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거스 할}}}[br]Gus Hall |거스 홀''' || ||<-2>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9904421ca14489155899ad07992fa51020bcafed.jpg|width=100%]]}}} || || '''원명''' ||아르보 쿠스타 할버그[br]Arvo Kustaa Halberg[* 이후에 개명.]|| ||<|2> '''출생''' ||1910년 10월 8일 || ||미국 미네소타 주 체리 타운십|| ||<|2> '''사망''' ||2000년 10월 13일 (향년 90세) || ||미국 뉴욕 주 뉴욕 시||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학력''' ||국제 레닌 학교 {{{-2 (졸업)}}}|| || '''종교''' ||무종교[* 본인은 무종교지만 다른 사람들의 신앙을 존중한다고 말하였다.]|| || '''정당''' ||[include(틀:미국 공산당)]|| || '''병역''' ||[[미합중국 해군]][* 기간은 1942년-1946년]|| || '''서명''' ||<-2>{{{#!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파일:GusHallsignature.png|width=150]]}}}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공산주의자이자 공산당 14대 [[서기장]].[* 재임기간은 1959년-2000년으로 최장기 재임자이다.] [[이름]] 표기에 대해서는 거스 홀, 거스 할 두 표기가 쓰인다. [[소련]]이 [[글라스노스트 · 페레스트로이카]] 정책을 펼치자 반수정주의 노선을 고집한 인물로 유명하다. == 생애 == [[미네소타]] 주 북부에 있는 체리 타운십[* Township.]에서 핀란드계 [[이민|이민자]]의 [[아들]]로 태어났다. 급진적인 성향을 띠던 [[부모]] 아래서 자라[* 부모 모두 [[세계산업노동자연맹]]의 일원이었고 공산당원이었다. 아이러니하게 라푸아 지역 출신인데, [[라푸아 운동]]같은 파시즘 운동까지 벌어졌을 수준으로, 굉장히 극우적이고 보수적인 성향을 띤다.] 자연스레 [[공산주의]], [[공산당]]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아홉 형제자매들과는 부모의 [[모어]]인 [[핀란드어]]로 대화했지만, 핀란드어로 정치적인 표현을 하지 못해서 핀란드의 공산주의자들과 만났을 때는 [[영어]]를 사용했다. [[아버지]]가 [[파업]]에 참여했다는 이유로 [[광산]]에서 해고당한 후 [[가족]] 모두가 통나무집에서 굶어죽기 직전의 상태로 살아야만 했다. 열다섯 살에 가족을 부양하기 위해 [[학교]]를 그만두고 [[목수]] 일을 하기 시작했다. 2년 후에 아버지의 설득으로 공산당원이 되었다. 청년조직에서 활동하게 되었고, 이때의 [[경험]]으로 [[모스크바]]에 있는 국제레닌대학에 합격, 2년간 수학한다. 이후 미네소타로 이사해 공산주의자로서의 활동을 시작한다. 단식, 농부들을 위한 [[시위]], 그리고 '''[[대공황]] 도중의 파업''' 등의 활동을 이유로 [[1934년]]에 수감된다. 수형 후 [[본명]]으로 구직을 비롯한 모든 활동을 할 수가 없자, '''거스 할'''로 개명하였고, [[1935년]]에 받아들여졌다. 이후 [[오하이오]]로 이사해 철강 산업 쪽에서 일하게 된다. 이때 철강산업 파업을 주도한다. 오하이오에서 일하다가 엘리자베스 메리 터너와 [[결혼]]하여 두 남매를 가진다. 바바라[* 1938년생], 아르보[* 1947년생]이다. 이후 [[제2차 세계 대전]]이 터지자 [[해병]]으로 자원입대하는데, 해병 근무 시절에 공산당의 국내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고, [[1946년]] [[3월 6일]]에 명예전역한다. 이후 공산당 활동을 하다가 체포된다. [[파일:Gus_Hall.jpg]] 할의 머그샷. [[1972년]]부터 [[1984년]]까지, 공산당의 대선 후보로 출마하였다. 5년간 수감[* 1954년 스미스법 재판으로 수감-1959년 보석금으로 석방.] 후 풀려나고 공산당의 서기장직에 오른다. 이후 [[2000년]] [[10월 13일]] [[뉴욕시]]에서 [[당뇨병]]으로 병사했다. == 비판 == 할은 좌우를 막론하고 비판을 받았다. [[1941년]] 트로츠키주의 성향을 가진 사회주의노동자당[* Socialist Workers Party(SWP)]의 당원들이 체포당했을 때 [[정부]]의 대처를 옹호했다가 이후 자신이 스미스법으로 인한 트로츠키주의자들의 수감에 반대하지 않은 건 자신의 실수라고 인정하였고[* 이후 미국의 트로츠키주의자들은 할에 대해 부정적인 관점을 가지게 된다.], 이후 할이 죽었을 때 트로츠키주의 성향의 웹사이트에서는 노동자 계급을 배신했다고 비판하였다. 할이 따르던 소련에서도 미국 공산당을 제대로 이끌지 못한다고 [[비판]]을 받았다.[* 국가 차원에서의 비판은 아니고, 몇몇 정치인들이 비판한 것이다.] 해당 비판자들은 미국의 젊은 [[세대]] 공산주의자들에게 [[FBI]]로부터 감시를 받고 있으니 [[미국 공산당]]으로부터 거리를 두라고 조언하였다. 이런 상황에서는 공산당이 성공하지 못할 것이라는 판단이었다. [[1990년대]] 초반에 [[글라스노스트 · 페레스트로이카]] 정책을 접한 당원들이 당 내의 [[민주화]]와 [[개방]]을 요구하였으나 이를 묵살하고 반수정주의를 고집하여, 당시 [[미하일 고르바초프]] 정권 하였던 소련에서 지원을 끊어버렸다. [[폴 포트]]를 옹호하여, 비공산주의 계열의 좌파들에게 비판받았다. 폴 포트의 킬링필드 사태를 옹호하는 것과 부시의 [[테러와의 전쟁]]에 대한 옹호가 무엇이 다르냐는 주장이었다. == 여담 == * [[존 에드거 후버]]의 [[반공]] 삐라에서 후버가 주장한 바에 따르면, > "공산주의 [[사회]]를 이루기 위하여 무력을 통해 현재 정부를 전복할 의사가 있습니까?" > "때가 오면요, 네" 라는 대화가 오간 적이 있다고 한다. * [[미국 정부]]의 조치에 의해 [[신용카드]]가 정지당한 적이 있다. * [[김일성]], [[레오니트 브레즈네프]]와 친했다. 두 [[사람]]이 할에게 [[선물]]을 주었을 정도. [[http://www.koreadaily.com/news/read.asp?art_id=119881|출처, 미국 공산당 당수 거스 홀 사망, 2000년 10월 18일자 중앙일보.]] * 개명 전 이름으로 보아 핀란드-스웨덴계 혼혈이다. Gustav/Kustaa는 스웨덴 이름이고, Arvo는 핀란드 이름이며, Halberg는 Hallberg의 다른 표기로, [[스웨덴]]의 [[성씨]]이다. [[찰스 린드버그]]와 비슷한 사례. 성씨의 [[접미사]]인 -berg 때문에 유대계로 오해받기도 한다. [[분류:1910년 출생]][[분류:2000년 사망]][[분류:세인트루이스 카운티(미네소타) 출신 인물]][[분류:핀란드계 미국인]][[분류:스웨덴계 미국인]][[분류:미국의 무종교인]][[분류:미국 공산당 소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