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 || '''{{{#fff 게오르크 빌헬름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역대 프로이센 공작)] ---- }}} || ---- ||<-2> '''[[브란덴부르크 선제후국|{{{#fff 브란덴부르크 제17대 선제후}}}]][br][[프로이센 공국|{{{#fff 프로이센 제4대 공작}}}]][br]{{{+1 게오르크 빌헬름}}}[br]Georg Wilhelm'''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GeorgWilhelm.1635.Ausschnitt.jpg|width=100%]]}}} || ||<|2> '''출생''' ||[[1595년]] [[11월 13일]] || ||[[브란덴부르크 선제후국]] [[베를린]] || ||<|2> '''사망''' ||[[1640년]] [[12월 1일]] (향년 45세) || ||[[프로이센 공국]] [[쾨니히스베르크]][* 현 [[러시아]] [[칼리닌그라드주]] [[칼리닌그라드]]] || ||<|2> '''재위기간''' ||<#f5f5f5,#2d2f34>[[브란덴부르크 선제후국|브란덴부르크 선제후]] 겸 [[프로이센 공국|프로이센 공작]] || ||[[1619년]] [[12월 23일]] ~ [[1640년]] [[12월 1일]][br](20년 11개월 1주 1일, 7,649일) || || '''서명'''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파일:게오르크 빌헬름 서명.svg|height=50]]}}}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부모''' ||아버지 [[요한 지기스문트]][br]어머니 프로이센의 안나 || || '''배우자''' ||팔츠의 엘리자베트 샤를로테 ,,(1616년 결혼),, || || '''자녀''' ||루이즈 샤를로테, [[프리드리히 빌헬름]], 헤드비그 조피 || || '''형제자매''' ||안나 소피, [[마리아 엘레오노라]][* [[스웨덴 국왕]] [[구스타브 2세 아돌프]]와 결혼.], [[카타리나 폰 브란덴부르크|카타리나]], 요아힘 지기스문트, 아그네스, 요한 프리드리히, 알브레히트 크리스티안 || || '''가문''' ||[[호엔촐레른 가문]] || || '''종교''' ||[[칼뱅파]] ||}}}}}}}}} || [목차] [clearfix] == 개요 == 브란덴부르크 선제후이자 프로이센 공작 [[요한 지기스문트]]와 프로이센의 안나의 맏아들로 1616년 [[팔츠 선제후국|팔츠]] [[선제후]] [[프리드리히 4세(팔츠)|프리드리히 4세]]의 딸 엘리자베트 샤를로테와 결혼했다. 재위 기간 내내 [[30년 전쟁]]에 시달렸으며 [[가톨릭]] 세력인 [[합스부르크 제국|오스트리아]]와 개신교 동맹 사이에서 줄타기를 하려 했으나 매부인 [[스웨덴 국왕]] [[구스타브 2세 아돌프]]의 강제를 못이기고 개신교 세력에 참전했고, 구스타브 2세 사후 [[합스부르크 가문]]과 강화를 맺고 발을 뺐다. 이후 정치는 총신인 아담 폰 슈바르첸베르크 백작에게 맡긴 채 본인은 [[프로이센 공국]]으로 물러나 아버지처럼 술에 찌들어 살다가 [[쾨니히스베르크]]에서 사망했다. == 여담 == * 대부분 [[베를린 대성당]]에 안장된 조상들과는 달리 쾨니히스베르크 대성당에 묻혔는데, [[제2차 세계 대전]] 중 벌어진 [[동프로이센 공세]]에서 [[영국 공군]]의 폭격에도 살아남은 [[임마누엘 칸트]]의 묘지와는 반대로 영국 공군의 폭격으로 유해가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분류:1595년 출생]][[분류:1640년 사망]][[분류:프로이센 공작]][[분류:브란덴부르크 선제후]][[분류:호엔촐레른 가문]][[분류:베를린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