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FFFFFF {{{+3 '''거문고자리 델타 성단'''}}}[br]Delta Lyrae cluster}}} || ||<-3> [[파일:거문고자리 델타 성단.png|width=100%]] || ||<-3> {{{#FFFFFF '''관측 정보'''}}} || ||<|3> {{{#FFFFFF '''위치'''}}} || {{{#FFFFFF 적경}}} || 08h 53m 30s || || {{{#FFFFFF 적위}}} || +36° 55′ 0″ || || {{{#FFFFFF 별자리}}} || [[거문고자리| {{{#3366aa 거문고자리}}}]] || ||<-2> [[겉보기 등급|{{{#FFFFFF '''겉보기 등급'''}}}]] || 3.8 || ||<-3> {{{#FFFFFF '''물리적 성질'''}}} || ||<-2><:> {{{#FFFFFF '''형태'''}}} || [[산개성단|{{{#3366aa 산개성단}}}]] || ||<-2> {{{#FFFFFF '''거리'''}}} || 1,220 [[광년|{{{#3366aa 광년}}}]][br] 373 [[파섹|{{{#3366aa 파섹}}}]] || ||<-3> {{{#FFFFFF '''규모'''}}} || ||<-2> {{{#FFFFFF '''겉보기 크기'''}}} || 20' || ||<-3> {{{#FFFFFF '''명칭'''}}} || ||<-3> 거문고자리 델타 성단, 스티븐슨 1[* [[스티븐슨 2-18|그 스티븐슨]] 맞다.] || [목차] == 개요 == {{{+1 거문고자리 델타 성단/Delta Lyrae cluster}}} 거문고자리 델타 성단은 [[거문고자리]] 방향으로 약 1,220 광년 떨어진 [[산개성단]]이다. == 상세 == 1959년 찰스 B.스티븐슨이 처음 제안했으며 이후 1963년에 독일의 천문학자인 Werner Bronkalla가 공식적으로 존재한다고 결론내렸다. 대략 4,900만년전에 같은 [[전리수소영역]]에서 생성되었으며 제일 밝은 별은 [[적색거성]]인 거문고자리 δ^^2^^이다.[* 거문고자리 델타^^2^^ 는 실제로는 900 광년 정도 떨어져 있는 [[적색거성]]으로 별개의 항성이다. 실제 구성원임이 확인된 항성들은 거문고자리 δ^^1^^외 32개라고 한다.] 약 4,900만년동안 이동하면서 [[산개성단]]을 탈출한 항성들이 38 광년에 걸쳐 발견되고 있으며 이를 참고했을 때 성단의 원래 질량은 589 태양질량으로 추정된다. 변광성은 페르세우스자리 베타 변광성 BD +36° 3317로 1개가 발견되었다. == 찾는 방법 == 맨눈으로 충분히 확인할 수 있는 거문고자리 델타^^1^^과 델타 ^^2^^ 사이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찾기는 매우 쉬운 편이며 고배율 쌍안경 또는 4인치 이상의 망원경에 저배율의 접안렌즈를 가지고 관측할 때 성단의 전체를 볼 수 있다. == 관련 문서 == * [[거문고자리]] * [[스티븐슨 2-18]] * [[산개성단]] [[분류:성단]][[분류:나무위키 천문학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