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시흥시의 법정동)] ||<-2> '''[[파일:시흥시 CI.svg|height=15]] [[시흥시|{{{#000000,#dddddd 시흥시}}}]]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거모동}}}'''[br]去毛洞 | Geomo-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시흥시 거모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기초자치단체''' || 시흥시 || || '''행정표준코드''' || 4139012700 || || '''관할 행정동''' || 군자동 || || '''면적''' || 5.60㎢ || [목차][clearfix] == 개요 == 관할 법정동은 거모동·군자동(일부)이다. 군자면에 속했으며 면소재지이기도 했다. [[영동고속도로]] [[군자TG]]가 있다. 정왕지구와 마찬가지로 [[시흥시|시흥]]에 있지만 생활권은 [[안산시|안산]] 쪽이다. 거모동 시가지(통칭 '도일'이라 불린다.)의 남쪽 지역은 길 하나를 사이에 두고 [[안산시]]와 경계선이 갈린다. 이 때문에 [[1990년대]] 초반 거모리 주민들이 [[안산시]] 편입 운동을 벌이기도 했다. 현재도 거모동 남쪽에 바로 안산 [[신길동(안산)|신길지구]]가 위치하고 있다. == 주요시설 == 주민센터 인근에 도일시장이 있으며 군자파출소와 군자우체국이 서로 맞은편에 위치해 있다.그리고 군자파출소방면으로 쭉 올라가다 보면 [[군자도서관]]이 있다. 산들공원 근처에 거모종합사회복지관이 위치해 있다. [[영동고속도로]] [[군자TG]]와 [[군자JC]]가 있다. === 교육 === ==== 초등학교 ==== * 군자초등학교 * 도일초등학교 ==== 중학교 ==== * 군자중학교 ==== 고등학교 ==== * [[군자디지털과학고등학교]](구 군자공업고등학교) === 주거 === ||<-2> '''시공사''' ||<-4> '''단지명''' ||<-2> '''입주''' ||<-2> '''세대수''' || ||<-2> - ||<-4> 일우아파트 ||<-2> 1988년 1월 ||<-2> 410세대 || ||<|2><-2> 아주건설 ||<-4> 아주 1차 ||<-2> 1989년 10월 ||<-2> 72세대 || ||<-4> 아주 2차 ||<-2> 1991년 2월 ||<-2> 82세대 || ||<-2> [[동원개발|[[파일:동원개발 CI.svg|height=20]]]] ||<-4> 거모 동원 ||<-2> 1991년 11월 ||<-2> 416세대 || ||<-2> 아주건설 ||<-4> 아주 3차 ||<-2> 1992년 6월 ||<-2> 180세대 || ||<-2> 합성공업공사 ||<-4> 녹원아파트 ||<-2> 1992년 10월 ||<-2> 220세대 || ||<|2><-2> 아주건설 ||<-4> 아주 4차 ||<-2> 1993년 7월 ||<-2> 299세대 || ||<-4> 아주 5차 ||<-2> 1994년 10월 ||<-2> 136세대 || ||<-2> 보우공영 ||<-4> 보우아파트 ||<-2> 1995년 6월 ||<-2> 131세대 || ||<-2> [[파일:982377.jpg||width=100]] ||<-4> 거모 유호 ||<-2> 1998년 3월 ||<-2> 457세대 || ||<-2> 동보건설 ||<-4> 거모동 동보 ||<-2> 1999년 11월 ||<-2> 1,392세대 || ||<-2> [[서희건설|[[파일:서희건설 로고.svg|height=20]]]] ||<-4> 군자 [[서희스타힐스]] ||<-2> 2023년 8월 ||<-2> 916세대 || == 교통 == === 버스 === ||<-6>
<:>'''{{{+1 {{{#fff 거모동 경유 버스 노선}}}}}}'''|| ||<-6><#0f82bb><:>{{{-3 {{{#fff 오름차순, 노선 번호를 클릭하면 자세한 노선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 ||<-2>{{{#!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8afa3; font-size: 15" [[http://www.gbis.go.kr/gbis2014/schBus.action?cmd=mainSearchText&gubun=busInfo&searchText=16&routeId=213000006|{{{#fff 1}}}]]}}} ||<-2>{{{#!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8afa3; font-size: 15" [[http://www.gbis.go.kr/gbis2014/schBus.action?cmd=mainSearchText&gubun=busInfo&searchText=5&routeId=216000041|{{{#fff 5}}}]]}}} ||<-2>{{{#!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8afa3; font-size: 15" [[http://www.gbis.go.kr/gbis2014/schBus.action?cmd=mainSearchText&gubun=busInfo&searchText=20&routeId=216000067|{{{#fff 20}}}]]}}}|| ||<-2>{{{#!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8afa3; font-size: 15" [[http://www.gbis.go.kr/gbis2014/schBus.action?cmd=mainSearchText&gubun=busInfo&searchText=30&routeId=224000012|{{{#fff 30}}}]]}}} ||<-2>{{{#!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8afa3; font-size: 15" [[http://www.gbis.go.kr/gbis2014/schBus.action?cmd=mainSearchText&gubun=busInfo&searchText=34&routeId=216000076|{{{#fff 34}}}]]}}} ||<-2>{{{#!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8afa3; font-size: 15" [[http://www.gbis.go.kr/gbis2014/schBus.action?cmd=mainSearchText&gubun=busInfo&searchText=61&routeId=217000006|{{{#fff 61}}}]]}}}|| ||<-2>{{{#!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8afa3; font-size: 15" [[http://www.gbis.go.kr/gbis2014/schBus.action?cmd=mainSearchText&gubun=busInfo&searchText=76&routeId=224000016|{{{#fff 76}}}]]}}} ||<-2>{{{#!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8afa3; font-size: 15" [[http://www.gbis.go.kr/gbis2014/schBus.action?cmd=mainSearchText&gubun=busInfo&searchText=5602&routeId=216000047|{{{#fff 5602}}}]]}}} ||<-2> || ||<-6><#ed6c00> '''{{{#fff 주요 행선지별 노선 분류}}}''' || ||<-2><:> [[파일:Seoulmetro4_icon.svg|height=12]] [[파일:SBLine_icon.svg|height=12]] [[안산역|{{{#FFFFFF 안산}}}]] ||<-4>{{{#!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8afa3; font-size: .8em" [[안산 버스 20|{{{#fff 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8afa3; font-size: .8em" [[안산 버스 30|{{{#fff 3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8afa3; font-size: .8em" [[안산 버스 34|{{{#fff 34}}}]]}}}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8afa3; font-size: .8em" [[안산 버스 61|{{{#fff 6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8afa3; font-size: .8em" [[안산 버스 76|{{{#fff 76}}}]]}}} || ||<-2><:> [[파일:Seoulmetro2_icon.svg|height=12]] [[구로디지털단지역|{{{#FFFFFF 구로디지털단지}}}]] ||<-4>{{{#!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8afa3; font-size: .8em" [[시흥 버스 5602|{{{#fff 5602}}}]]}}} || ||<-2><:> [[파일:Seoulmetro1_icon.svg|height=12]] [[부천역|{{{#FFFFFF 부천}}}]] ||<-4>{{{#!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8afa3; font-size: .8em" [[안산 버스 61|{{{#fff 61}}}]]}}} || ||<-2><:> [[파일:SBLine_icon.svg|height=12]] [[월곶역|{{{#FFFFFF 월곶}}}]] ||<-4>{{{#!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8afa3; font-size: .8em" [[광명 버스 1|{{{#fff 1}}}]]}}} || * [[광명 버스 1|1]]: 거모동에서 출발하는 유일한 광명 버스 노선으로, 시화이마트 및 [[오이도역]], [[월곶동|월곶]]으로 가는 노선이다. * [[안산 버스 5|5]]: 공단을 기점으로하여, 거모동을 관통, 동보아파트를 경유하여 [[신길온천역]]으로 향하는 버스이다. 신길온천역으로 바로 가고 싶을 때 이용하지만, 타는 사람도 드물고 차도 드물다. 지도 앱으로 검색 시, 꽤 높은 확률로 '정보없음'이 뜨는 노선이다. * [[안산 버스 20|20]]: 원래는 [[안산 버스 1|1번]]을 달고 운행하던 버스의 후손이다. 군자파출소 방향으로 올라오지 않고 녹원아파트를 거쳐 5602번과 비슷한 경로로 능곡동을 거쳐 시흥시청후문까지 운행한다. * [[안산 버스 30|30]]: 버스의 노선 상 [[시흥고등학교]], [[장곡고등학교]] 등, 지역 학생들이 많이 가는 고등학교를 지나가는 터라, 학생수요가 많다. 또한, 안산시 중심가인 중앙역과 안산버스터미널 인근을 지나간다는 특징 덕분에 놀러 나가는 학생, 가족들이 많이 애용하는 노선이다. * [[안산 버스 34|34]]: 이 동네에서 유일한 선부동행 차이다. 그러나 5번같이, 배차간격이 시망인 관계로, 높은 확률로 정보 없음이 뜬다. 이게 바로 오지 않는 한, 안산역에 나가서 차를 갈아타는 것이 낫다. * [[안산 버스 61|61]]: 장곡동 방면으로 승차하면, [[장곡고등학교]], [[시흥고등학교]] 등을 거쳐 삼미시장, 부천 남부역(소풍) 방향으로, 신길동 방면으로 승차하면, [[안산역]]과 반월공단으로 향한다. 고로, 역에 가고자 하는 학생, 직장인들과, 공단으로 가려는 직장인, 그리고 학교로 가고자 하는 학생이 몰리는 버스이다. 아침이나, 퇴근 시간에 타면 말그대로 [[가축수송(교통)|콩나물 시루에 탄 콩나물]]이 되어볼 수 있다. 이 동네에서 수요가 가장 많은 노선이고, 배차간격도 짧...았으나 코로나 이후 5602번에 뒤쳐지는 현실이다. ~~짧아도 언제나 만원이다...~~ 철도가 없는 거모동에서 주변 허브역인 안산역에 보내 줌과 동시에, 공단을 찍는 노선이다. * [[안산 버스 76|76]]: 별로 안 다니는 차이다. 본오동과 동보 아파트를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한때, 신길동 지구가 한창 개발 중일 때, 신길역사문화공원, 신길고 등을 거모동과 잇는 '''유일한''' 노선이었다.[* 그 때 당시 대부분의 버스는 신길 휴먼시아 3단지 정류장 바로 앞 교차로에서 직진하였다.] * [[시흥 버스 5602|5602]]: [[시흥고등학교]]를 가기는 하지만, 녹원아파트 방면 정류장에서 타야한다. 동원아파트나, 도일시장을 경유하는 노선이 아니며, 종점인 서울 구로구에 있는 [[구로디지털단지역]]을 가면서 '''[[고속도로/대한민국|고속도로]]에 오른다.''' === 철도 === 그런 거 없다. 다만 버스를 타고 10분정도 나가면 [[안산역]]이 나오긴 한다. 만 출퇴근 시간대에는 넉넉히 20분 정도 잡고 나가는 것이 좋다. === 택시 === 군자도서관 주변에 택시 정류장이 있어 편리하게 [[택시]]를 이용할 수 있다. 다만, 거모동이 [[시흥시]]와 [[안산시]] 접경지이다 보니, [[바가지(경제 용어)|"시외로 나가고자 하는 승객은 승차거부를 할 수 있다."라는 내규를 악용하는 경우]]가 많다. 목적지를 말하면 "그 곳은 ~원이다."라면서 일방적으로 가격을 높게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며, 미터기 끊고 가자 그러면 내리라고 하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인 목적지와 가격은 안산역은 보통 6000원이며 이외 기존에 작성되어 있던 선부동 동명아파트(동명상가), 중앙역 일대의 요금은 인상 이후 알 수 없는 상황이다. 일반적인 미터기라면 앞에서부터 4000원, 6000원, 8000원 정도에서 가격이 형성되는 지역이다. == 관련 문서 == * [[대한민국/지명]] * [[동(행정구역)]] [[분류:시흥시의 법정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