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20210206_141249.jpg|width=40]] {{{#004e96 ''' 김안과병원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학교법인 건양교육재단)] ---- [include(틀:건양대학교)] ---- }}} || ||<-2> {{{#ffffff '''{{{+1 건양의료재단 김안과병원 }}}'''}}}[br]{{{#ffffff '''KIM`S EYE HOSPITAL'''}}} || ||<-2> [[파일:20210206_141249.jpg|width=100%]] || || {{{#ffffff '''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px]] [[대한민국]] || || {{{#ffffff '''분류'''}}} ||안과전문병원 || || {{{#ffffff '''개원'''}}} ||[[1962년]] 김안과의원 개원 || || {{{#ffffff '''병원장'''}}} ||장재우 || || {{{#ffffff '''병상'''}}} ||89병상 || || {{{#ffffff '''재단'''}}} ||의료법인 건양의료재단 || || {{{#ffffff '''주소'''}}}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신로]] 136 (영등포동4가) || || {{{#ffffff '''홈페이지'''}}} ||[[http://www.kimeye.com/|{{{#006869 건양의료재단 김안과병원 홈페이지}}}]] || ||<-2> [include(틀:지도, 장소=건양의료재단 김안과병원, 너비=100%, 높이=200px)]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6px" [[파일:img_5320_2.jpg|width=300%]]}}} || || {{{#ffffff '''김안과병원'''}}}[* 사진 좌측 건물이 본관, 우측 건물이 망막병원이다.] || ||[youtube(3t6yQ8221iw?si=E2wP5AzGP7mfd8tw, width=300%)]|| || {{{#ffffff '''김안과병원 개원 60주년 기념 영상'''}}} || >'''대한민국 최고를 넘어 세계인의 눈을 책임지는 김안과병원''' 건양의료재단에서 운영하는 병원으로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신로]] 136 (영등포동4가)에 위치하고 있다. 의료 환경이 낙후돼 있던 [[한국전쟁]] 직후인 지난 [[1962년]], [[서울]] [[영등포]]에 3명의 직원으로 개원하였으며, [[2005년]], [[2008년]] [[보건복지부]]의 1, 2차 전문병원 시범기관으로 선정된 데 이어 [[2011년]] 복지부 지정 안과전문병원으로 뽑히기도 했다. 김안과를 개원했던 [[김희수(1928)|김희수]] 박사가 이를 바탕으로 이후 [[건양대학교]]를 설립한 관계로 [[건양교육재단]] 소속이며, [[1990년]]대에 실제로 영등포 건양병원으로 명명되어 잠시 진료를 하였으나 현재 '''정식 명칭은 [[의료법인]] 건양의료재단 김안과병원'''이며 [[건양교육재단]]과는 별도의 법인이지만 동일인의 지배를 받고 있다. 보통 대내외 명칭은 건양의대 김안과병원, 영등포 김안과병원으로 쓰이고 있다. 일반적으로 영등포 김안과병원이 준 정식 명칭으로 불린다. == 특징 == * 24시간 연중무휴 진료인데 '눈이 아픈 사람의 진료는 일요일도 밤낮도 없다’는 설립자 김희수 [[건양대학교]] 명예 총장의 소신에 따라 병원 설립이래 58년 동안「365일 연중무휴, 24시간 진료」라는 원칙을 지켜오고 있다. * 지난 [[1962년]]부터 [[2011년]]까지 누적 외래 진료 건수가 1,600만건을 넘으면서 국민 4명 중 1명이 다녀간 안과전문병원이 됐다.[* 2, 3위의 [[대학병원]] 및 기타 병원 안과 환자의 3~10배 에 달하는 많은 숫자이다.] 현재 연간 수술 건수 또한 3만1,000여건이 넘어서고 있으며, 특히 1,000여건에 달하는 사시수술과 4,000여건의 안 성형 수술 실적은 [[김안과병원]]의 자부심이다.[* [[1996년]] 8,500여 건, [[2000년]] 1만 건, [[2004]]년 1만 6천여 건, [[2009년]]과 [[2010년]]에는 2만2천여 건이다.] * 동아시아 최대시설의 안과전문병원이다. 지상 8층, 지하 3층의 본관과 지상6층, 지하 3층의 세계최초 망막병원 총 2개동을 안과 및 안과 지원을 위한 부서에서 사용하고 있다. 안과 단일과목으로서 국내 어느 [[대학병원]]이나 [[종합병원]]과 비교해도 규모 면에서부터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 [[1998년]] 국내 최초로 망막센터 개설 이후 진료분야를 각막, 녹내장, 라식, 백내장, 사시&소아안과, 성형안과 등 6개 전문화센터와 [[2008년]] 세계 최초로 개원한 망막병원으로 독립시켜 전문분야 세분화를 통해 보다 전문적인 진료를 제공하고 있다.[* 실제로 망막 분야에서는 독보적인 자리를 유지하고 있을 정도.] * [[2020년]] [[6월]] 기준 안과전문의 47명, 마취통증의학과, 내과, 영상의학과, 진단검사의학과 전문의 6명으로 총 53명의 전문의가 진료에 임하고 있으며, 10명의 안과 전공의를 포함하여 380여명의 직원들이 있다. 국내 최다 안과 전문의 보유 병원이다. * 강서•양천 쪽이 고령층이 많은 탓인지, 김안과병원을 가기 위해, 첫차시간대의 [[서울 버스 6628|6628번]], [[서울 버스 6629|6629번]], [[서울 버스 6630|6630번]], [[서울 버스 640|640번]], [[서울 버스 650|650번]]이 [[가축수송(교통)|혼잡도 MAX를 찍는 이유이다.]] 고령층들이 상당히 많이 탄다. --이때 출근하는 사람들은 그야말로 죽을 맛-- == 교통 == === 버스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dddddd '''김안과병원/당산신동아파밀리에(19118·19119·19435)'''}}}}}} || ||<-2>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 || [[간선버스(서울)|{{{#ffffff 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40|{{{#ffffff 640}}}]]}}}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41|{{{#ffffff 641}}}]]}}}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50|{{{#ffffff 650}}}]]}}}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60|{{{#ffffff 660}}}]]}}} || || [[지선버스(서울)|{{{#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5012|{{{#ffffff 5012}}}]]}}}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5616|{{{#ffffff 5616}}}]]}}}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5620|{{{#ffffff 5620}}}]]}}}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628|{{{#ffffff 6628}}}]]}}}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629|{{{#ffffff 6629}}}]]}}}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630|{{{#ffffff 6630}}}]]}}}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631|{{{#ffffff 6631}}}]]}}}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637|{{{#ffffff 6637}}}]]}}}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640|{{{#ffffff 6640}}}]]}}} || ||<-2> '''경기도 시내버스''' || || {{{#ffffff 일반}}}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부천 버스 70-3|{{{#ffffff 70-3}}}]]}}} ||}}} === 지하철 === 1호선 [[영등포역]]과 5호선 [[영등포시장역]]과 2호선 [[문래역]] 사이의 매우 애매한 장소에 자리하고 있다. [각주] [[분류:1962년 설립]] [[분류:서울특별시의 민영병원]] [[분류:건양교육재단]] [[분류:영등포구의 건축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