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게임 개발]] [목차] == 개요 == 게임에 들어가는 [[제작비]]를 일컫는 말. 아래 문서에서는 한국 및 외국 게임들의 개발비용을 서술한다. == 상세 == 게임의 목록을 보면 알겠지만 게임 개발비가 크다고 꼭 성공하지는 않는다. 다만 개발비가 높다는 말은 기대하는 유저들도 많은 편일때가 많고 광고비도 넉넉히 들어갔다는 뜻이기에 적어도 좋은 게임인데도 주목을 못받아 실패할 일은 적다. 참고로 최근에는 제작비가 1억 달러 이상 들어가면 [[AAA 게임]]으로 취급한다.[* 소니 플레이스테이션 전 CEO션 레이든은 PS5로 AAA게임을 개발하는데 2억 달러가 소요된다고 추측했으며 PS4로는 1억 달러가 들어간다고 밝혔다.] 실제로 [[마이크로소프트의 액티비전 블리자드 인수]]와 관련해 작성된 CMA 보고서와 법정에서 공개된 자료에서 그렇게 나타났다.[* 라스트 오브 어스 2 개발비로 2억 2천만 달러가 들었다고 한다.[[https://youtu.be/M2wDkopbaXs?t=4|#]] 환율을 1250원으로 잡으면 한화로 2750억원에 달하는 금액이다. 거의 [[10억 달러 흥행 돌파 영화]]의 제작비에 맞먹는 금액이다. 단적으로 [[아바타]] 1편의 제작비가 2억 달러였다. 물론 [[아바타: 물의 길]]의 4억 달러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거의 왠만한 블록버스터 영화 한편 만드는 만큼의 금액이 드는 것이다.] == 목록 == * 비용 단위 * 국내 게임은 원(₩)으로 표기한다. * 해외 게임은 달러($)로 표기한다. 원 환산은 하지 않는다. '개발비(₩) = 개발비$ * 환율'이다. * 금액 큰 순으로 정렬한다. === 국내 === || '''제목''' || '''출시''' || '''제작''' || '''비용''' || '''기타''' || || [[로스트 아크]] || 2018년 || [[스마일게이트]] || 1000억 원 이상[[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9/17/2018091702163.html|출처]] || || || [[킹덤 언더 파이어 2]] || 2019년 || 블루사이드 || 1000억 원 이상 || || || [[쓰론 앤 리버티]] || 2023년 || [[엔씨소프트]] || 1000억 원 이상 || || || [[블레스(MMORPG)|블레스]] || 2016년 || [[네오위즈게임즈]] || 700억 원 || 2015년 [[빅3]] || || [[리니지2]] || 2003년 || [[엔씨소프트]] || 500억 원 || || || [[블레이드 앤 소울]] || 2012년 || [[엔씨소프트]] || 500억 원 || 2010년 [[빅3]] || || [[이카루스(게임)|이카루스]] || 2014년 || [[위메이드]] || 500억 원[[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396&aid=0000307651|출처]] || 2015년 [[빅3]] || || [[문명 온라인]] || 2015년 || [[엑스엘게임즈]] || 500억 원 || || || [[테라(MMORPG)|테라]] || 2011년 || [[블루홀]] || 400억 원 || 2010년 [[빅3]] || || [[리니지2M]] || 2019년 || [[엔씨소프트]] || 400억 원 || || || [[제라]] || 2006년 || [[넥슨]] || 300억 원 || 2005년 [[빅3]] || || [[아키에이지]] || 2013년 || [[엑스엘게임즈]] || 300억 원 || 2010년 [[빅3]] || || [[서든어택 2]] || 2016년 || [[넥슨GT]] || 300억 원 || || || [[아이온: 영원의 탑]] || 2008년 || [[엔씨소프트]] || 230억 원 || || || [[썬]] || 2006년 || [[웹젠]] || 200억 원 || 2005년 [[빅3]] || || [[그라나도 에스파다]] || 2006년 || [[한빛소프트]] || 200억 원 || 2005년 [[빅3]] || || [[검은사막]] || 2015년 || [[펄어비스]] || 200억 원[[http://news.tf.co.kr/read/economy/1643464.htm|출처]] || 2015년 [[빅3]][* 2015년 빅3 중에서 가장 적은 개발비로 개발되었음에도 유일하게 큰 성공을 거둔 게임이다. 나머지 두 게임들은 씁쓸한 결과만 맞이했다.] || || [[메이플스토리 2]] || 2015년 || [[넥슨]] || 200억 원 || || || [[창세기전 4]] || 2016년 || [[소프트맥스]] || 200억 원[[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20&aid=0002781025|출처]] || || || [[블랙스쿼드]] || 2014년 || NS스튜디오 || 150억 원 || || || [[애스커]] || 2015년 || [[네오위즈게임즈]] || 100억 원 || || || [[트리 오브 세이비어]] || 2015년 || [[imc 게임즈]] || 100억 원 || || || [[V4]] || 2019년 || [[넥슨게임즈]] || 100억 원 || || === 해외 === ||
'''제목''' || '''출시''' || '''국가''' || '''제작''' || '''비용''' || '''기타''' || || [[Grand Theft Auto VI]] || TBD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락스타 노스]] || 20억 달러[* 최소 10억달러로 10년간 개발비 [[https://twitter.com/DexertoGaming/status/1655987337669509177|#]]] || || || [[스타시티즌]] || TBD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Cloud Imperium Games]] || 5억 달러 이상[* 크라우드 펀딩 특성상 계속 증가 중] || || || [[원신]] || 2020년 ||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 [[미호요]] || 5억 달러 이상[* 발매 당시 1억 달러 수준] || || || [[사이버펑크 2077]] || 2020년 || [include(틀:국기, 국명=폴란드)] || [[CDPR]] || 3억 1,600만 달러 || || || [[레드 데드 리뎀션 2]] || 2018년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락스타 스튜디오]] || 3억 달러[* 언론추정치로 최소 2억 달러 애널리스트 추정치는 1억 7,000만 달러] || || || [[Grand Theft Auto V]] || 2013년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락스타 스튜디오]] || 2억 6,500만 달러[* 언론추정치] || || ||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2]] || 2009년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인피니티 워드]] || 2억 5,000만 달러 || || || [[더 라스트 오브 어스 파트 2]] || 2020년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너티 독]] || 2억 2,000만 달러 || || || [[호라이즌 포비든 웨스트]] || 2022년 || [include(틀:국기, 국명=네덜란드)] || [[게릴라 게임즈]] || 2억 1,200만 달러 || || || [[스타워즈: 구 공화국]] || 2011년 || [include(틀:국기, 국명=캐나다)] || [[바이오웨어]] || 2억 달러 이상[* 최초 1억 달러 정도로 추정되었으나 GDC 2013에서 발표된 개발비화, 특히 엔진 관련으로 개판이었던 상황이 밝혀지면서 두 배로 뛰었다.] || || || [[갓 오브 워 라그나로크]] || 2022년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SIE 산타 모니카 스튜디오]] || 2억 달러 이상 || || [[Starfield(게임)|스타필드]] || 2023년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베데스다 게임 스튜디오]] || 2억 달러 이상 || || || [[엘더스크롤 온라인]] || 2014년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제니맥스 온라인 스튜디오]] || 2억 달러[* KOTAKU 기자가 트위터에 해당 게임의 비용이 2억 달러 라고 올렸으나 회사가 부정하거나 수정하지 않음.] || || || [[파이널 판타지 VII 리메이크]] || 2020년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스퀘어 에닉스]] || 2억 달러 || || || [[마블 어벤져스]] || 2020년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크리스탈 다이내믹스 || 1억 7,000만 달러 이상 || || || [[칼리스토 프로토콜]] || 2020년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스트라이킹 디스턴스 스튜디오]] || 1억 6,000만 달러 이상[* 한국 기업 크래프톤에서 유통했기 때문에 사업보고서 및 분기보고서 기준 금액은 2000억원이었다.] || [[크래프톤]] 유통 || || [[헤일로 5: 가디언즈]] || 2015년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343 인더스트리]] || 1억 6,000만 달러 || || || [[파이널 판타지 XIV]] || 2010년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스퀘어에닉스]] || 1억 4,500만 달러[* 최소 8000만 달러 FF14, FF14:ARR 2개의 서로 다른 A급 MMORPG를 개발한 비용의 합산으로 보인다.] || || || [[데스티니(게임)|데스티니]] || 2014년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번지(게임 회사)|번지]] || 1억 4,000만 달러 || || || [[젤다의 전설 브레스 오브 더 와일드]] || 2017년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닌텐도]] || 1억 2,000만 달러 이상 || || || [[헤일로 2]] || 2004년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번지(게임 회사)|번지]] || 1억 2,000만 달러 || || || [[데드 스페이스 2]] || 2011년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비서럴 게임즈]] || 1억 2,000만 달러 || || || [[바이오하자드 빌리지]] || 2021년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캡콤]] || 1억 1,000만 달러 || || || [[맥스 페인 3]] || 2012년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락스타 게임즈]] || 1억 500만 달러 || || || [[Grand Theft Auto IV]] || 2008년 ||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 [[락스타 노스]] || 1억 달러 이상 || || || [[디즈니 인피니티]] || 2013년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아발란체 소프트웨어]] || 1억 달러 이상 || || || [[세인츠 로우(2022)|세인츠 로우]] || 2022년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볼리션]] || 1억 달러 이상 || || || [[엘든 링]] || 2022년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프롬 소프트웨어]] || 1억 달러 이상 || || || Too Human || 2008년 || [include(틀:국기, 국명=캐나다)] || 실리콘 나이츠 || 1억 달러 || || || [[APB Reloaded]] || 2010년 ||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 Realtime Worlds || 1억 달러 || || || [[레드 데드 리뎀션]] || 2010년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락스타 샌디에이고]] || 1억 달러 || || || [[데드풀(게임)|데드풀]] || 2013년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하이 문 스튜디오]] || 1억 달러 || || || [[배틀필드 4]] || 2013년 || [include(틀:국기, 국명=스웨덴)] || [[EA DICE]] || 1억 달러 || || || [[툼 레이더(2013)|툼 레이더]] || 2013년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크리스탈 다이내믹스 || 1억 달러 || || || [[메탈기어 솔리드 V 더 팬텀 페인]] || 2015년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코지마 프로덕션]] || 1억 달러[* 2015년 8월에 공개된 회계 자료에 따르면, 2015년 4월까지 사용된 팬텀 페인의 제작비는 8000만 달러였다고 한다. 게임이 9월 초에 발매된 것을 감안하면 발매 시점까지 마케팅비를 포함하여 제작비가 더 들어갔을 것으로 보인다. 단, 이 제작비가 순수 팬텀 페인의 제작비만 계산한 것인지 혹은 폭스 엔진의 개발비까지 포함된 수치인지는 명확하지 않다. 또한 팬텀 페인의 프롤로그인 [[메탈기어 솔리드 V 그라운드 제로즈]]가 분할 판매되었는데, (정황상 포함되었을 가능성이 몹시 높지만)그라운드 제로즈의 제작비가 포함된 것인지 아닌지도 불명확하다.] || || || [[매스 이펙트: 안드로메다]] || 2017년 || [include(틀:국기, 국명=캐나다)] || [[바이오웨어]] || 1억 달러 || || || [[몬스터 헌터: 월드]] || 2018년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캡콤]] || 1억 달러 || || || [[포스포큰]] || 2023년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루미너스 프로덕션]] || 1억 달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