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Gelora Bung Karno Stadium}}} ||||||||||<#FFFFFF><:>[[파일:아시안 게임 로고.svg|width=35]] '''역대 하계 아시안 게임 개폐회식장''' || ||<:> 3회 ||<:> {{{+1 → }}} ||<:> 4회 ||<:> {{{+1 → }}} ||<:> 5회|| ||<:> [[1958 도쿄 아시안 게임]] [br] [[국립 카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도쿄 국립 경기장]] ||<:> {{{+1 → }}} ||<:><#DCDCDC>'''[[1962 자카르타 아시안 게임]]''' [br] '''겔로라 붕 카르노 스타디움''' ||<:> {{{+1 → }}} ||<:>[[1966 방콕 아시안 게임]] [br]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 ||<:> 17회 ||<:> {{{+1 → }}} ||<:> 18회 ||<:> {{{+1 → }}} ||<:> 19회|| ||<:> [[2014 인천 아시안 게임]] [br] [[인천아시아드주경기장]] ||<:> {{{+1 → }}} ||<:><#DCDCDC>'''[[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br] '''겔로라 붕 카르노 스타디움''' ||<:> {{{+1 →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br] [[항저우 스포츠 파크 경기장]] || ||||||||||<#FFFFFF>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width=30]] '''역대 AFC 아시안컵 결승전 개최 경기장''' || ||<:> 13회 ||<:><|2> {{{+1 → }}} ||<:> 14회 ||<:><|2> {{{+1 → }}} ||<:> 15회 || ||<:> [[2004 AFC 아시안컵 중국]][br] [[베이징 노동자 경기장]] ||<:><#DCDCDC> '''[[2007 AFC 아시안컵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태국·베트남]]'''[br] '''겔로라 붕 카르노 스타디움''' ||<:> [[2011 AFC 아시안컵 카타르]][br] [[칼리파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 [[파일:겔로라 붕 카르노 스타디움.jpg]] ||
<-3><#D00000> '''{{{#FFF 겔로라 붕 카르노 스타디움[br]Gelora Bung Karno(GBK) Stadium}}}''' || ||<-3><#FFF> {{{#D00000 '''Stadion Utama Gelora Bung Karno'''[br]'''Gelora Senayan Main Stadium'''}}} || ||<-1> 위치 ||<-2>[[인도네시아]] [[자카르타]]|| ||<-1> 기공 ||<-2>[[1960년]]|| ||<-1> 개장 ||<-2>[[1962년]]|| ||<-1> 홈구단 ||<-2>[[페르시아 자카르타]][br][[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1> 잔디 ||<-2>천연잔디|| ||<-1> 수용인원 ||<-2>77,193|| ||<-2><:> [include(틀:지도, 장소=gelora bung karno Stadium,너비=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위치한 [[종합 운동장]]과 그 주변의 스포츠 시설의 통칭. 명칭은 [[인도네시아]] 초대 대통령인 [[수카르노]]를 기념하기 위해 명명된 이름이다. '''G'''elora '''B'''ung '''K'''arno를 줄여서 '''GBK 스타디움'''이라고도 불리는데, 이렇게 부를 경우 주경기장에만 한정되는 이름으로 여겨진다. [[1962 자카르타 아시안 게임]]을 위해 건설되어 해당 대회와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2018 자카르타 장애인 아시안 게임]]의 주경기장으로 사용되었으며, [[2007 AFC 아시안컵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태국·베트남]]의 결승전이 열린 경기장이기도 하다. 현재는 [[페르시아 자카르타]]의 홈 구장이며, [[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의 A매치는 거의 대부분 여기서 열린다. == 상세 == 애초에 [[1962 자카르타 아시안 게임]]을 위해 건설되었을 때는, 수용인원이 무려 11만 명에 달하는 초거대 경기장이었다. 이후 [[2007 AFC 아시안컵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태국·베트남]]을 앞두고 8만 8천 명대로 줄었고,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을 앞두고 현재의 수용인원으로 조정되었다.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역사가 깊은데다 수도 자카르타의 중심부에 위치한 경기장이다 보니, [[아시안 게임]] 2회, [[AFC 아시안컵]] 1회, [[AFF 스즈키컵]] 4회, [[동남아시안 게임]] 4회, 아시아 육상 선수권 3회 등등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국제대회 유치 경력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 비견할 만한 경기장이라면 아시안 게임만 3번이나 --강제로-- 열린 바 있는 태국의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정도. 다만 [[올림픽]]이나 [[월드컵]], [[세계육상선수권대회]]의 3대 스포츠 이벤트와는 거리가 멀었다. 다른 경기장들이 그렇듯이 스포츠 행사만 열리는 것은 아니어서 대중음악 공연도 많이 열리는데, [[마이클 잭슨]], [[린킨 파크]], [[메탈리카]], [[본 조비]], [[Guns N' Roses]] 등 그야말로 기라성 같은 뮤지션들이 여기서 공연을 했다. 2023년 3월 11일~3월 12일 2일간 [[BLACKPINK]]의 [[BORN PINK WORLD TOUR]]가 개최되었다. 2023년 9월 23일 [[SMTOWN LIVE 2023 : SMCU PALACE|SMTOWN LIVE 2023 : SMCU PALACE @JAKARTA]] 공연이 개최 예정이다. [[분류:페르시자 자카르타]][[분류:인도네시아의 축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