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게'는 한글 음절자 중 하나이다. 대개 순우리말/외래어에서 쓰이며 한자어에서의 빈도는 낮다. [[몌]], [[폐]], [[혜]]와 마찬가지로 [[계]] 역시 '게'로 읽는 것이 허용되기에 발음상의 출현 빈도는 표기상으로보다 높은 편이다. 때문에 '게'가 들어가는 한자어를 '계'인 걸로 혼동하는 일이 잦다. 근래에는 [[ㅔ와 ㅐ의 구별]]의 약화로 '[[개]]'로도 자주 틀린다. == 순우리말 == === [[게]], 갑각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게)] === 게, 한국어 '[[것]]이'의 준말 === 의존 명사 '것'에 주격조사 '이'가 붙은 '것이'는 '것'이 '거'로 줄어듦에 따라 '게'라고 쓸 수 있다. 지시 표현 '이/그/저'가 붙은 '이것/그것/저것'에 주격조사가 붙은 형태도 '이게/그게/저게' 식으로 줄어든다. 단, 구어상에서 '거'에 개음절 주격조사 '가'를 써서 '거가'라고 말하는 경우도 있다. === -[[게(어미)|게]], 한국어 어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게(어미))]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하게체)] 한국어의 어미로 연결 어미와 종결 어미 두 종류가 있다. == 한자 == '게'로 읽는 글자는 아래와 같다. 모두 [[교육용 한자]] 외이다. * [[揭]] (높이 들 게): 게시(揭[[示]]), 게양(揭[[揚]]), 게재(揭[[載]]) 등. 신자체는 [[掲]]이다. * [[憩]] (쉴 게): 휴게([[休]]憩), 게실염(憩[[室]][[炎]]) 등. [[偈]], [[愒]], [[憇]]도 같은 의미로 쓰인다. * [[洎]] (물 부을 게) 앞서 언급한 대로 [[계]] 역시 발음은 '게'이다. [[계]]에 배당된 한자는 교육용 한자만으로도 16자로 꽤 많은 편이다. 반절상 揭, 憩는 去例切, 偈는 其憩切로 ‘계’이지만 게로 쓰는 이유는 중뉴 때문이거나 [[신증유합]]에서 揭, 憩가 '게'로 써진 것 때문일 수 있다. 揭, 憩은 [[동국정운]]의 발음을 따르면 '켸'가 된다. 문화어에서는 한자어 '게'를 모두 '계'로 쓴다. == 외국어 == * Γῆ(게). [[가이아]]의 다른 이름. * [[G]]의 이름이 '게'(ge)인 언어들도 있다. * Gae(게). [[아일랜드어]]로 창(Spear)이란 뜻. * [[가나(문자)|가나]] [[け]]/ケ == 창작물 == === [[뱀신 게]], 유희왕 카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뱀신 게)] === [[게(와일드 암즈 세컨드 이그니션)|게]], [[와일드 암즈 세컨드 이그니션]]의 등장 도마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게(와일드 암즈 세컨드 이그니션))] [[분류:동음이의어]][[분류:수산물]][[분류:한국어의 문법 요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