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중랑천의 교량)] ||<-5> '''[[교량/목록|중랑천의 교량]]''' || || 상류 방면 ||<|3> {{{+1 ← }}} || 이름 ||<|3> {{{+1 → }}} || 하류 방면 || ||<|2> [[중랑교]] || '''겸재교''' ||<|2> [[장안교]] || [[파일:external/dimg.donga.com/71952467.1.jpg]] {{{+1 謙齋橋 / Gyeomjaegyo }}} ||<-2> {{{+2 '''겸재교'''}}} || ||<-2> '''다국어 표기''' || || [[영어]] || Gyeomjaegyo || || [[한자]] || 謙齋橋 || ||<-2> '''시공사''' || ||<-2> [[한진중공업]] || ||<-2> '''관리기관''' || || 겸재교 || [[서울특별시]] || ||<-2> '''접속도로''' || ||<-2> [[겸재로]], [[장안벚꽃로]] || [목차] == 개요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휘경동에 있는 [[중랑천]]의 교량. 해당 교량 밑으로 [[동부간선도로]]가 통과한다. 이름은 이 교량이 지나는 도로인 [[겸재로]]에서 따왔으며, '겸재'는 조선시대 화가인 [[정선(화가)|정선]]의 [[아호]]이다. 이 교량의 용도는 사실상 장안교의 교통량 분산에 가까운 용도이다. 그리고, 휘경동에 인접한 학교 학생들에게도 통학시간 단축효과가 생겼다. == 특징 == [[파일:external/thumb.zumst.com/654305_article.jpg]] [[파일:external/www.urban114.com/%25EC%25A3%25BC%25ED%2583%2591-horzxxx.jpg]] 차도와 보도가 분리되어 있다. == 역사 == * 2008년 10월에 겸재교 건설 및 연결로 공사를 시작했다. 그와 별도로 연결로 주변의 도로확장공사도 시행했다(면목동 구간이 해당).[* 정확히는 도로 확장부터 한 후 교량을 설치한 것. 만약 도로 확장이 안 됐다면 동단은 [[이화교]]랑 비슷한 문제가 생겼을 것.] * 2015년 6월 말에 임시로 개통했다. * 2016년 12월에 완공되었다. 휘경동 구간은 장안교에서 본 교량으로 합류하는 차선을 추가했으며(중랑교 방향은 분기 차선으로 휘봉초등학교, 휘경유수지 경유), 공통적으론 보도구간을 추가했다(엘리베이터 병행). == 기타 == * 이 다리를 이용하는 버스 노선은 [[서울 버스 2013|2013번]], [[서울 버스 2311|2311번]]이 있다. * 겸재교 건설 전 동단부근은 오랫동안 교통신호체계가 없어 작은 사고들이 일어난 편이었으나, 겸재교 건설 중에 교통신호체계를 적용하여 상황이 좀 나아졌다. 다만, 겸재교 면목동 방면쪽 횡단보도 부근은 간혹 샛길[* 주변의 겸재로3길과 겸재로4길 구간.]에서 나오는 경차 및 오토바이 한정으로 무리한 교량진입을 시도하는 일이 있어 문제가 나오는 편.[* 해당 길목서 겸재교를 가려면, 원래는 면목2동사거리에서 유턴해야 한다(겸재로4길 골목길서 진출할 때). 겸재로3길(면목2동)은 이것보단 차라리 1차선(현재 겸재로2길로 지정)을 감수하더라도 장안교로 나가거나 아니면 기존처럼 중랑교로 가는 것이 낫다.] [[분류:대한민국의 나들목]][[분류:중랑천의 교량]][[분류:정선(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