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하노버 국왕)] ||<-3> '''하노버 왕국 하노버 왕조 제5대 국왕[br]{{{+1 게오르크 5세}}}[br]Georg V'''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게오르크 5세(하노버).jpg|width=100%]]}}} || ||<|2> '''이름''' || 독일어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알렉산더 카를 에른스트 아우구스트[br](Georg Friedrich Alexander Karl Ernst August) || || 영어 ||조지 프레더릭 알렉산더 찰스 어니스트 어거스터스[br](George Frederick Alexander Charles Ernest Augustus) || || '''출생''' ||<-2>[[1819년]] [[5월 27일]][br][[프로이센 왕국]] [[베를린]] || || '''사망''' ||<-2>[[1878년]] [[6월 12일]] (향년 59세)[br][[프랑스 제3공화국]] [[파리(프랑스)|파리]] || ||<|2> '''재위''' ||<-2><#E7E7E7>[[하노버 왕국]]의 국왕 || ||<-2>[[1851년]] [[11월 18일]] ~ [[1866년]] [[9월 20일]] || || '''배우자''' ||<-2>[[작센알텐부르크의 마리]] ,,(1843년 결혼),, || || '''자녀''' ||<-2>[[에른스트 아우구스트 2세|에른스트 아우구스트]], 프리데리케, 마리 || || '''아버지''' ||<-2>[[에른스트 아우구스트 1세]] || || '''어머니''' ||<-2>[[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의 프리데리케]] || || '''종교''' ||<-2>[[루터교회]] || || '''서명''' ||<-2>[[파일:게오르크 5세 서명.svg|width=100px&bgcolor=#fff]] || [목차] [clearfix] == 개요 == [[하노버 왕국]]의 마지막 국왕. [[빅토리아 여왕]]의 친사촌[* 빅토리아 여왕의 아버지 [[에드워드 어거스터스]]와 게오르크의 아버지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1세]]가 친형제간이다.]이기도 하다. 하노버의 4대 국왕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1세]][* [[조지 3세]]의 5남으로 게오르크 역시 조지 3세의 친손자로서 영국의 왕자로 분류되었다. 참고로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1세의 영국 작위는 컴벌랜드와 테비엇데일 공작으로 게오르크는 아버지의 사후 이 작위도 상속받았다.]와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의 프리데리케]]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1851년 아버지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1세가 사망하자 왕이 되었다. 왕호를 보면 알겠지만 게오르크 5세(Georg V)를 영어로 하면 [[조지 5세]](George V)다. 만약 영국이 살라카법으로 인해 왕위가 [[빅토리아 여왕]]이 아니라,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1세 쪽으로 넘어왔다면 영국의 조지 5세라고 불렸을 것이다. 1828년 어린 시절 질병으로 한쪽 눈을 잃었고, 1833년 사고로 다른 쪽 눈을 잃었다. 1866년 [[보오전쟁]] 당시 오스트리아의 편을 들었고 결국 이종사촌 형인 [[빌헬름 1세]][* 이모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의 루이제]]의 차남.]가 국왕으로 재위하고 있는 프로이센 왕국에게 하노버 왕국이 통째로 합병되면서 나라가 멸망한다. 이후 여기저기 돌아다니면서 '왕위 좀 되찾아달라고' 호소하고 다녔지만 당연히 씨알도 안먹혔다.[* 일단 왕조가 [[작센코부르크고타 왕조]]로 교체된 대영제국부터가 [[프로이센 왕국]]과 혼맥을 맺었다.] 그래도 영국의 왕자이기도 해서 아버지에게 물려받은 컴벌랜드와 테비엇데일 공작위는 유지했다. 1878년 사망했다. == [[하노버 왕조|가족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하노버 왕조)] [[분류:1819년 출생]][[분류:1878년 사망]][[분류:하노버 가문]][[분류:컴벌랜드 공작]][[분류:망국의 군주]][[분류:폐위된 군주]][[분류:베를린 출신 인물]][[분류:하노버 국왕]][[분류:영국계 독일인]][[분류:윈저 성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