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사비교언어학)] [목차] [clearfix] == 개요 == Germanic substrate hypothesis 다른 [[인도유럽어족]] 언어에는 나타나지 않는 [[게르만어파]]만의 어휘나 형태를 미지의 [[기층이론|기층언어]]를 이용하여 설명하려는 [[https://en.wikipedia.org/wiki/Germanic_substrate_hypothesis|가설]]이다. == 역사 == [[게르만어파]] 기층설은 다른 [[인도유럽어족]] 언어에는 나타나지 않는 [[게르만조어]]만의 특징을 인도유럽어와 비인도유럽어 사이의 접촉의 결과로 설명하려한다. 이러한 시도는 1910년에 [[독일]]의 [[언어학|언어학자]]인 지크문트 파이스트(Sigmund Feist)가 처음으로 제안하였는데, 그는 게르만조어의 어휘 중 1/3 이상이 비인도유럽계라고 [[https://www.sgr.fi/sust/sust266/sust266_kroonen.pdf|주장]]하였다. 일단 2023년 기준, 주류 [[언어학|언어학계]]의 연구결과로는 비인도유럽계 단어가 생각보다는 많지는 않다. [[핀란드]]의 [[언어학|언어학자]]인 칼레비 비크(Kalevi Wiik)는 [[게르만어파]]의 [[기층이론|기층언어]]는 [[우랄어족]]의 핀우그르어파였다고 주장하였으며, [[독일]]의 언어학자인 테오 페네만(Theo Vennemann)은 [[바스크어]]가 [[게르만조어]]의 [[기층이론|기층 언어]]였다고 보는 가설인 바스크어 기층설로 게르만어파 기층언어를 [[https://www.reddit.com/r/asklinguistics/comments/hpptpf/is_germanic_the_most_weird_extant_indoeuropean/?sort=old|설명]]하려 하였다. 또한 [[존 호킨스]](John A. Hawkins)는 기록되지 않은 비인도유럽인과 원시 게르만인들 간의 접촉이 있었다고 주장하였다. 이후에 바스크어 기층설이 큰 비판을 받고 거의 사장된 지금은 게르만어파의 기층언어를 [[우랄어족]]과의 접촉과 [[고유럽 제어|비인도유럽인]]과의 접촉으로 설명하려 한다. 만약 [[고유럽 제어|비인도유럽인]]과의 접촉이 있었다면, 그리고 그러한 접촉이 [[게르만어파]]의 언어 변화를 야기했다면 그 비인도유럽인은 '마글레모시아 [[문화]](Maglemosian culture)', '노르트베스트블록(Nordwestblock culture)', '푼넬비커 문화(Funnelbeaker culture)', '전투-도끼 문화(Battle-Axe culture)' 등의 주민들이 그 후보로 얘기된다. == 목록 == 여기에 제시하는 차용어들은 모두 증명된 것들이 아니라 가설의 하나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외래어|차용어]]의 제시는 어떤 것들은 정설로 여겨지기도 하고 어떤 것들은 다른 가설이 제기되어 사장되기도 한다. === 핀우그르조어 차용어 === * 게르만조어 [[https://en.wiktionary.org/wiki/Reconstruction:Proto-Germanic/halbaz|*halbaz]] '(절)반'[* 현대 영어의 half, 독일어의 halb, 고대 노르드어의 halfr 등] < 핀우그르조어 *halpa '싼, 줄인(reduced)'[* 인도유럽조어 *(s)kelH- '자르다' 혹은 *ḱel- '기울다'를 어원으로 보는 이설 존재] * 게르만조어 [[https://en.wiktionary.org/wiki/Reconstruction:Proto-Germanic/hamaraz|*hamaraz]] '망치'[* 현대 영어의 hammer, 독일어의 Hammer, 고대 노르드어의 hamarr 등] < 핀우그르조어 *hamara '도끼의 끝 부분(butt)' [* 인도유럽조어 *h₂éḱmō '돌'를 어원으로 보는 이설 존재] * 게르만조어 [[https://en.wiktionary.org/wiki/Reconstruction:Proto-Germanic/ham%C3%B4|*hamô]] '피부, 옷'[* 현대 영어의 hame, 고대 노르드어의 hamr 등] < 핀우그르조어 *haama '그림자' [* 인도유럽조어 *ḱom- '덮다'를 어원으로 보는 이설 존재] * 게르만조어 [[https://en.wiktionary.org/wiki/Reconstruction:Proto-Germanic/selhaz|*selhaz]] '물개'[* 현대 영어의 seal, 고대 노르드어의 selr 등] < 핀우그르조어 *šülkeš '물개' [* 인도유럽조어의 *selk- '당기다'를 어원으로 보는 이설 존재] === 비인도유럽어 차용어 === * 게르만조어 *amsl- '블랙버드' < 고대 고지 독일어 amsala, 게르만조어 *alaw- '종달새' < 고대 영어 lāwerce 등: 접두사 a가 있다. 이런 부분은 같은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그리스어]]에서도 발견되기도 하지만 다른 인도유럽어족 언어에서는 이런 특징이 잘 없고, 그리스어도 [[기층이론|기층언어]]가 있다는 [[그리스어 기층설|설]]이 있어서 그 같은 언어에서 유래된 게 아니냐는 [[https://www.sgr.fi/sust/sust266/sust266_kroonen.pdf|말]]이 있다.[* 인도유럽조어 접두사 a가 있다는 [[https://en.m.wikipedia.org/wiki/Alpha_privative|이설]] 존재] * 게르만조어 *arwīt- '[[완두]]': 접미사 [[https://www.sgr.fi/sust/sust266/sust266_kroonen.pdf|-it]]이 있다. * 게르만조어 *edis- '[[숙녀]]' * 게르만조어 *gait- '[[염소]]' < 영어 goat: 원시 인도유럽인이 원래 살던 곳에는 염소가 없어 여기서 [[고유럽 제어]]를 차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인도유럽조어로 재구된 단어는 [[https://www.sgr.fi/sust/sust266/sust266_kroonen.pdf|*gheh₂id-]]이다. 숫염소를 뜻하는 [[https://en.wiktionary.org/wiki/Reconstruction:Proto-Indo-European/b%CA%B0u%C7%B5-|*bʰuǵ-]] 란 단어가 있기는 하나, 해당 단어는 염소 뿐만이 아닌 수사슴, 숫양도 뜻하며, 원시 인도유럽인은 양과 염소를 구분하지 않고 키웠고, 양을 뜻하는 인도유럽조어 어원이 있는데 반해 [[https://twitter.com/PIE_Animals/status/1357350821864890370|염소를 뜻하는 단일 인도유럽조어 어원이 없다.]] * 게르만조어 *hnit- < 영어 nit * 게르만조어 *hnut- '[[견과류]]' < 영어 nut * 게르만조어 *wisund- '[[들소]]' < 영어 bison * 게르만조어 [[https://en.wiktionary.org/wiki/Reconstruction:Proto-West_Germanic/klaibr%C4%81|*klaibrā]] '[[클로버|토끼풀]]' < 영어 [[클로버|clover]] * [[독일어]] see '[[바다]]' < 영어 sea: 인도유럽조어에서는 바다를 뜻하는 단어가 *móri인데 그 후계 언어들인 [[게르만어파]]에서는 이와 전혀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만큼, [[외래어|차용어]]일 가능성을 의심하지 않을 수가 없다.[* [[독일어]]의 meer, 라틴어의 mare, 러시아어의 мо́ре는 전부 인도유럽조어로 [[바다]]를 뜻하는 *móri가 어원이다.] [[https://www.sgr.fi/sust/sust266/sust266_kroonen.pdf|출처]]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바다, version=716)] [[분류:비교언어학]][[분류:게르만어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