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MBF-PNN 건담 아스트레이 노 네임 [br] ガンダムアストレイノーネイム | Gundam Astray No-Name}}}''' || || [[파일:1643ba3e9fa352bb.png|width=300]] || [[파일:아스트레이 노 네임 뒤.png|width=300]] || [목차] == 개요 == [[건담 빌드 다이버즈]]의 등장 [[건프라]]. [[시바 츠카사]]의 GPD 전용 건프라이며 기본 베이스는 [[아스트레이 레드 프레임]][* 사실 자세히 보면 [[로드 아스트레이]]가 진짜 베이스이지만 공식 홈페이지와 건프라 설명서 설정에는 레드 프레임으로 되어있다.]. 500번의 전투에서 싸워 이겨왔으며, [[윙 건담 페니체|GPD 배틀을 거쳐오며 계속해서 복구했기에 비대칭 디자인]]이 되었다. == 제원 == ||<-2>
'''Gundam Astray No-Name''' profile || ||형식번호||MBF-PNN|| ||전고||17.53m|| ||중량||52.1t|| ||무장||빔 사벨 × 1[br]건틀릿 사벨 × 1[br]노 네임 유닛 × 1|| ||조종자||[[시바 츠카사]]|| == 무장 == * '''빔 사벨''' || [[파일:아스트레이 무장1.jpg|width=550]] || 노 네임의 주 무장이며, 각각 오른 팔과 백팩에 탑재되어 있다. 오른 팔의 빔 사벨은 한쪽 팔을 통째로 감싸는 건틀릿 형태로 되어 있어 건틀릿 사벨이라 부른다. * '''노 네임 유닛''' 츠카사가 오랜 기간 GPD에서의 경험을 토대로 결론 내어 제작한 유닛. 모티브는 암드 아머 시리즈로 각 모드의 영어명의 알파벳 앞글자 2자를 보면 각 암드 아머의 코드명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 '''D-익스텐션 모드'''[* 디펜스 익스텐션][* 모티브 암드 아머는 '암드 아머 DE'] || [[파일:노네임 코팅.jpg|width=550]] || 기본 형태이자 방어 형태로, 빔 코팅이 내장되어 있다. 츠카사의 말에 따르면 GPD에서는 기본이라는 듯하다. * '''B-스마트건'''[* 빔 스마트건][* 모티브 암드 아머는 '암드 아머 BS'] || [[파일:노네임 스마트건.jpg|width=550]] || 캐논 형태이며, 변형하면 장거리 포격용으로 활용 가능하다. * '''V-네일'''[* 바이브레이션 네일][* 모티브 암드 아머는 '암드 아머 VN'] || [[파일:노네임 네일.jpg|width=550]] || 클로 형태로, 근접전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 '''X-커넥트'''[* 모티브는 [[유니콘 건담 2호기 밴시 노른]]의 '암드 아머 XC'.] || [[파일:노네임 나이트로.jpg|width=550]] || 모드를 발동하면 유닛이 백팩으로 이동하여, [[건담 델타 카이]]에서 쓰였던 '''나이트로 시스템'''을 발동시킬 수 있다.[* 건프라 설명서의 설명에 따르면 원래 나이트로 시스템은 조종자를 강제로 강화인간화 시키는 시스템인데, 츠카사는 필드 정보를 재해석하고 이를 조종자에게 피드백하는 식으로 시스템을 재현하게끔 설정했다고 한다.] * '''블레이드 드라군''' || [[파일:노네임 블레이드 드라군.jpg|width=550]] || 각 파츠를 분리하여 원거리 비트 병기로도 활용할 수 있다. 블레이드 드라군이라는 이름답게 드라군 자체가 블레이드로 적에게 직접 참격하는 형식이다. 건프라 매뉴얼에 의하면 X-커넥트를 발동해야 사용이 가능하다. == 작중 행적 == || [[파일:노네임 얼굴.jpg|width=550]] || 건담 빌드 다이버즈 13화에서 첫 등장. 철저한 GPD 전용 기체답게 역습을 당해 오른쪽 뿔을 절단당한 것 외에는 더블오 다이버를 말 그대로 압도하면서 나이트로 시스템을 가동시켜 우위를 앞세웠지만, 끝을 보려는 찰나의 순간에 더블오 다이버가 빔 사벨을 복부에 꽂아 버리면서 패배한다.[* [[아스트레이 미라쥬 프레임]]을 오마쥬한 것으로 보인다.] || [[파일:얘들아 형 왔다!!.png|width=550]] || 최종화에서 GPD가 아닌 '''GBN'''에서 재등장. 뒤에서 습격당할 뻔한 아야메를 구해주고[* 정식으로 마주치지는 않았고 멀리서 B-스마트건을 쏜 뒤 바로 다른 곳으로 가버렸다. 아야메는 누군지 알아본듯 하다.] 궁지에 몰린 코이치를 하늘에서 내려오면서 적을 베어 구해주고 전투에 합류, 함께 레이드 보스의 서브 유닛들을 제거 했다. 13화에서 전투 후 오른팔을 포함해 파손된 부분이 많았는데, 이번에 복구하면서 디자인이 달라진 부분은 없는 듯 하다. 이후 [[건담 빌드 다이버즈 Re:RISE|후속작]]에서 후속기인 [[로드 아스트레이 더블 리베이크]]가 등장. 자세한 사항은 [[로드 아스트레이 더블 리베이크|항목 참조]] == 모형화 == 건담 아스트레이 노 네임의 모형화를 방영 당시에 HG 건프라 2종(본체, 무장 단품)으로만 이루어졌다. === 건프라 === ==== HGBD 건담 아스트레이 노 네임[anchor(HG노네임)]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G 노네임.jpg|width=100%]]}}}|| || 브랜드 || [[하이 그레이드|High Grade Build Divers]] || || 스케일 || 1/144 || || 발매 || 2018년 8월 4일 || || 가격 || 1,800엔 || || 링크 || [[https://bandai-hobby.net/item/2878/|제품 페이지]] || || 리뷰 || [[http://www.dalong.net/reviews/bf/bd12/bd12_i.htm|[include(틀:달롱넷 건프라 리뷰 표시)]]], [[https://youtu.be/uKFZ9cDhHmE|[include(틀:건담홀릭 건프라 리뷰 표시)]]] || 애니에서의 모습에서 일부 디자인을 변경 및 디테일 추가해서 나온 지라 호평을 받았다. 그러나 실제품은 검은색 파츠가 적갈색으로 변경되고 회색 외장은 순백색이 되어버리는 등 사출색이 설정과 다르게 나왔으며, 가동성도 기존 아스트레이와 대비해 나빠진데다가, 노 네임 유닛의 V-네일 모드의 재현이 불가능하며, 작중에서 많이 사용한 일반 빔 사벨을 동봉하지 않아 이 부분에서 비판을 받고 있다. 다만 디자인이 좋은 만큼 HGBD 중에선 인기가 많은 편 ==== HGBC 노 네임 라이플[anchor(HG라이플)]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노네임 라이플.jpg|width=100%]]}}}|| || 브랜드 || [[하이 그레이드|High Grade Build Custom]] || || 스케일 || 1/144 || || 발매 || 2018년 9월 8일 || || 가격 || 800엔 || || 링크 || [[https://bandai-hobby.net/item/2879/|제품 페이지]] || || 리뷰 || [[http://www.dalong.net/reviews/bf/bc45/bc45_i.htm|[include(틀:달롱넷 건프라 리뷰 표시)]]] || == 관련 문서 == * [[시바 츠카사]] * [[건담 아스트레이]] * [[로드 아스트레이 더블 리베이크]] [[분류: 건담 빌드 다이버즈]][[분류: 건담 아스트레이]][[분류:2018년 HG 건프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