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이승만)] ||<-2>
{{{#000000 '''{{{+2 건국전쟁}}}''' (2024)[br]''The Birth of Korea''}}} || ||<-2> [[파일:건국전쟁_공식_포스터_.jpg|width=100%]] || || '''{{{#000000 장르}}}''' || [[다큐멘터리]] || || '''{{{#000000 감독}}}''' || [[김덕영(영화 감독)|김덕영]][* [[서강대학교]] 철학과 졸업. 영화감독. 소설가. <김일성의 아이들>. 『두 개의 고향』. 現 다큐스토리 대표. 로마국제무비어워드 최우수 다큐멘터리 작품상 수상] || || '''{{{#000000 각본}}}''' || [[김덕영(영화 감독)|김덕영]] || || '''{{{#000000 제작}}}''' || 다큐스토리프로덕션[br][[http://www.loverokorea.org/|대한민국사랑회]][br][[트루스포럼]] || || '''{{{#000000 출연}}}''' || '''[[이승만]]''' || || '''{{{#000000 촬영}}}''' || || || '''{{{#000000 음악}}}''' || || || '''{{{#000000 배급사}}}'''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다큐스토리프로덕션 || || '''{{{#000000 개봉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4년]] [[2월 1일]] || || '''{{{#000000 화면비}}}''' || || || '''{{{#000000 상영 시간}}}''' || 101분 || || '''{{{#000000 제작비}}}''' || 3억원 || || '''{{{#000000 대한민국 총 관객수}}}''' || 129,575명 ||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000000 상영 등급}}}]]'''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width=30]]]]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000000,#ffffff 12세 이상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2024년]]에 개봉된 한국의 [[독립영화]]. 대한민국의 초대 대통령 [[이승만]]과 관련된 영화이다. == 예고편 == == 등장인물 == * '''[[이승만]] - [[전 대통령]]''' == 시놉시스 == >1945년 해방 이후 [[한반도]]는 [[2차 대전]]의 승전국 미국과 소련이 [[38선]] 일대에서 분리되어서 남과 북은 이념의 가치 때문에 서로 다른 길을 걸어 왔다. 38선 북쪽지역에서는 [[공산진영]]의 국가 [[소련]]의 영향을 받으며 자유를 억압하고 인권을 무시하며 주민들에게 가혹한 탄압하는 공산주의 독재 국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과 반면 38선 남쪽지역에서는 [[자유진영]]의 국가 [[미국]]의 영향을 받으며 [[자유민주주의]]에 기초한 경제 번영과 선진국의 길로 들어선 [[대한민국]]. 두 나라는 같은 언어, 역사, 민족을 공유하면서 어떻게 극단적인 두 나라로 갈라졌을까? 지난 70년 역사를 통해서 오늘의 대한민국을 만들고 지켜내기 위해 노력했던 이승만 대통령과 건국 1세대들의 희생과 투쟁을 조명한 작품이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승만/일생, 앵커=해방 정국)] == 여담 == * 김덕영 감독은 84학번으로 당초 이승만에 대해 부정적 인식을 갖고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북한이 1990년대까지도 '이승만 괴뢰도당을 타도하자'는 플래카드를 내걸었다는 사실을 알고서 '북한이 이승만을 미워하는 이유'를 공부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그는 "팩트만 보여줘도 이승만에 대한 잘못된 생각이 바뀔 것이란 생각으로 영화를 만들었다"고 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814703?sid=110|출처]] * 영화에서 보여지듯 북한은 남한을 '이승만 괴뢰당'이라 하며 끊이없이 '이승만 지우기'를 시도하였다. '1948년에 남한 북한.. 각각 2개의 정부가 한반도에 들어섰는데 북한은 우리가 더 정통이다' 라고 주장하고 있으며, 이 주장을 남한의 [[주체사상파]]가 받드는 핵심 논리가 된다. '남한이 문제가 있었네' 라고 보이게끔 하기 위해 이승만 공격에 앞장섰고 특히 민족문제연구소가 백년전쟁 등을 통해 이승만을 문제가 있는 사람으로 만들었다. 누가봐도 정치적 목적이 있음을 알수 있다. 결과적으로 북한의 노림수는 '자신들은 독립운동가들이 세운 나라로서 더 정통성이 있다' 라고 알려 남한보다 체제의 우월성과 정당성을 독점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https://www.youtube.com/shorts/zGy01JcHGpg|출처]] * 영화에서는 [[런승만]] 밈에 대해서 세간의 잘못 알려진 오해라고 하면서, 당시 라디오 방송 원본 어디에도 "서울 시민 여러분, 안심하고 서울을 지키십시오."라는 말은 없었다는 정도로만 반박했다. [[나무위키]]에서는 각각으로 본게 아닌, 그 전후로 함께 방송된 정부 차원의 거짓말까지 고려해 토론을 통해 밈으로 합의를 보았다. 자세한 내용은 [[국민 여러분 안심하십시오]] 참조. * [[농지]], [[원자력]] 부분에 대비되는 사건이 있어 다시 조명 될 듯 하다. 이승만이 1946년 2월 [[과도정부 당면 정책 33항]]을 직접 작성하여 발표하였다. 그리고 1950년대 1세대 [[원자력]] 유학생의 후기.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775044?sid=110|#]] 여담으로 2017년 절대농지에 태양광 발전소 건립 허용 추진한건 [[문재인 정부]] 였다. [[https://www.yna.co.kr/view/AKR20170710184100003|#]] 자세한 내용은 [[문재인 정부 태양광 사업]] 참조. * [[제주 4.3 사건]]을 언급하면서 [[사건]]과 [[사고]]는 다른 것이라며 공산주의자와 그들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일어난 일이니 피해자 중심으로만 봐서는 안된다고 그동안 원인에 대한 역사를 소홀히 다루었음을 주장하였다.[* 이는 공산주의자와는 전혀 무관한, 단지 본래는 그저 [[제주경찰 시민발포|제주 경찰의 시민 발포]]에 대해 항의에서 시작된 일이 그당시 [[남로당|진짜 공산주의자]]들까지 가세하면서 유혈사태로 번진 걷잡을 수 없이 커져버린 대형 참사였다. 거기에 [[남로당]]에 가담하지 않은 사람이라도 폭도로 간주해 죽이는 등, 무고한 민간인 희생자들도 있었던 역사적 사실이 있다. 이런 전말을 외면한 채 단순히 한 세력의 시각에서만 비추는 것에 대해 비판이 제기되기도 한다.] == 평가 ==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 ## 메타크리틱=, 메타크리틱_critic=, 메타크리틱_user=, ## 메타크리틱_highlight=display, ## 로튼토마토=, 로튼토마토_tomato=, 로튼토마토_popcorn=, ## 로튼토마토_highlight=display, ## IMDb=, IMDb_user=, ## IMDb_highlight=display, ## IMDb_list=, IMDb_rank=, ## IMDb_date=, ## 레터박스=, 레터박스_user=, ## 레터박스_highlight=display, ## 레터박스_list=, 레터박스_rank=, ## 레터박스_date=, ## 알로시네=, 알로시네_presse=, 알로시네_spectateurs=, ## 알로시네_highlight=display, ## MYmoviesit=, MYmoviesit_MYMOVIES=, MYmoviesit_CRITICA=, MYmoviesit_PUBBLICO=, ## MYmoviesit_highlight=display, ## 키노포이스크=, 키노포이스크_user=, ## 키노포이스크_highlight=display, ## 야후재팬영화=, 야후재팬영화_user=, ## 야후재팬영화_highlight=display, ## Filmarks=, Filmarks_user=, ## Filmarks_highlight=display, ## 도우반=, 도우반_user=, ## 도우반_highlight=display, ## 야후키모=, 야후키모_user=, ## 야후키모_highlight=display, 왓챠=mObVbM7, 왓챠_user=3.3, 왓챠_highlight=display, 키노라이츠=130674, 키노라이츠_light=, 키노라이츠_star=, ## 키노라이츠_highlight=display, 네이버영화=건국전쟁, 네이버영화_audience=9.65, ## 네이버영화_highlight=display, ## 네이버영화코드=, 네이버영화_audience=, ## 네이버영화코드_highlight=display, CGV=87982, CGV_egg=94, CGV_highlight=display, 롯데시네마=20787, 롯데시네마_user=9.8, ## 롯데시네마_highlight=display, 메가박스=24003500, 메가박스_user=9.7, 메가박스_highlight=display, ## MRQE=, MRQE_user=, ## MRQE_highlight=display, ## 시네마스코어=, ## 시네마스코어_highlight=display, ## TMDB=, TMDB_user=, ## TMDB_highlight=display, ## 무비파일럿=, 무비파일럿_user=, ## 무비파일럿_highlight=display, ## RogerEbertcom=, RogerEbertcom_user=, ## RogerEbertcom_highlight=display, ## MyDramaList=, MyDramaList_user=, ## MyDramaList_highlight=display, ## 라프텔=, 라프텔_user=, ## 라프텔_highlight=display, ## MyAnimeList=, MyAnimeList_분야=, MyAnimeList_user=, ## MyAnimeList_highlight=display, ## GooglePlay무비=, GooglePlay무비_user=, ## GooglePlay무비_highlight=display, ## 네이버시리즈온=, 네이버시리즈온_user=, 네이버시리즈온_heart=, ## 네이버시리즈온_highlight=display, ## JustWatch=, JustWatch_user=, ## JustWatch_highlight=display, ## 맥스무비, 맥스무비_user=, ## 맥스무비_highlight=display, ## 씨네21=, 씨네21_expert=, 씨네21_user=, ## 씨네21_highlight=display, ## 갤럭시시네마=, 갤럭시시네마_user=, ## 갤럭시시네마_highlight=display, ## 엠파이어=, 엠파이어_user=, ## 엠파이어_highlight=display, ## 인디와이어=, 인디와이어_user=, ## 인디와이어_highlight=display, )] == 흥행 == === 대한민국 === ||<:>
<#000>{{{#fff '''누적관객수 129,575명, 누적매출액 1,272,346,907원'''}}}[* ~ 2024/02/09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 ||<:><#fff,#2d2f34>{{{#!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주차별 상세 내역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10px" ||
'''주차''' || '''날짜''' || '''일일 관람 인원''' || '''주간 합계 인원''' || '''순위''' || '''일일 매출액''' || '''주간 합계 매출액''' || || 개봉 전 || || -명 || 1,751명 || 미집계 || -원 || 17,582,000원 || ||<|7> 1주차 ||2024-02-01. 1일차(목) || 5,411명 ||<|7> 70,941명 || 5위 || 52,402,839원 ||<|7> 693,261,573원 || ||2024-02-02. 2일차(금) || 5,434명 || 5위 || 54,971,764원 || ||2024-02-03. 3일차(토) || 10,691명 || 4위 || 109,054,503원 || ||2024-02-04. 4일차(일) || 12,369명 || 4위 || 128,492,128원 || ||2024-02-05. 5일차(월) || 11,687명 || 3위 || 111,100,451원 || ||2024-02-06. 6일차(화) || 16,093명 || 3위 || 151,345,633원 || ||2024-02-07. 7일차(수) || 12,921명 || 7위 || 120,752,094원 || ||<|7> 2주차 ||2024-02-08. 8일차(수) || 17,157명 ||<|7> -명 || 5위 || 162,331,319원 ||<|7> -원 || ||2024-02-09. 9일차(목) || 36,066명 || 4위 || 364,351,176원 || ||2024-02-10. 10일차(금) || -명 || -위 || -원 || ||2024-02-11. 11일차(토) || -명 || -위 || -원 || ||2024-02-12. 12일차(일) || -명 || -위 || -원 || ||2024-02-13. 13일차(월) || -명 || -위 || -원 || ||2024-02-14. 14일차(화) || -명 || -위 || -원 || ||<|7> 3주차 ||2024-02-15. 15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24-02-16. 16일차(목) || -명 || -위 || -원 || ||2024-02-17. 17일차(금) || -명 || -위 || -원 || ||2024-02-18. 18일차(토) || -명 || -위 || -원 || ||2024-02-19. 19일차(일) || -명 || -위 || -원 || ||2024-02-20. 20일차(월) || -명 || -위 || -원 || ||2024-02-21. 21일차(화) || -명 || -위 || -원 || ||<|7> 4주차 ||2024-02-22. 22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24-02-23. 23일차(목) || -명 || -위 || -원 || ||2024-02-24. 24일차(금) || -명 || -위 || -원 || ||2024-02-25. 25일차(토) || -명 || -위 || -원 || ||2024-02-26. 26일차(일) || -명 || -위 || -원 || ||2024-02-27. 27일차(월) || -명 || -위 || -원 || ||2024-02-28. 28일차(화) || -명 || -위 || -원 || }}}}}}}}}|| [[분류:2024년 영화]][[분류:한국의 다큐멘터리 영화]][[분류:이승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