상현역]]까지는 무조건 착석 확정이었기 때문에 이 노선과 달리 주 수요처인 상현역과 광교중앙역 승객들에게 매력적인 대체제가 될 수 없었다. * 차량은 과거 전 차량 [[자일대우버스 FX|FX II 116]] 차량이었으나 [[신분당선]] 영향으로 수요가 떨어지자 [[차돌리기]]를 많이 당해 구형 차량이 대부분이었다. 준공영제 실시로 무려 2008년식 럭투 2대가 들어왔으나 각각 1007번과 1112번으로 빠지고 8906번 출신 FX II 116이 두 노선에서 1대씩 각각 넘어왔다. 그리고 폐선된 [[경기광주 버스 1005-1|1005-1번]] 출신 FX차량이 5대 넘어오면서 유니버스 1대를 제외하고 다시 전 차량 FX로 바뀌었다. 이후 디젤차량만 운행하는 영업소에서 차량이 폐차되어 본 노선 차량이 차출됨에 따라 신차로 교체되는 듯 했으나 실상은 5500-2번에 신차를 투입하고 팬더럭셔리를 포함한 구형차량 2대를 받아왔다. * 상현역으로 연장되면서 광교 일대 주민들이 [[광역급행버스 M4101|M4101번]]을 타기 위해 지역난방공사로 나가는 셔틀 역할로 전락하고 말았다(...). 그리고 M4101번도 상현역으로 연장되면서 이 역할도 뺏겼고 결국 그대로 폐선됐다. === 일평균 승차량 === * 원 출처는 [[http://gits.gg.go.kr/gtdb/web/trafficDb/bus/TransitBusLinePass.do|경기교통DB]]이며,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하였다. * 경기도 자료는 연간데이터가 없어 '''매년 3월'''을 기준으로 작성하였다. * '''현금승차량은 집계되지 않았으며, 데이터 누락이나 오류로 인해 실제 승차량보다는 낮게 집계되니 단순 참고용으로만 확인하기 바람.''' ||<-3> '''평일''' ||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6,845||<)>|| ||2015년||<)>6,826||<)>{{{#blue ▽ 19}}}|| ||2016년||<)>3,085||<)>{{{#blue ▽ 3,741}}}|| ||2017년||<)>1,777||<)>{{{#blue ▽ 1,308}}}|| ||2018년||<)>959||<)>{{{#blue ▽ 818}}}|| ||<-3> '''주말''' ||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5,133||<)>|| ||2015년||<)>5,327||<)>{{{#red △ 194}}}|| ||2016년||<)>1,944||<)>{{{#blue ▽ 3,383}}}|| ||2017년||<)>1,096||<)>{{{#blue ▽ 848}}}|| ||2018년||<)>513||<)>{{{#blue ▽ 538}}}|| == 연계 철도역 == * [[서울 지하철 2호선]]: [[강남역]] * [[서울 지하철 3호선]]: [[양재역]] * [[서울 지하철 9호선]]: [[신논현역]] * [[신분당선]]: [[상현역]], [[수지구청역]], [[동천역(신분당선)|동천역]], [[양재시민의숲역]], [[양재역]], [[강남역]] [[분류:광주시의 시내버스]][[분류:2008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2019년 폐지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