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1기 116-1번, rd1=광주시 버스 목록/폐선, paragraph1=4.5, other2=2기 116-1번, rd2=광주시 버스 목록/폐선, paragraph2=2.46)] [include(틀:폐선)]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경기광주 116-1번 대우 좌석차량.jpg|width=100%]]}}}|| [목차] == 노선 정보 == ||<-6><:>[[파일:광주시 CI_White.svg|width=20]] {{{#ffffff 광주시 일반시내버스 116-1번}}}||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경기광주 116-1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정자역]]) ||<-2> 종점 || 경기도 오산시 갈곶동(갈곶동.KCC스위첸아파트) || ||<|2> 종점행 || 첫차 || 05:00 ||<|2> 기점행 || 첫차 || 08:10 || || 막차 || 17:00 || 막차 || 20:00 || ||<-2> 배차간격 ||<-4> 1일 3회 || ||<-2> 운수업체 || [[경기고속]] ||<-2> 인가대수 || 10대[* 운행종료 직전에는 '''1대'''로만 운행했다.] || ||<-2> 노선 ||<-4> [[정자역]] - [[미금역]].청솔마을.2001아울렛 - [[오리역]] - 동성1차아파트.죽전패션타운 - [[보정역]].[[보정고등학교]].[[동아솔레시티]] - 연원마을 LG.벽산아파트.[[구성역]] - 용인운전면허시험장 - 신갈오거리 - [[한국민속촌|민속촌입구]] - 호수청구아파트 - 세원아파트 - 고매사거리.고매농협 - [[삼성반도체]] - 동탄이마트.한림대병원 - [[메타폴리스]] - 나루마을상가 - 나루마을.한화우림 - 신미주아파트 - [[한국지역난방공사]] - DM디스플레이 - 운암주공2.3단지.운천고 - [[오산시청]].운암주공4단지 - 운암주공5단지·운암중학교 - (→ 신양아파트.[[현대자동차]] → (구)화성동부경찰서 →/← 문화의거리 ← [[오산역]].[[오산역환승센터|오산터미널]] ←) - 오산역e-편한세상1단지아파트 - 원동초교.제일교회앞 - 우방한솔아파트 - 갈곶동.KCC스위첸아파트 || == 개요 == [[경기고속]]에서 운행하던 일반시내버스 노선으로, [[정자역]]에서 [[오산시]] 갈곶동까지 갔다. == 역사 == * [[2001년]] 12월 3일에 '[[모란역]] - 갈곶동' 노선으로 개통되었다. 개통 당시 운행댓수는 6대. * 얼마 못 가서 '모란역 - [[미금역]]' 구간을 단축했다. 상대원까지 가던 시절에는 배차간격이 길어 수요가 적었으나, 단축한 뒤에는 배차간격이 나아져 수요가 점점 늘어나기 시작했다. * 2007년, [[동탄신도시]] 입주에 맞춰 노선을 변경했다. * 운행구간이 비슷한 [[경기광주 버스 1116|1116번]]이 워낙 이용객이 저조해 2011년 5월 116-1번과 [[경기광주 버스 1116|1116번]]을 통합한다는 이야기가 있었고 기사까지 났으나 계획이 취소돼 그대로 운행 중이다가 결국 1116번이 폐선되었다. * 2011년 8월 18일에 [[정자역]]으로 연장되었다. * 2017년 9월 18일부터 용인시의 [[http://ktsmemo.cafe24.com/s/YonginBikeRoad/288|삼거교 철거 후 재건축 공사]]로 인해 구성삼거리 정류장이 일시적으로 폐쇄되면서, 마북삼거리에서 구성삼거리 방향으로 진입하지않고 용구대로 상의 구성사거리 정류장에서 정차한다.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rhythmgame&no=9814175|관련 게시물]] 삼거교 재건축 완료 후 구성삼거리 정류장은 복원되었으나, 이 노선은 계속 용구대로 상의 구성사거리에서 정차한다. * 2018년 4월 9일에 막차가 23시 반에서 23시로 조정되었다. [[http://gall.dcinside.com/rhythmgame/10154551|관련 게시물]] * 2020년 8월 기준으로 평일 및 토요일 1일 17회, 공휴일 1일 14회 운행했다. [[https://www.gjcity.go.kr/depart/bbs/view.do?mId=0402010000&bIdx=291846&ptIdx=174|광주시 공지사항]] * 2020년 11월 9일부터 평일 및 토요일 1일 20회, 공휴일 1일 16회로 증회 운행한다. [[https://www.gjcity.go.kr/depart/bbs/view.do?mId=0402010000&bIdx=293368&ptIdx=174|광주시 공지사항]] * 2020년 12월 3일부터 평일 및 토요일 1일 15회, 공휴일 1일 12회로 감회되었다. [[https://www.gjcity.go.kr/depart/bbs/view.do?mId=0402010000&bIdx=294030&ptIdx=174|광주시 공지사항]] * 2021년 3월 10일부터 평일 및 토요일 1일 18회, 공휴일 1일 15회로 복귀되었다. [[https://www.gjcity.go.kr/depart/bbs/view.do?mId=0402010000&bIdx=296269&ptIdx=174|광주시 공지사항]] * 2021년 3월 15일부터 평일 및 토요일은 현행 유지, 공휴일 1일 12회로 감회되었다. [[https://www.gjcity.go.kr/depart/bbs/view.do?mId=0402010000&bIdx=296371&ptIdx=174|광주시 공지사항]] * 2021년 8월 4일부터 평일, 공휴일 공통으로 1일 9회로 크게 감회되었다. [[https://www.gjcity.go.kr/depart/bbs/view.do?mId=0402010000&bIdx=301102&ptIdx=174|광주시 공지사항]] * 2021년 12월 20일부터 운행횟수가 평일 및 토요일 1일 6회, 공휴일에는 1일 3회로 크게 줄어든다. 막차는 정자역 기준 16~17시, 오산에서 19~20시로 크게 앞 당겨지면서 사실상 동탄 주박이 사라진 셈이다. [[https://www.gjcity.go.kr/depart/bbs/view.do?mId=0402010000&bIdx=303521&ptIdx=174|광주시 공지사항]] * 2022년 4월부터 평일 및 토요일 운행횟수도 '''1일 3회'''로 줄어들었다.[* 따라서 오산에서는 배차간격이 길어도 극단적으로 긴 노선이 되었다. 1일 7회 운행하는 [[오산 버스 71|71번]], [[오산 마을버스 90|90번]]과 1일 5회 운행하는 [[평택 버스 11-3|11-3번]]보다도 운행 횟수가 적다.] [[https://m.dcinside.com/board/transit/469349|관련 글]] 동탄신도시 입주 무렵에는 배차간격이 15~20분 가량이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늘어나서 결국 [[농어촌버스]], 아니 '''그 이상'''으로 극단적으로 길어졌다.[* [[농어촌버스]]마저도 배차간격이 짧고 운행횟수가 많은 노선은 [[오산 버스 71|71번]]의 배차간격 및 운행횟수만큼은 다니고, 더 나아가 빗자루질 농어촌버스까지 가면 [[오산 버스 9|9번]] 수준으로 배차간격이 짧은 노선([[가평 버스 15|예시 : 심지어 9번보다도 운행횟수가 많다.]])도 몇몇 있다.] * 결국 2022년 9월 9일자로 운행 종료되었다.[* [[파일:116-1 운행중지 안내문.jpg]]][* 오산 남부에서 1동탄으로 가는 버스는 이 버스가 유일하게 남았는데 그마저도 폐지되니 [[오산교통]]에서는 [[오산 버스 707|707번]]의 재개업이나 [[오산 버스 9|9번]]의 노선의 세교지구 부분을 오산 남부로 수정한 신규 노선 신설이, [[수원여객]]에서는 [[수원 버스 58|58번]]의 재개업이나 [[수원 버스 98|98번]]의 운암 및 갈곶동 연장이 필요해 보인다. 다행히도 [[오산 버스 9|9번]]과 [[오산 버스 760|760번]]이 통합되었기에 이제 오산 남부에서 1동탄으로 더 쉽게 갈 수 있게 되었다. 물론 [[오산 버스 760|舊 760번]]구간을 다 지나고 나서 [[오산 버스 9|舊 9번]]구간을 지나기 때문에 굴곡이 심한 것은 감안해야 한다.] * 그러다가 2022년 11월 1일에 GBIS에서 노선까지 삭제되면서 사실상 완전히 폐선된 상태다. == 특징 == * 분당에서 오산으로 가는 둘 뿐인 노선이었다.[* 다른 하나는 [[경기광주 버스 8301]]. ] 노선이 직선이다보니 [[분당선]]이 없던 시절에는 분당에서 오산까지 이용하는 장거리수요도 존재했고 동탄신도시 개발 전이라 굴곡도 없어 소요시간이 지금보다 빠른 편이어서 초장거리 수요 위주 노선이었다. 그러다 동탄신도시 개발 이후 동탄을 경유하며 수요가 늘기 시작했고 [[분당선]] 기흥, 상갈 연장 개통 이후 신갈~분당수요가 감소하였으나 보라동, 공세동 등 기흥구 인구가 늘면서 수요가 다시 늘어나 17대까지 댓수가 늘어나고 정자역으로 연장되면서 중형차랑에서 대형차량으로 교체 운행되었다. * 그런데 2015~6년 [[화성 버스 116-3|116-3번]]이 동탄2신도시로 연장하며 고매동~상갈동이 경합구간이 되었고 오산~방교동 구간이 중복인 [[화성 버스 116-2, 116-5|116-2번]]도 분리 개통되면서 수요에 상당히 타격을 입었고 경합노선 두개가 지속적으로 증차되며 116-1 수입금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결국 116-1번은 수요부족으로 감차되기 시작했으며 거기에 근로법 개정 영향으로 기사부족 문제와 장거리 노선의 휴게시간 보장 문제로 운행횟수마저 감회되어 평일 15~25분/주말 20~30분이었던 배차가 2019년 하반기에 접어들며 '''평일 75~90분/주말 90~120분'''까지 늘었다. 기흥(신갈)~오산 구간에서는 가장 잘 오는 시내버스가 '''더럽게 안오는 노선'''으로 전락해버린 것. 화성시의 적자지원보조를 받는 [[화성 버스 116-3|116-3번]]은 감차가 상대적으로 덜 되다보니[* 화성시의 적자지원보조를 받는 것은 [[화성 버스 116-2|116-2번]]과 [[화성 버스 116-5|116-5번]]도 마찬가지여서 이 두 노선은 감차되었지만 정점을 찍고서 더 이상 감차가 안 되어 [[오산 버스 760|760번]]에게 수요를 완전히 넘겨주지 않고 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116-1의 남은 수요마저 116-3에 뺏기면서 이젠 116-3번보다 배차간격도 나쁘고 수요도 나빠지고 말았다.[* 그 이후 점점 운행대수가 줄더니 지금은 아예 '''1대'''운행으로 줄었다. 이렇게 운행대수가 줄어든 이후에도 배차간격은 계속 길어지면서 '''1일 3회'''라는 농어촌버스 이상의 '''더럽게 극단적인 운행횟수와 배차간격'''을 자랑하게 되었다.][* 심지어 오산에서는 [[오산 버스 8|8번]], [[오산 버스 7|7번]], [[수원 버스 301|301번]], [[평택 버스 2|2번]], [[수원 버스 20|20번]], [[오산 버스 53|53번]]등 배차간격이 짧은 노선은 당연히 못 내밀고 배차간격이 매우 긴 [[오산 버스 71|71번]], [[오산 마을버스 90|90번]], [[평택 버스 11-3|11-3번]] 등도 역시 명함도 못 내밀게 배차간격이 극단적으로 길어졌다.][* 과거 3대로 운행했어도 심하면 한쪽 방향으로만 몰려있는 일이 잦았다. 예를들면,갈곶동->분당 구간에만 3대가 있는 경우라던가...] * 결국 과거에는 [[수원 버스 20|수원 20번]]처럼 [[빗자루질(교통)|빗자루질]]하던 이 노선이 이제 운행대수와 운행횟수가 급격하게 줄고 배차간격은 급격하게 늘어나 극단적인 수준[* [[농어촌버스]]와 [[평택 버스 11-3|11-3번]], [[오산 버스 21, 22|21, 22번]]등을 능가하는 수준이다.]까지 가다가 2022년 9월부터 운행이 중단되더니 끝내 사실상 그대로 폐선되었다. * [[오산시]] [[갈곶동]] 방면으로 갈 때는 [[오산역]]으로 가지 않았었다. 교차로 규칙상 오산농협 앞에서 오산역 방향으로 좌회전할 수 없기 때문에, 운암지구를 지나 신양아파트사거리에서 바로 좌회전하여 이마트 쪽으로 갔었다.[* 가까운 정류장에서 내려서 걸어가려면 500미터는 걸어야 했었다. 환승하는 시간 따지면 이 쪽이 나을 수도 있지만 노약자와 동행하고 있거나 본인이 걸어갈 체력이 부족한 노약자라면 11번이나 53번, 88번 등으로 환승하는 것이 낫었다. 정확하게는 '신양아파트, 현대자동차 정류장'에서 내려서 오산역 쪽으로 쭉 걸어가면 됐었다. 몇백 미터는 걸어야 하지만 실제로 걸어보면 그렇게까지 긴 거리는 아니고, 이렇게 이용하는 사람이 꽤 있었다. --근데 그냥 오산역 환승센터 가면 안되나?--] * KD 운송그룹 소속 일반시내버스[* 직행좌석버스까지 합치면 [[오산 버스 1311|1311번]]이 오산으로 간다. 한신대영업소 소속 노선들도 오산시로 들어가긴 하나 시내까진 가지 않는다.] 중에서 [[화성 버스 116-2, 116-5|116-2번]], [[화성 버스 116-2, 116-5|116-5번]]과 함께 오산시로 가는 노선이었고 고정배차[* 순환배차로 운행하는 공영버스 노선들까지 합치면 장호원에서 출발하는 [[이천시의 공영버스/율면|27번대 노선들]] 중 산성/호산리로 가는 노선들이 가장 남쪽까지 가며, 직행좌석/광역급행까지 합치면 [[평택 버스 6800]]이 제일 남쪽까지 간다.]하는 노선 중에선 가장 남쪽으로 가는 노선이었다. * 한때 오산에서 운행을 시작/종료하는 차량은 동탄2차고지[* 본래 [[동탄공영차고지]]로 갔으나, 2차고지로 변경되었다.]에서 공차회송했다. 쉬는 차들은 [[안녕동차고지]]에서도 주박했다. * '''[[시계외요금|거리비례제]]''' 적용 노선이므로 현금으로 승차시 목적지를 말해야 했다. * 동탄1신도시에서 오산 남부로 가는 사실상 유일한 노선이었다. 나머지 동탄신도시에서 오산 남부로 가는 노선은 전부 2신도시만 경유한다.[* 사실 [[화성 버스 H17|H17번]], [[화성 버스 116-2, 116-5|116-2번과 116-5번]], [[오산 버스 201|201번]]도 동탄1신도시를 일부 지나가긴 하지만 특정 마을만 경유([[화성 버스 H17|H17]]:나루마을)하거나 외곽만 스쳐 지나가서([[화성 버스 116-2, 116-5|116-2, 116-5]]:동탄이마트 쪽 외곽/[[오산 버스 201|201]]:서동탄역 쪽 외곽) 실질적으로 오산 남부에서 동탄1신도시의 시내를 경유하는 노선은 이 노선이 유일하다.][*참고 참고로 세교신도시에서는 [[오산 버스 9|9번]]이 동탄1신도시를 경유하기 때문에 ''''오산 남부''''로 수정하였다.][* 다만 세교신도시에서 동탄1신도시를 이어주는 [[오산 버스 9|9번]]은 그렇지 않지만 오산 남부에서 동탄1신도시를 이어주는 '''116-1번'''은 대체노선이 필요한 이유는 '''116-1번'''은 [[오산시]]에서 배차간격이 더 긴 노선이 [[평택 버스 11-6|1개]]밖에 없을 정도로 극단적인 배차간격(운행횟수 1일 3회)을 자랑하지만, [[오산 버스 9|9번]]은 배차간격이 [[오산 버스 8|8번]]이나 [[수원 버스 301|301번]]처럼 짧지는 않으나 앞서 말한 '''116-1번'''처럼 극단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 이 노선 폐지에 따른 대체노선 루트는 다음과 같다. ||<-4>'''오산 남부-1동탄 방면'''|| ||A||[[오산 버스 9|9번]]|| || ||B||[[수원 버스 20|20번]]/[[수원 버스 301|301번]]=>[[화성 버스 708|708번]](병점 홈플러스 환승)||운암단지에서는 [[수원 버스 20|20번]], 갈곶동에서는 [[수원 버스 301|301번]] 승차|| ||C||[[오산 버스 201|201번]]=>[[오산 버스 9|9번]](매홀중고 환승)|| || ||<-4>'''오산-분당 방면'''|| ||D||[[오산 버스 9|9번]]=>[[화성 버스 116-3|116-3번]](리베라CC 환승)||오산-기흥 방면 대체 가능|| ||E||[[경기광주 버스 8301|8301번]]|| || ||F||[[평택 버스 2|2번]]/[[평택 버스 2-2|2-2번]]=>[[평택 버스 6801|6801번]](평택지제역 환승)|| || ||G||[[오산역]]에서 [[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수원역]]->[[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수인분당선]] 이용|| || ||<-4>'''오산-기흥 방면'''|| ||H||[[화성 버스 G6010|G6010번]]=>[[용인 버스 94|94번]](동탄역(동측) 환승)|| || 오산 남부-1동탄 방면 중 A, B루트는 상당히 굴곡지지만 환승이 용이하며[* A루트는 일부 구간에서 환승이 필요없을 수 있다.] C루트는 직선이지만 시간이 맞지 않으면 오래 기다리다가 환승해야 하며, 과거 8455번 루트는 배차가 매우 길어 시간맞춰 타지 않는 이상 타기 힘들 뿐더러 객관적으로 시내버스로도 갈 거리인 오산 남부-1동탄을 굳이 시외버스를 탈 필요도 없었기 때문에 객관적으로 유용한 방안은 아니었다.[* 8455번은 2023년 8월 16일부로 폐선됐다.] 또한 오산-분당 방면의 경우 D루트는 이 노선의 거의 모든 구간의 대체 노선으로도 쓸 수 있으며, E, F, G루트는 이 노선이 서는 분당방면 정류장은 서지 않으니 하차 후 목적지에 따라 환승이 필요하다. === 시간표 === ||<-6> {{{#ffffff 경기광주 버스 116-1번 운행시간표}}}[br]{{{#ffffff 2022년 3월 29일 기준}}} || ||<:>'''횟수'''||<:>'''분당(정자역)'''||<:>'''오산(갈곶동)'''|| ||<:>'''1'''||<:>05:00||<:>08:10|| ||<:>'''2'''||<:>12:00||<:>14:00|| ||<:>'''3'''||<:>17:00||<:>20:00|| === 사건사고 === 2021년 9월 13일 오전 10시 58분 경, 용인시 기흥구의 한 도로에서 [[용인 버스 80|80번]], 116-1번, [[용인 버스 670|670번]] 버스끼리 3중 추돌하는 사고가 났다. [[http://www.joongboo.com/news/articleView.html?idxno=363503099|기사]]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오산역]][*A 분당 방면 한정] * [[파일:SB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정자역]], [[미금역]], [[오리역]], [[보정역]], [[구성역]], [[신갈역]][* 용인운전면허시험장정류장에서 하차후 도보로 5분], [[상갈역]][* 금화마을입구정류장에서 하차후 도보로 6분] * [[파일:Sinbundang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신분당선]]: [[정자역]], [[미금역]] * 일반 철도역: [[오산역]](무궁화호)[*A] == 둘러보기 == [[분류:광주시의 시내버스]][[분류:2001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2022년 폐지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