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동음이의어]][[분류:한자성어]] [목차] == [[고사성어]] 見利忘義 == === 뜻 === ||<-4> '''[[고사성어|{{{#white 고사성어}}}]]''' || || {{{+5 '''[[去]]'''}}} || {{{+5 '''[[頭]]'''}}} || {{{+5 '''[[截]]'''}}} || {{{+5 '''[[尾]]'''}}} || || 갈 '''거''' || 머리 '''두''' || 끊을 '''절''' || 꼬리 '''미''' || 1. 머리와 꼬리를 잘라 버림. 2. 사실의 줄거리만 말하고 부차적인 것은 빼어 버림. 3. 앞뒤의 잔사설을 빼놓고 요점(要點)만을 말함. 4. 앞뒤를 생략(省略)하고 본론(本論)으로 들어감. === 유의어 === >[[단도직입]](單刀直入) >[[일침견혈]](一針見血) === 반의어 === >도비순설(徒費脣舌) > 입술과 혀만 수고롭게 함. 말은 많이 하나 보람이 없음. === 유래 === 진나라(진 시황제)재상 이사가 한비자의 법치주의 논리를 설명하려하자 진 시황제가 거두절미 하고 본론만 말하라는 말에서 유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