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건그레이브)] ||<-2>
{{{#373a3c,#dddddd '''{{{+1 건그레이브}}}''' (2003~2004)[br]ガングレイヴ}}}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건그레이브_애니.jpg|width=100%]]}}} || ||<-2>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
'''{{{#373a3c,#dddddd 원작}}}''' ||[[나이토 야스히로]][br]레드 엔터테인먼트 || || '''{{{#373a3c,#dddddd 감독}}}''' ||[[츠루 토시유키]] || || '''{{{#373a3c,#dddddd 조감독}}}''' ||[[마스하라 미츠유키]] || || '''{{{#373a3c,#dddddd 캐릭터 원안}}}''' ||[[나이토 야스히로]] || || '''{{{#373a3c,#dddddd 캐릭터 디자인}}}''' ||[[시노 마사노리]] || || '''{{{#373a3c,#dddddd 총 작화감독}}}''' ||시노 마사노리[br][[야마우치 히데코|Cindy H. Yamauchi]] || || '''{{{#373a3c,#dddddd 메카닉 디자인 원안}}}''' ||[[후지시마 코스케]] || || '''{{{#373a3c,#dddddd 메카닉 / 소품 디자인}}}''' ||키무라 마사히로(木村雅広) || || '''{{{#373a3c,#dddddd 미술 감독}}}''' ||우에노 히데유키(上野秀行)[br]시미즈 토모유키(清水友幸) || || '''{{{#373a3c,#dddddd 색채 설계}}}''' ||코시카와 요시미(こしかわよしみ) || || '''{{{#373a3c,#dddddd 촬영 감독}}}''' ||시라이 히사오(白井久男) || || '''{{{#373a3c,#dddddd 음악}}}''' ||[[이마호리 츠네오]] || || '''{{{#373a3c,#dddddd 음향 감독}}}''' ||혼다 야스노리(本田保則) || || '''{{{#373a3c,#dddddd 애니메이션 제작}}}''' ||[[매드하우스|[[파일:매드하우스 로고.svg|height=20]]]] || || '''{{{#373a3c,#dddddd 제작}}}''' ||PROJECT GUNGRAVE || || '''{{{#373a3c,#dddddd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2003년 10월|2003. 10. 07.]] ~ 2004. 03. 30. || || '''{{{#373a3c,#dddddd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TV 도쿄]] / (화) 01:30[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채널J]], [[애니박스]] || || '''{{{#373a3c,#dddddd 편당 러닝타임}}}''' ||24분 || || '''{{{#373a3c,#dddddd 화수}}}''' ||26화 || || '''{{{#373a3c,#dddddd 국내 심의 등급}}}'''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관련 규정|[[파일:19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ffffff 19세 이상 시청가}}}]] || || '''{{{#373a3c,#dddddd 관련 사이트}}}''' ||[[http://www.madhouse.co.jp/works/2004-2003/works_tv_gungrave.html|[[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게임 [[건그레이브]]를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감독은 [[츠루 토시유키]]. [[애니메이션/2003년 10월|2003년 10월]]부터 2004년 3월까지 [[TV 도쿄]]에서 애니메이션으로 방영했다. 전 26화. [[나이토 야스히로]]의 [[트라이건]]과는 제작사가 [[매드하우스]]라는 점부터 해서 각본의 [[쿠로다 요스케]]나 음악감독까지 동일하다. 원작 게임이 게임인지라, 쏘고 갈기는 스타일리쉬 액션 애니메이션이 될 것이라 생각한 사람이 많았지만 예상 외로 정통파에 가까운 [[느와르]]물. 게임상에선 드러나지 않았던 [[비욘드 더 그레이브]] = [[브랜든 히트]]의 과거와 불사신의 건맨이 된 이유, 최종 보스라고 할 수 있는 [[해리 맥도웰]]과의 관계나 기타 인간 관계가 보다 자세하게 그려진다. 사실상 원작 게임의 틀만 어느정도 빌려온 별개의 작품이라고 보면 된다. 다만 [[건그레이브 G.O.R.E]]에서 젊은 시절의 브랜든 히트가 등장하는 것을 보면, 게임이 애니메이션의 설정을 역수입까지 할 정도로 애니메이션도 참고한 것으로 보인다. 여담이지만 실사화 계획이 있다는데 [[헬싱]]처럼 제작진이 문제라고 한다. 국내에서는 2006년 10월에 채널 J에서 자막판으로 방영. 2007년 2월에 [[대원방송]] 계열의 [[애니박스]]를 통한 재방영도 이루어졌다. [youtube(7WCyaHz6I1g)] 건그레이브 애니 광고 모음 [youtube(hbgiQwZjuSE)] 건그레이브 DVD 광고 모음 == [[건그레이브/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건그레이브/등장인물)] == [[건그레이브#설정|설정]]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건그레이브, 앵커=설정)] == 음악 == === 주제가 === [youtube(Hlf5yNAiU9A)] * 오프닝 테마 '''ファミリィ''' * 작곡, 편곡: [[이마호리 츠네오]] * 엔딩 테마 '''茜色が燃えるとき''' * 작사: 코야마 슈(小山 周) * 작곡: 마츠모토 코지로(松木泰二郎) * 편곡, 연주: Scoobie Do === OST === [youtube(1soyz7DeEDU)] Scoobie Do가 부른 '''茜色が燃えるとき(노을빛이 불타오를때)'''는 최고의 애니메이션 OST 라고 할 수 있다. 엔딩 테마곡에 대한 회의를 하고 있을 때 누가 가져온 이 노래(기존에 있던 가요)를 듣고 모두들 이 노래다! 했다고. 게임 1편 삽입곡이자 엔딩곡인 '''Here comes the rain''' 역시 명곡. 애니메이션에서도 브랜든과 해리의 파국이 일어나는 화에서 나왔다. == 회차 목록 == * 전화 각본: [[쿠로다 요스케]] ||
'''회차''' || '''제목'''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방영일''' || || 제1화 || 黄昏の破壊者[br]황혼의 파괴자 || [[츠루 토시유키]][br][[사토 유조]] || [[아라키 테츠로]] || [[야마우치 히데코|Cindy H. Yamauchi]][br][[칸노 토시유키]][br]키쿠치 토시히로[br](菊池聡延)[br]카스가이 히로유키[br](春日井浩之)[br][[키타오 마사루]] || 日: 2003.10.07.[br]韓: || || 제2화 || YOUNG DOGS || 츠루 토시유키[br][[마스하라 미츠유키]] || 마스하라 미츠유키 || 타카오카 준이치[br](高岡淳一)[br][[야마다 카츠야]] || 日: 2003.10.14.[br]韓: || || 제3화 || RAIN ||<-2> [[마츠오 코우]] || [[키타노 유키히로]] || 日: 2003.10.21.[br]韓: || || 제4화 || GO || 미야시타 신페이[br](宮下新平) || 요시모토 타케시[br](吉本 毅) || 아오키 마리코[br](青木真理子) || 日: 2003.10.28.[br]韓: || || 제5화 || MILLENNION || 김기두[br](金紀社) || [[오오타 마사히코]] || 김기두[br]코바야시 오사무[br](小林 理) || 日: 2003.11.04.[br]韓: || || 제6화 || BIG DADDY || 하라 히로시[br](原 博) || 키무라 히로시[br](木村 寛) || [[이카이 카즈유키]] || 日: 2003.11.11.[br]韓: || || 제7화 || 5 YEARS LATER || 소~토메 코이치로[br](そーとめこーいちろう) || 마스하라 미츠유키 || 칸노 토시유키[br]키쿠치 토시히로 || 日: 2003.11.18.[br]韓: || || 제8화 || FAMILY || 오오타 마사히코 || 아라키 테츠로 || 타카오카 준이치[br]후쿠다 노리유키[br](ふくだのりゆき) || 日: 2003.11.25.[br]韓: || || 제9화 || DISPUTE || 마츠오 코우 || 미야타 료[br](宮田 亮) || 키타노 유키히로 || 日: 2003.12.02.[br]韓: || || 제10화 || CONFLICT || [[사토 신지]] || 요시모토 타케시 || 김기두[br]코바야시 오사무 || 日: 2003.12.09.[br]韓: || || 제11화 || HEAT || [[니시무라 사토시#애니메이션 감독 니시무라 사토시]] || 츠치야 히로유키[br](土屋浩幸) || 아오키 마리코 || 日: 2003.12.16.[br]韓: || || 제12화 || KIND || 하라 히로시 || 키무라 히로시 || 이카이 카즈유키 || 日: 2003.12.23.[br]韓: || || 제13화 || BETRAYAL ||<-2> 아라키 테츠로 || 히나타 마사키[br](日向正樹) || 日: 2003.12.30.[br]韓: || || 제14화 || DIE ||<-2> 츠루 토시유키 || 칸노 토시유키[br]키쿠치 토시히로 || 日: 2004.01.06.[br]韓: || || 제15화 || HARRY ||<-2> 마츠오 코우 || 키타노 유키히로 || 日: 2004.01.13.[br]韓: || || 제16화 || LETTER || 오오타 마사히코 || 츠치야 히로유키 || 아오키 마리코 || 日: 2004.01.20.[br]韓: || || 제17화 || MIKA || 하라 히로시 || 키무라 히로시 || 이카이 카즈유키[br]야마모토 마사후미[br](山本正文) || 日: 2004.01.27.[br]韓: || || 제18화 || GRAVE || 마스하라 미츠유키[br]츠루 토시유키[br]사토 유조 || 마스하라 미츠유키[br]아라키 테츠로 || Cindy H. Yamauchi[br]키쿠치 토시히로[br]칸노 토시유키[br]카스가이 히로유키[br]키타오 마사루 || 日: 2004.02.03.[br]韓: || || 제19화 || SUPERIOR || [[시노 마사노리]] || 요시모토 타케시 || 후쿠다 노리유키[br]칸노 토시유키[br]시노 마사노리 || 日: 2004.02.10.[br]韓: || || 제20화 || BROTHER || 타카오카 준이치 || 오오타 마사히코 || 히나타 마사키 || 日: 2004.02.17.[br]韓: || || 제21화 || DUTY ||<-2> 마츠오 코우 || 키타노 유키히로 || 日: 2004.02.24.[br]韓: || || 제22화 || REMORSE || 오오타 마사히코 || 츠치야 히로유키 || 아오키 마리코 || 日: 2004.03.02.[br]韓: || || 제23화 || DAUGHTER || 하라 히로시 || 키무라 히로시 || 이카이 카즈유키 || 日: 2004.03.09.[br]韓: || || 제24화 || LAST BULLET || 타카오카 준이치 || 요시모토 타케시 || 후쿠다 노리유키[br]타카오카 준이치 || 日: 2004.03.16.[br]韓: || || 제25화 || THEN ||<-2> 아라키 테츠로 || 히나타 마사키 || 日: 2004.03.23.[br]韓: || || 제26화 || 破壊者たちの黄昏[br]파괴자들의 황혼 || 츠루 토시유키 || 마스하라 미츠유키 || 시노 마사노리 || 日: 2004.03.30.[br]韓: || == 평가 == 게임판이 준수한 액션 게임인데 비하여 애니 쪽은 [[미장센]]이 팍팍 느껴지는 걸작 [[마피아]]물로서, 액션의 비중이 엄청나게 줄어든 대신 인물간의 갈등 관계에 주목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거운 분위기와 뛰어난 영상미를 감상할 수 있는 수작으로 만들었다. 덕분에 나올 당시에 혹평이었던 건그레이브 1편의 후속작인 OD가 나왔을때, 혹평을 퍼부었던 국내 게임 잡지들이 안면몰수하고 '명작이었던 전작의 후속작'이라는 찬사를 [[던전 앤 파이터|게임 리뷰에 적는 촌극]]도 있었다.--위의 OD 게임평을 다시 보라-- [[마피아]]물이니만큼 [[대부]]의 영향을 받은 부분이 보이는데, 대부와 마찬가지로 '[[패밀리|가족(family)]]'이 작중에서 주요 소재로 다루어지며, [[비토 콜레오네|카리스마 넘치면서도 온후한 선대 보스]] 빅 대디와 [[마이클 콜레오네|수완은 뛰어나지만 냉정하고 목적을 위해서는 피도 눈물도 없어지는 냉정한 후대 보스]] 해리 맥도웰이 극의 중심이 된다는 점에서 대부와 유사한 점이 많다. 게임판은 엄청난 액션을 자랑했지만, 애니메이션에선 액션신이 손에 꼽을 정도로 적다. 원작같은 액션을 기대하진 말 것. 실질적으로 게임급의 스타일리쉬 액션은 [[http://youtu.be/qNG5W2xrG30|그레이브와 분지의 마지막 결투]]가 거의 전부. 방영 당시에는 1화에서의 액션이 기대 이하였던 탓에 엄청나게 까였고, 브랜든 히트가 --올빽이 되는-- 히트맨으로 활동하는 내용이 되기 전까지는 보는 사람들만 보는 애니이기도 했다. 이후 1쿨이 넘어가면서 해당 분기 최고의 인기를 구가하게 된다. 하지만 오늘 날의 시점으로 볼 때, 작화의 질도 그렇게 뛰어나다 할 수는 없다. 다만 이건 애니메이션 제작이 수작업에서 디지털 제작 방식으로 넘어가던 과도기라 작화가 불안정한 경우가 많다. 거기다 당시 3D 기술이 크게 발전하지도 않았기 때문에 TV판으로 원작 게임의 화려한 액션을 재현한다는건 상당히 힘들다. 주인공 비욘드 더 그레이브의 복장 또한 디테일한 장식이 많아 애니메이션 제작환경에선 꽤 부담되는 편이다. 후반에 가선 그레이브의 복장이나 무장이 훨씬 그리기 간단한 디자인으로 점점 바뀌는 점에서 제작진이 얼마나 부담스러워했는지 노골적으로 느껴지는 부분이다. 일각에서는 악질이라는 말밖에 들을 수 없는 해리 맥도웰에 대한 지나친 변호를 이 작품의 단점이라고 꼽고 있다. 그러나 두 사람이 그렇게 상반된 모습으로 변할 수 밖에 없는 과정을 본편에서 상세하게 보여주었으며, 이는 마피아물의 왕도적 클리셰이기도 하다. 서양에서는 매니아 팬이 꽤 있으며 [[블루레이]]는 북미판만 나왔다. 스토리를 중시하는 국내 매니아 성향과 굉장히 잘 맞는 애니로, 국내에서는 '''걸작 [[느와르]] 애니'''로 대우받고 있다.[* 거의 '''[[카우보이 비밥]]'''과 비슷한 대우를 받고 있다.] 정작 일본 내에서는 마이너 애니메이션이지만, 그래도 일본내에서도 성공적인 [[애니화]]한 게임 중 하나로 손꼽힌다. 다만 게임 팬들에게는 그다지 달갑지 않은 작품이기도 한데, 사실상 다른 작품이나 다름없는 게임 이야기에 허구한날 애니메이션 언급을 하는 팬들이 다수 등장하여 [[빠가 까를 만든다]]를 눈살 찌푸리는 장면을 종종 보여준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건그레이브, version=186)] [[분류:건그레이브]][[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03년 4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2004년 1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게임 원작 애니메이션]][[분류:매드하우스]][[분류:느와르 애니메이션]][[분류:디스토피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