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변한의 국가)] [include(틀:가야의 구성국)] [목차] == 개요 == 乞湌國 [include(틀:임나 멸망)]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를 포함한 한국 측 기록에는 없지만, [[일본서기]]에서 가야멸망 기사에서 가야 구성국들을 나열할 때 언급되고 있는 나라다. 한자를 달리 읽어 걸찬국이라고도 알려져 있다. [[사비회의]]에는 한기의 아들을 대표로 보내었다. 소국이었지만 상당히 오래동안 세력을 유지하여 최후에 이르러 대가야와 함께 [[신라]] [[진흥왕]]의 정복전쟁 끝에 멸망한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인 멸망연도는 대가야의 멸망시기와 비슷한 560년대 전후로 추정한다. 왜냐하면 가야중에 일찍이 망한 나라들은 위 기록에서 빠졌기 때문이다. 즉, 이전에 멸망한 비자발, 탁순, 금관가야는 긴메이 23년조에 언급되지 않고있다. 다시말해서 일본서기 긴메이 23년 1월의 기사는 정말로 562년을 전후하여 멸망한 가야 소국만을 나열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걸손국도 이때 멸망한 것으로 보인다. == 위치 == 삼국사기 지리지에는 지금의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 지역을 궐지군이라 하였고, [[신라]] [[경덕왕]] 때 궐성군으로 바뀌었다고 한다. 단성면 지역은 [[고고학]]적으로도 [[소가야]] 토기 분포의 양대 축이므로 유력 가야국이 있었던 곳으로 추정된다. 때문에 음상사와 고고학적 이유를 들어 이곳에 걸손국을 비정한다. 반면에 학자에 따라서는 걸타, 거타 등으로 불렸던 [[거창군]]이나 [[진주시]] 지역에 비정하기도 한다. 그러나 다수설은 [[자타국]]이 진주에 있었던 것으로 보며, 거창 지역은 후기 가야에서 가장 크고 강했던 [[대가야]]의 직할 영토인 성열현이 있었다고 본다. [[분류:삼한]][[분류:가야]][[분류:산청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