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건담 W 주요 기체)] || '''OZ-10VMSX Gundam Aesculapius'''[br]ガンダムアスクレプオス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Wing_%28564%29.jpg|width=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신기동전기 건담 W 듀얼 스토리 G-UNIT]]에 등장하는 [[건담 타입]]의 [[모빌슈트]]. == 제원 == ||<-2>
{{{#white OZ-10VMSX Gundam Aesculapius Profile}}} || ||<-3> {{{#!folding [접기 / 펼치기] ||
번호 || OZ-10VMSX || || 명칭 || 건담 아스클레피오스 || || 형식 || [[모빌슈트]] || || 제작 || [[OZ(신기동전기 건담 W)|OZ]] || || 파일럿 || [[오델 버넷|실바 크라운]] [br] [[로쉐 나투노]] || || 발주시기 || AC. 195. 11. 22 || ||<-2> {{{#white OZ-10VMSX Gundam Aesculapius General Characteristics}}} || || 좌석 || 흉부 일반 콕핏에 파일럿 위치 || || 전고 || 노말 모드 - 18.2 m [br] 근접 모드 - 16.7 m || || 중량 || 12.8 t || || 장갑 || [[건다리움 합금|G-메탈]] [br] 티타늄 합금 || || 출력 || 7935 kw || || 추력 || 127940 kg || ||<-2> {{{#white OZ-10VMSX Gundam Aesculapius Armaments}}} || || 전용장비 || 센서 [[PX 시스템]] 하이 토크 스러스터 × 4 프러펠런트 레그 탱크 × 2 액티브 재머 액티브 스캐너 || || 내장무장 || 빔 소드 × 2 파이썬 클로 × 2 래피드 샷 × 4 || || 옵션무장 || 액셀러레이션 라이플 × 2 || }}} || ||<-2>
{{{#white OZ-10VMSX Gundam Aesculapius Picture}}} || || [[파일:Oz-10vmsx.jpg|width=100%]] || [[파일:Oz-10vmsx-closecombat.jpg|width=100%]] || || 고기동 모드 || 접근전 모드 || == 기체 설명 == > MO-V의 건담 제미나스를 OZ 프라이즈가 노획한 후 가변 MS로 강화·개수한 기체. 하이 토크 스러스터의 성능을 최대한으로 발휘하는 고기동 모드, 강습에 특화된 접근전 모드로 변형할 수 있다. 지상, 공중에서도 운용가능하다. 특히 접근전 모드는 수중전 시 뛰어난 성능을 발휘한다. 기체 명칭의 유래는 [[땅꾼자리]]. 담당 파일럿은 [[로쉐 나투노]]/[[오델 버넷|실바 크라운]]이다. 그리고 턴 에이 건담 만화책판에서의 파일럿은 무려 [[코렌 난다]]. [[건담 제미나스]] 2호기를 [[건담 강탈]]해 만든 개수기로, [[닥터 펠게]]에 의해 G-UNIT용의 격투전 장비를 덧붙여서 개량했다. 기본 상태로도 근접 성능이 상당히 좋아졌는데, 거기다가 접근전 모드로 변형할 수 있기까지 해서 당시 기술력으로 근거리 전투에서 이 기체를 이길 수 있는 MS가 거의 없었다고 한다. 장비를 덧붙여서 개량한 거라 기존의 제미나스 부분이 고스란히 보존되어 있어서 기존 장비도 전부 사용 가능하며, 나중에 이 기체가 MO-V로 되돌아가자 미리 복제해 놓은 예비기를 [[건담 반레프오스]]로 2차 개수하여 투입하게 된다. * 무장 * 파이썬 클로 ,,パイソンクロー / Python Claws,, > 접근전 모드 시, 양 팔에 씌워지는 공격용 머니퓰레이터(기계손). 3개의 손톱은 각자 초진동소자 블레이드(초음파 커팅날)로 이뤄졌다. 고기동 모드 시엔 양 어깨에 수납된다. * 래피드 샷 ,,ラピッドショット / Rapid Shots,, > 각 파이썬 클로에 2문씩 탑재된 빔 발칸포. 고기동 모드 상태에서도 발사할 수 있다. * 빔 라이플 ,,ビームライフル / Beam Rifles,, > 추가로 장비한 부무장. 출력·사거리는 액셀러레이션 라이플보다 못하지만, 기체 가변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장비할 수 있다. 사용하지 않을 땐 백팩 꽁무니에 수납한다. * 프러펠런트 레그 탱크 ,,プロペラントレッグタンク / Propellant Leg Tank,, > 추진용 에너지 탱크와 스러스터를 갖춘 각부의 추가 유닛. 상체가 큰 축에 속하는 기체의 무게 중심을 잡아주는 역할도 한다. * 빔 소드 ,,ビームソード,, 사용하지 않을 땐 파이썬 클로의 글러브 부분(고기동 모드의 어깨 장갑)에 수납한다. * 액셀러레이션 라이플 ,,アクセラレートライフル / Accelerate Rifle,, == 작중 취급 == 처음에는 건담 제미나스 2호기를 노획한 [[로쉐 나투노]]가 탑승하고서 [[아딘 버넷]]이 탑승한 건담 제미나스를 밀어붙였는데, [[PX 시스템]]을 가동하자마자 그대로 밀리고 [[역관광]].[* 이 작품에서 로쉐는 PX 시스템을 발동하지 못하기 때문에 본인보다 실력상 아래인 상대에게도 밀리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후 기체는 실버 크라운에게로 넘어가서 똑같이 PX시스템을 발동하여 아딘에게 승리한다. 이후 실버 크라운, 오델 버넷은 자신이 만든 [[건담 그리프]]를 MO-V로 보내는 작전을 실행한 뒤[* 작전명은 오퍼레이션 판도라. OZ 프라이즈에게는 자원위성에 부스터를 달아서 MO-V와 충돌시키는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배신을 깨닫고 쫓아온 [[하이드라 건담]]에 탑승한 [[발더 파킬]]에 대항하나[* 이때 하이드라 건담의 고기동 모드는 PX 시스템을 발동한 건담 아스클레피오스 이상으로 빠르다는 게 밝혀진다.] ~~별 의미도 없었던 오델의 정체 까발리기 이후에~~ 아딘이 갈아탄 [[건담 그리프]]의 도움을 받아 다시 MO-V로 되돌아간다. OZ프라이즈에서 개수해서 로쉐와 실버 크라운 행세하던 오델이 탑승할 때는 다른 머리를 장착했지만, 하이드라 건담에게 머리를 파괴당하는 바람에 복귀한 후에는 머리를 제미나스 타입으로 돌려놓은 것도 특징. 한편으로는 근접 전투 모드의 모습은 아무리 봐도 [[즈곡크]]인데(더 정확하게는 [[즈곡크 E]]와 [[하이곡그]]를 섞은 것에 더 가까운 모양새다), 이걸 가지고 자투리 4컷 만화에서 [[네타]]로 써먹기도 했다.[* 로쉐 : 봐라, 이것이 우리들의 새로운 건담이다! 아딘 : 그, 그 기체는... '''즈곡크 건담! 아니면 [[꽃게]].''' 로쉐 : 아니거든!] == 모형화 == === 건프라 === ==== HG (1997)[anchor(H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G 건담 아스클레피오스 박스아트.jpg|width=100%]]}}} || || 브랜드 || [[하이 그레이드|High Grade]] || || 스케일 || 1/144 || || 발매 || 1997년 7월 || || 가격 || 800엔 || || 링크 || [[https://bandai-hobby.net/item/3692/|제품 페이지]] || || 리뷰 || [[http://www.dalong.net/reviews/old/wg2/wg2.htm|[include(틀:달롱넷 건프라 리뷰 표시)]]] || 색분할은 준수한 편으로 크로 부분을 스티커 땜질 하는 것 외에는 거의 상당부분을 사출색으로 재현했다. 가변도 머리 & 손 탈착 이외에는 추가 부품 장착같은 것 없이 변형 가능. ==== HGAC (2022)[anchor(HGAC)]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GAC 건담 아스클레피오스 박스아트.jpg|width=100%]]}}} || || 상품구분 || [include(틀:프리미엄 반다이 한정 표시)] || || 브랜드 || [[하이 그레이드#s-4.1.1.3|High Grade After Colony]] || || 스케일 || 1/144 || || 발매 || 2022년 1월 || || 가격 || 3,600엔 || || 링크 || [[https://p-bandai.jp/item/item-1000164313/|제품 페이지]] || || 리뷰 || [include(틀:해외 건프라 리뷰 표시)] [[http://schizophonic9.com/re7/hgac_aesculapius.html|#1]], [[http://gundamsblog.net/ガンプラ/hg-ガンダムアスクレプオス|#2]][br][include(틀:국내 건프라 리뷰 표시)] [[http://dalong.net/reviews/cg/cgh285/cgh285_p.htm|달롱넷]] || [[건담 에이스]] 2021년 11월호에서 [[https://www.gundam.info/news/publications/01_5677.html|발매 결정이라는 정보]]가 나왔고, 2021년 10월 13일에 [[프리미엄 반다이]]로 수주를 시작했다. 구판과는 달리 Re 버전의 디자인을 반영했기 때문에 다리 쪽 변형 기믹이 추가되었고, 상체 부분의 변형도 구판과 달라졌다. 거기에 새로이 쌍권총형 빔 라이플을 백팩 하단에 장착가능하게 했는데, 이는 [[신기동전기 건담 W G-UNIT 오퍼레이션 갈리아레스트|오퍼레이션 갈리아레스트]]의 최종결전 버전으로 반영되었다. 전체적으로 실루엣이 슬림하게 빠져 원본인 HGAC 제미나스의 느낌을 많이 찾아볼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 게임에서의 건담 아스클레피오스 == [[SD건담 G제네레이션 F]]에 등장했다가 [[SD건담 G제네레이션 OVER WORLD]]에 재등장한다. 2호기에서 개발 가능하며, 1호기 쪽의 개발 루트와는 달리 사정거리 4 이상의 무기가 생기지 않기 때문에 사용에 제약을 좀 받는 편. 이러한 문제점은 반레프오스에도 계속 이어진다. == 여담 == 코믹 봉봉판 [[∀건담]]에서는 [[코렌 난다]]가 '''[[카풀(모빌슈트)|카풀]] 대신 이걸 발굴해서''' 자신의 전용기로 삼는다. 연재 잡지명을 잘 보면 알 수 있겠지만, 역시나 범인은 [[토키타 코이치]]. 엄밀히 따지면 변형체인 즈곡크형 메인 상태로, 기체 몇몇 부분이 다른데다 변형기구도 살아있지 않은 레플리카 기체인지라 건담타입이 아니다. 나중에 밝혀지길, 선라이즈 측의 요청으로 애니메이션보다 먼저 전용 카풀을 타고 나오는걸 막기 위한(=스포일러 방지) 처리였다고 한다. 이후 토키타씨가 그린 건담 EXA에서도 코렌이 여기에 탈려했는데 여기서는 전이랑 달리 변형기구가 살아있는 덕에 오작동으로 [[레그넌트|건담타입으로 변형한걸 알고 타는걸 거부하고]] 결국 카풀에 타게된다는 개그를 보여준다. 그 외에도 [[건담 빌드 파이터즈]]에서 아주 잠깐 배경으로 등장한다. 변형 형태가 즈곡크를 닮아서 [[SD건담 삼국전]]에서는 수적들의 졸병으로 등장한다. ~~V건담에 이은 양산형 건담~~ [[분류:신기동전기 건담 W/등장 메카닉]][[분류:건담 타입]][[분류:1997년 HG 건프라]][[분류:2022년 HG 건프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