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대공)] ---- ||<-2> '''{{{#ffc723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대공[br]{{{+1 게오르크}}}[br]Georg, Großherzog von Mecklenburg-Strelitz}}}'''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Georg_Grand_Duke_of_Mecklenburg-Strelitz.jpg|width=100%]]}}} || || '''이름'''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카를 요제프[br](Georg Friedrich Karl Joseph)|| || '''출생''' ||[[1779년]] [[8월 12일]][br][[하노버 왕국]] [[하노버]] || || '''사망''' ||[[1860년]] [[9월 6일]] (향년 81세)[br][[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대공국]] [[노이슈트렐리츠]] || ||<|2> '''재위''' ||<#e7e7e7,#1f2023>[[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대공국|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의 [[대공(작위)|대공]] || ||[[1816년]] [[11월 6일]] ~ [[1860년]] [[9월 6일]] || || '''배우자''' ||헤센카셀의 마리 공녀 ,,(1817년 결혼),,|| || '''자녀''' ||루이제, [[프리드리히 빌헬름(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프리드리히 빌헬름]], 카롤리네 마리아네, 게오르크 아우구스트|| || '''아버지''' ||[[카를 2세(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대공 카를 2세]] || || '''어머니''' ||헤센다름슈타트의 프리데리케 공녀 || || '''형제''' ||샤를로테 게오르기네, 카롤리네 아우구스테, 게오르크 카를, 테레제, 프리드리히 게오르크,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의 루이제|루이제]],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의 프리데리케|프리데리케]], 프리드리히 카를, 아우구스테 알베르티네|| || '''종교''' ||[[루터교회]] || [목차] [clearfix] == 개요 ==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대공국|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의 [[대공(작위)|대공]]. == 생애 == 1779년 8월 12일 [[하노버 왕국]]에서 태어났다. [[카를 2세(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대공 카를 2세]]의 아들들 중 유일하게 유아기를 넘겨 어릴 때부터 공세자로써 기대를 받고 자랐다. 1807년 아버지를 대신해 [[라인 연방]]에 가입했다. [[빈 회의]]에도 아버지의 대리로 출석해 공국이 대공국으로 승격되는 데에 일조했다. 1816년 11월 6일 대공위를 물려받았다. 당시 대공국은 빚이 많아 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이었다. 빚을 탕감하기 위해 빈 회의에서 얻은 영토의 다수를 [[프로이센 왕국]]에 매각했다. 1820년에 [[농노제]]를 폐지하고 농업을 발전시켰다. 또한 학교를 건설하고 [[의무교육]]을 실시해 메클렌부르크의 문맹률을 크게 감소시켰다. [[분류: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대공]][[분류: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가문]][[분류:1779년 출생]][[분류:1860년 사망]][[분류:하노버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