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소련 부통령)]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D0000 0%, #D40000 20%, #D40000 80%, #CD0000)" '''[[소련|{{{#ffe400,#ffe300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초대 부통령}}}]][br]{{{#ffe400,#ffe300 {{{+1 겐나디 이바노비치 야나예프}}}[br]Генна́дий Ива́нович Яна́ев[br]Gennady Ivanovich Yanayev}}}'''}}}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Gennady_Yanayev.jpg|width=100%]]}}} || ||<|2> '''출생''' ||[[1937년]] [[8월 26일]] || ||[[소련]]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러시아 SFSR]] 고리키 주 페레포츠[br](現 [[러시아]] [[볼가 연방관구]] [[니즈니노브고로드주]] 페레포츠)|| ||<|2> '''사망''' ||[[2010년]] [[9월 24일]] (향년 73세)|| ||[[러시아]] [[모스크바]] 중앙임상병원|| || '''묘소''' ||[[모스크바]] 트로예쿠롭스코예 묘지|| ||<|2> '''재임기간''' ||초대 부통령|| ||[[1990년]] [[12월 27일]] ~ [[1991년]] [[9월 4일]]||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배우자''' ||로자 알렉세예브나 야나예바 ,,(1959~1995),,[br]마르가리타 표도로브나 자벨리나 ,,(1995~2010),, || || '''자녀''' ||딸 스베틀라나, 마리야 || || '''학력''' ||고리키 농과대학 {{{-2 (농학 / 석사)}}}[* 당시 소련에는 학사 과정이 없었다.][br]연방법률학교 {{{-2 (법학 / 석사)}}} || || '''종교''' ||무신론 ||}}}}}}}}} || [목차] [clearfix] == 개요 == [[소련]]의 초대 부통령, [[8월 쿠데타]]의 주모자 중 한 사람이다. == 생애 == === 초기 경력 === [[1937년]] [[8월 26일]] 러시아 SFSR 고리키 주[* 지금의 니즈니노브고로도 주.] 페레포츠에서 태어나 1959년 고리키 농과대학을 졸업하고 기계화 영농집단에서 책입자로 일하다가 [[1967년]] 연방법률학교에서 법학 석사학위를 취득한 후 고리키에서 기계기술자로 일하다 소련 공산당의 청년조직인 콤소몰에 자진 가입했다. 그러다가 1962년에 [[소련 공산당]]에 입당하였고 1963년부터 1968년까지 고리키 [[콤소몰]]의 제2서기와 제1서기를 역임했고, 이후 12년 동안 [[콤소몰]] 회장을 역임했으며 이후에는 1980년부터 1986년까지 [[https://en.wikipedia.org/wiki/VOKS|VOKS]] 부의장을 역임하였다. 1986년에는 전노조 중앙노조협의회 국제담당 비서로 임명되었고 1989년에는 중앙노조협의회 부의장을 역임하였다. === 부통령 재임 === [[고르바초프]] 대통령에 의해 소련의 첫 부통령에 지명되었으나,[* 본래 야나예프 외에도 당시 소련의 외무장관이었던 에두아르트 셰바르드나제와 당시 카자흐스탄 대통령이었던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가 있었으나 둘 다 거절하였다.] [[소련 최고회의]]에 의해 처음엔 1차 투표에선 임명이 불발되었고 고르바초프의 의사에 의해 2차 표결에 임명안이 가결되면서 [[1990년]] [[12월 27일]]에 부통령에 취임하게 되었다. 1991년 초에는 새 내각구성위원회를 이끌었으며 후에는 쿠즈네츠크에서 독립노조의 파업이 일어나자 독립노조와 협상을 진행하였고 이후 노조는 파업을 철회하였다. ==== [[8월 쿠데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8월 쿠데타)] === 말년 === [[8월 쿠데타]]가 실패로 끝나자 결국 부통령직에서 해임되었고 반란혐의로 투옥되었다가 [[1993년]] [[1월]] 석방되었고 [[1994년]]에 국가두마에 의해 공식적으로 사면되었다. 1993년 당시 모스크바의 주간지였던 [[https://en.wikipedia.org/wiki/Novy_Vzglyad|노비 브즈글리야드]]는 야나예프가 대통령 권한대행을 임명한 법령에 서명할 당시 술에 취해 있었다고 시인했지만 당시 야나예프의 판단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사면 이후에는 러시아 국제관광 아카데미의 역사 및 국제관계학과의 학과장이 되었다. 2008년 인터뷰에서는 자신이 대통령 권한대행을 수행한 것에 후회한다며 보수파 의원들로부터 자신의 대통령직을 선언한 문서에 서명하라는 압력을 받았다고 주장했고, 1991년의 사건들이 남은 여생의 짐이라 묘사했다. [[2010년]] [[9월 20일]] 지병인 폐암으로 인해 모스크바의 중앙임상 병원에 입원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9월 24일에 사망하였고 사후 트로예쿠롭스코예 묘지에 안장되었다. == 소속 정당 == || '''{{{#eFD88F 소속}}}''' || '''{{{#eFD88F 기간}}}''' || '''{{{#eFD88F 비고}}}''' || || [include(틀:소련 공산당)] || 1962 - 1991 || 입당[br]정계 입문 || || [include(틀:무소속)] || 1991 - 2010 || 해산[* [[8월 쿠데타]] 실패와 함께 정당 해산.] || == 관련 자료 ==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4197#home|중앙일보 기사]] [[분류:1932년 출생]][[분류:2010년 사망]][[분류:폐암으로 죽은 인물]][[분류:소련 공산당 28기 정치국 위원]][[분류:소련 공산당 28기 서기국 서기]][[분류:니즈니노브고로드 주 출신 인물]][[분류:8월 쿠데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