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갤럭시아이즈, top2=포톤(유희왕), top3=사이퍼(유희왕))] [include(틀:유희왕/OCG/테마)] ||<:><-6>
'''{{{#!html갤럭시 관련 틀}}}'''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갤럭시아이즈 관련 카드군)] [include(틀:유희왕 시리즈 라이벌들의 카드군)] [include(틀:텐조 카이토 덱 관련 문서)] [include(틀:미자엘 덱 관련 문서)] }}}}}} || ||<:><-6>
'''{{{#!html갤럭시}}}''' || ||<-6><:>{{{#!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c4f2798dec3a82df8a5c0b992ebef7b4dc65f1db76c3f6e0f00c010c3adb546b.jpg|width=100%]]}}}|| || '''{{{#!html한국어판 명칭}}}''' ||<-5> '''갤럭시''' || || '''{{{#!html일본어판 명칭}}}''' ||<-5> '''ギャラクシー''' || || '''{{{#!html영어판 명칭}}}''' ||<-5> '''Galaxy''' || ||<-2> '''{{{#!html속성}}}''' ||<-2> '''{{{#!html종족}}}''' ||<-2> '''{{{#!html관련 카테고리}}}''' || ||<-2>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빛|빛]] 위주 ||<-2> [[드래곤족]], [[전사족]],[br][[마법사족(유희왕)|마법사족]] 위주 ||<-2> {{{#!folding [ 접기 ] 일반[br]효과[br]엑시즈[br]링크}}} ||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카드군. 처음부터 이 카드군으로 작정하고 낸 카드들의 이름은 한자로 "[[은하]]"라고 쓰고 "갤럭시"라고 읽는 특징이 있는 듯하나,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의 "갤럭시"라는 루비가 한자 이름 "은하 눈의 광자룡"의 "은하"에 1:1 대응하는게 아닌지라 정말로 "은하(갤럭시)"라고 카드 이름을 지정하면 곤란한 상황. 결국 그냥 "갤럭시"라는 이름만을 지정하는 카드군이 되었고, 덕분에 얼떨결에 카드군에 편입되어버린 카드들이 생겨버렸다. 이후 [[프라이멀 오리진]]에서 이 카드군의 하위 카드군 [[갤럭시아이즈]]가 추가되었다. 다만 여기에 속하는 엑시즈 몬스터들은 No.가 아닌 것들도 No.들과 똑같은 소환 연출이 적용되었다는 걸 고려하면 이것도 어느 정도 의도된 것 같다. == 설명 == === 원작 === [[유희왕 ZEXAL]]에서는 '''[[텐조 카이토]]''', [[미자엘]], [[오쿠다이라 후야]], [[이비루다]]가 사용하는 테마로 등장했다. 원래 카이토가 쓰던 카드군은 [[포톤(유희왕)|포톤]]이었지만 카이토가 최초로 들고 나온 뒤로 [[Dr. 페이커]]의 부하들도 사용하는 양산형 테마가 되어버린지라[* 여담으로 이런 방식으로 각자가 같은 카드군의 다른 카드를 쓰는, 이른바 '테마'의 공유는 [[유희왕 GX]]의 [[사이버(유희왕)|사이버]]류를 생각나게 한다.] 카이토만의 카드군을 만들어줄 필요성을 느낀 것 같다. 사실 효과 자체가 대부분 [[갤럭시(유희왕)|갤럭시]]만 지정하는 게 아니라 포톤도 함께 지정하게끔 되어 있기 때문에 사실상 포톤의 하위 테마라고 할 수 있다. 다만 OCG에서의 현 운용은 갤럭시가 상위 테마나 다름없이 자리하고 있고, 애니메이션의 경우에도 '포톤' 보다는 회가 거듭될 수록 '갤럭시'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그리고 미자엘의 출현으로 인해 드디어 '''[[No.107 갤럭시아이즈 타키온 드래곤|포톤이 아닌 갤럭시아이즈 몬스터]]'''가 나타나게 되었으며 이로써 같은 갤럭시아이즈 사용자들 간에 라이벌 기믹이 탄생했다. 거기에 이어 코믹스와 [[유희왕 ARC-V]]에서 각각 포톤 카드군이 아닌 [[No.95 갤럭시아이즈 다크매터 드래곤]], [[갤럭시아이즈 사이퍼 드래곤]]이 등장했다. [[유희왕 ARC-V]]에서도 [[카이토(유희왕 ARC-V)|카이토]]가 사용하는 테마로 등장. 다만 여기에서는 [[사이퍼(유희왕)|사이퍼]] 쪽에 좀 더 초점이 맞춰져 있다. [[유희왕 OCG 스트럭처즈]]에서는 43화에서 다크 쿠로다 앞에 나타난 텐조 카이토[* 해당 세계관에서는 제알과 ARC-V가 방영된 것으로 보이므로 아마 코스플레이어인 듯하다.]가 사용. 듀얼 시에 왼쪽 눈에 AR 비전을 보여주는 [[포톤 모드]]가 그려지거나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을 쓰는 걸 보면 일단 ARC-V보다는 제알 쪽에 더 비중을 둔 느낌이다. === OCG === 에이스인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과 랭크 8 엑시즈 몬스터에 초점을 두고 플레이하는, [[사이버 드래곤(유희왕/카드군)|사이버 드래곤]]과 비슷한 느낌의 전형적인 전개형 [[화력덕후]] 덱. 첫패에 갤럭시 솔저+포톤 드래곤+갤럭시 익스페디션 또는 인스턴트 퓨전이 한 번에 잡힌다면 갤럭시 솔저로 포톤 드래곤을 버리고 특수 소환해 효과로 갤럭시 나이트를 서치하면 [[세이크리드 프레아데스]] 또는 [[샤크 포트리스]] 또는 [[사이버 드래곤 인피니티]]+[[No.62 갤럭시아이즈 프라임 포톤 드래곤]] 또는 [[No.38 희망괴룡 타이타닉 갤럭시]] 전개로 [[날빌]]이나 [[원턴킬]]이 성립하며 그 턴안에 게임을 끝낼 수 있다. 당연하지만 실전에서는 저 패가 잡힐 확률이 높지 않아서 그리 자주 볼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 갤럭시 유저들의 로망. 단점은 화력형 덱들이 그렇듯이 에이스들이 파괴/대상지정/바운스 내성이 약하다는 것과 상대 몬스터를 견제하기 어렵다는 것. 또한 상급 몬스터 다수 투입되는 만큼 패 사고율도 높은 편이다. 웬만한 카드는 [[듀얼리스트 팩]]-카이토 편을 지르면 거의 다 모을 수 있으나 주요 카드인 갤럭시 나이트나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 [[갤럭시 솔저]]나 엑스트라 덱의 [[No.38 희망괴룡 타이타닉 갤럭시]]나 [[갤럭시아이즈]] 엑스트라 덱 몬스터들이 비싸고 레어도가 높고 봉입률이 낮아 비교적 파츠를 구하기 힘든 유희왕 내에서 대표적인 '''[[푸른 눈|사치스러운]] [[피안(유희왕)|귀족 덱 중 하나]]'''. 현재는 컬렉터즈 팩 섬광의 결투자 편의 출시로 가격이 진정되었으나 여전히 엑스트라 덱 카드들이 하나같이 고레어도에 낮은 봉입률로 인해 여전히 사치스러운 덱으로 통하고 있다. 후속작에 출연한 [[카이토(유희왕 ARC-V)|엑시즈 차원 카이토]]가 사용한 [[사이퍼(유희왕)|사이퍼]] 카드군과는 정작 어울리지 않는다. 랭크 8 [[갤럭시아이즈]] 카드군을 사용한다는 점을 빼면 각각 랭크 4~5 엑시즈 소환에 특화되어 있고 무엇보다 사이퍼 자체가 지원이 빈약해서 잘 안 맞는다. 일단 8랭크 엑시즈 몬스터들의 강력한 전투력은 인정받지만, 전용 덱을 운용하는 데에 있어서 실용적인 메인 카드의 수가 너무나 적다. 갤럭시 유저들은 부족한 자리를 메꾸기 위해서 덱 구성에 수많은 연구를 해 왔고 다양한 바리에이션이 등장했지만, 결국은 순수한 테마 자체를 운용하는 것에 한계가 있었다. 링크 소환 도입으로 인해 거신룡갤럭시 시절 빠른 날빌이 불가능해진 것도 불리한 요소. 이전까지 갤럭시와 병행해오던 테마들이 말 그대로 용병의 자리에서 머물렀던 이유가 크다. 테마 전개가 성공했을 때의 포텐셜을 열어주는 정도가 고작으로, 제재 이후 쓰이지 않게 된 [[BF-농그림자의 고우후우]]를 제외하고는 갤럭시 본연의 전개력에 박차를 가해주지는 못했다. 물론 지원도 계속해서 받아왔지만 이미 고성능의 카드들이 차고 넘치는 현 시점에서 쓰는 이유는 로망 말고는 거의 없는 마이너한 덱. 이후 [[포톤 하이퍼노바]]에서 커버 카드군으로 발탁되었는데, 카드들의 성능이 나쁘지는 않아서 전보다 훨씬 나아졌지만 고점만 높아졌을 뿐 갤럭시의 단점은 개선되지 않았고, 2022년 10월 금제에서 전개의 한 축을 차지했던 [[유니온 캐리어]]가 금지되면서 상황이 더욱 악화되었다. 그래도 다행히 프리미엄 팩에서 유니온 캐리어의 빈 자리를 대신해줄 고성능 서치 요원 [[포톤 점퍼]]가 수록되어 갤럭시의 단점이 개선됨은 물론이고 그동안 꿈도 못 꿨던 원 핸드 전개가 가능하게 되었다. ==== 장점 ==== * '''우수한 전투력''' 에이스 몬스터인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의 타점부터 3000으로 상당히 높으며, 랭크 8 이상의 엑시즈 몬스터들은 독보적인 전투력을 자랑한다. 특히 [[No.62 갤럭시아이즈 프라임 포톤 드래곤]]은 효과 발동시 최소 공격력이 '''5600'''인데다 [[갤럭시아이즈 애프터글로우 드래곤]]의 효과까지 발동시키면 무려 '''11200'''이라는, 웬만해선 전투로 질 수 없는 충격적인 화력을 뿜어내는 것도 모자라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이 패/덱에서 아무런 디메리트 없이 튀어나온다. 이런 독보적인 전투력은 티어권과 큰 연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도 사용하는 유저가 꽤 있는 이유라고 할 수 있다. * '''강력한 엑시즈 몬스터의 효과''' 엑시즈 몬스터들은 기본 스펙만 출중한 것이 아니라 효과도 강력하다. [[No.90 갤럭시아이즈 포톤 로드]]와 [[No.38 희망괴룡 타이타닉 갤럭시]]는 몬스터, 마법의 효과를 막을 수 있는 유발 즉시 효과를 가지고 있고 용병으로 자주 쓰이는 [[사이버 드래곤 인피니티]]와 [[신룡기사 펠그란트]]도 상대를 방해하기 좋은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랭크 9 이상인 갤럭시아이즈 엑시즈 몬스터들은 대부분 다른 갤럭시아이즈 엑시즈 몬스터 위에 겹쳐 엑시즈 소환이 가능한데, 이를 활용해서 [[갤럭시아이즈 사이퍼 드래곤|상대 몬스터의 컨트롤을 탈취]]해서 [[갤럭시아이즈 사이퍼 엑스 드래곤|랭크 10의 엑시즈 몬스터]]로 바꿔버리거나 필드의 두 카드를 파괴하는 등[* [[갤럭시아이즈 FA 포톤 드래곤]]으로 필드의 앞면 표시 카드 한 장 파괴 - [[갤럭시아이즈 사이퍼 블레이드 드래곤]]을 FA 포톤 드래곤 위에 겹쳐 엑시즈 소환 - 사이퍼 블레이드 드래곤으로 필드의 카드 한 장 파괴] 큰 이득을 취할 수 있다. ==== 단점 ==== * '''패 말림''' 원래 패 말림은 모든 덱에 치명적이지만, 갤럭시 덱은 그 빈도가 심각하게 높다. 전개에 사용되는 메인 덱의 카드들이 대부분 고레벨 또는 조건부 특수소환으로 필드에 나오는 몬스터이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으로, 전개를 시작할 특정 패가 잡히지 않는다면[* 포톤 스래셔, 갤럭시 솔저, 포톤의 성역, 포톤 오비탈 등] 아예 아무것도 하지 못하고 턴을 넘겨주는 상황도 자주 나온다. * '''떨어지는 연계성''' 애니메이션 출신에서 비롯된 결점. 포톤만 지원하는 카드, 갤럭시만 지원하는 카드로 분산되어 있으며, 그 중 솔저와 브레이버 등 초동의 핵심이 되는 카드들이 있어 충돌을 유발한다. 때문에 초동 카드를 여러 장 잡았음에도 연계를 하지 못해 전개가 막히는 불상사가 종종 발생한다. 물론 오비탈과 버니셔 등 신규 카드들은 두 카드군을 모두 지원하지만 그 둘 역시 갤럭시 서포트를 받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히어로(유희왕)|히어로]]와 [[마술사(유희왕)|마술사]]가 여러 세부 카드군으로 분산되어 있음에도 [[히어로 비트]]/마술사 펜듈럼이라는 한 덱으로 운용이 가능한 것은 일부 카드들의 연계성이 매우 좋아서라는 것을 생각해 보면 갤럭시도 최소한 '''히어로 만큼의''' 연계 지원은 받아야 해결될 문제다.[* 참고로 히어로는 유희왕 OCG에서 '''가장 많은 서포트 카드를 가진 카드군'''이다. EM 마술사 역시 펜듈럼 관련 및 자체 카드군 연계 지원을 세기 어려울 정도로 받았다. 갤럭시도 인기 카드군이지만 저 둘과 비교하면 아직 한참 먼 셈.] * '''극심한 패 소모에 따른 빈약한 지속력''' 갤럭시 덱을 굴려봤다면 알겠지만 갤럭시 쪽의 필드가 비어버린 다음 재기하지 못해서 패배하든, 상대 쪽이 전개를 펼치는 데 실패해서 무식한 공격력으로 분쇄당하든 게임이 빠르게 끝나는 경우가 많다. 갤럭시 덱은 패 소모가 매우 심하면서도 묘지에서 발동하는 효과나 샐비지 효과도 몇 없어서 한 번 필드가 뚫리는 순간 재기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 갤럭시 덱이 벌어들이는 어드벤티지는 대부분 자신의 패로 들어오는 것이 아닌 상대의 카드를 제거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 점이 더욱 체감된다. * '''소환 제약으로 인해 제한되는 범용 용병 채용''' 초동 카드인 포톤의 성역이 빛 속성 한정 소환 제약을 걸고, 전개의 화룡점정 카드인 트랜서가 갤럭시 / 포톤 제약을 또 건다. 따라서, 메타에서 유행하는 특정 용병 몬스터 카드를 채용하기 위해선 일단 빛 속성인지, 또 갤럭시 / 포톤 제약을 감안하고 사용할 가치가 있는지를 까다롭게 가리고, 대부분의 경우 결국 쓰지 못한다. [[초마도용기사-붉은 눈의 드라군|붉은 눈의 드라군]] - [[용사(유희왕)|용사]] - [[데스티니 히어로 디스트로이 피닉스 가이|디피닉스]] - [[낙인(유희왕)|낙인]]으로 이어지는 11기의 대 용병 시대에서 체감되는 큰 결점이다. * '''직선적인 전개력''' 사실상 갤럭시 덱의 가장 큰 문제점. 전개 도중 상대의 방해를 받았을 때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 매우 떨어진다. 가령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을 버리고 [[갤럭시 솔저]]를 특수 소환 - 갤럭시 솔저의 효과로 덱에서 [[갤럭시 나이트]] 서치 - 갤럭시 나이트를 일반 소환 -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을 묘지에서 특수 소환'이라는 전개는 갤럭시 덱에서 자주 쓰이지만 갤럭시 솔저의 효과가 무효화 되는 순간 패에 다른 카드가 없다면 할 수 있는 것이 아예 없다. 이 때문에 후공 돌파가 까다로운 것은 물론 선공을 잡아도 상대의 [[패 트랩]] 한 방에 무너져버리는 경우가 잦다. ==== 운용 ==== * '''아티팩트 갤럭시''' 프라이멀 오리진에 같이 등장한 테마였던 '''[[아티팩트(유희왕)|아티팩트]]'''와 섞는 형태. [[세이크리드 프레아데스]]의 소환에 유리한 랭크 5 엑시즈 테마이며 긴급 상황에는 솔저의 코스트로 쓸 수도 있었고 무엇보다 갤럭시 덱의 부족한 견제력을 빵빵하게 채워주는 견제력을 가진 모랄타/데스사이즈는 다수의 갤럭시 유저들에게 선호되는 용병이었다. 이 AF 갤럭시는 비록 비공인 대회이지만 우승도 몇 번 챙겨가는 등 그 안정성이 증명되었다. 그러나, 아티팩트는 그 특성상 전개속도가 느려지게 될 수밖에 없는데 익스페디션이라는 강력한 리쿠르트 카드를 가진 갤럭시의 전개력에 손해를 보는 것이라는 부정적인 시각도 있었다. 2015년까지 가장 성공적이었던 케이스. * '''거신룡 갤럭시''' 스트럭처 덱 [[거신룡의 부활]]과 함께 나온 형태. 간편한 소생 카드이자 랭크 8 엑시즈 몬스터들의 부족한 내성을 채워주는 [[부활의 복음]]이 등장했고 묘지로 매장되면 다음 턴 레벨 8 드래곤을 살려주는 [[아크브레이브 드래곤]], 소생되면 상대 몬스터를 견제하는 [[거신룡 펠그란트]]의 발매로 아티팩트가 아니더라도 견제 수단을 얻었으며 거신룡의 부활뿐만 아니라 이외의 강력한 견제 몬스터들인 [[하얀 영룡]], [[아모르파지|아모르파지 이리튬]]까지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카드들을 갤럭시가 제대로 쓸 수 있게 된 가장 큰 이유는 역시 '''[[No.95 갤럭시아이즈 다크매터 드래곤]]'''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사실 다크매터 발매 때부터 갤럭시와 드래곤 덱을 섞어 보려는 연구는 있었다. 그 당시에는 아크브레이브 드래곤 같은 묘지에서도 강한 성능을 발휘하는 드래곤이 별로 없었기 때문에 별로 흥하지는 않았다. [[정룡]]은 다크매터 쓸 때 갤럭시보다 묘지 자원에 유리한 성각 / 백룡이랑 놀던 시절이기도 했고.] 가장 큰 장점은 폭발적인 전개력. 덱 구성을 속공에 특화시켜 극단적인 날빌과 원턴킬에 중점을 두기 때문에 인피니티+다크매터(-이리튬-아크브레이브 매장-이리튬 소생) 날빌이 매우 높은 확률로 성공할 수 있다. 대신, 그만큼 패 사고율이 올라가고 견제능력도 아티팩트형보다는 떨어졌다. * '''얼티마야 촐킨 갤럭시''' 신 마스터 룰 바로 이전에 잠깐 등장했던 갤럭시. [[BF-농그림자의 고우후우]]를 투입해 [[얼티마야 촐킨]]을 띄우는 구성으로, [[No.38 희망괴룡 타이타닉 갤럭시]]와 [[크리스탈윙 싱크로 드래곤]]이 한 필드에 있는 모습을 보는 것이 어렵지 않았다. 빛 속성 테마인 갤럭시에 어둠 속성인 고우후우가 용병으로 들어가는 것으로 광암적인 구축도 가능했는데, 그 중에선 [[카오스 엠페러 드래곤 -종언-]]이 가장 많이 쓰였다. 이유는 [[드래곤 자각의 선율]]인데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이 서치 범위에 포함되는 강한 범용 서치 카드임에도 불구하고 백룡 세트와는 달리 메인 덱에 투입되는 비율이 애매했던 탓에 기존의 갤럭시가 활용할 수 없었는데, 마찬가지로 서치 범위에 드는 종언을 병행함으로써 적재적소에 활용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 신 마스터 룰 이후 [[BF-농그림자의 고우후우]]의 제한으로 조용히 사라졌다. * '''[[잭나이츠]] 갤럭시''' [[극한의 힘]]에서 데뷔한 신규 테마 [[잭나이츠]]를 투입하는 구성. 모든 몬스터를 활용하는 것은 힘들지만, 주목할 것은 서치를 담당하는 '창궁의 잭나이츠'나 '자소의 잭나이츠'로 충분하다. 레벨마저도 각각 갤럭시의 주 엑시즈 축과 중첩하는 5와 8이다. 창궁의 서치 범위는 넓어 마찬가지로 레벨 8인 '감벽의 잭나이츠'도 함께 투입되었다. 잭나 입장에서는 타점이 낮고 한 방이 없는 잭나이츠의 단점을 서치능력이 좋고 높은 기본타점과 강력한 효과를 지닌 갤럭시의 랭크 5, 8 엑시즈 소환으로 커버할 수 있어서 서로 잘 어울리는 편. 그외에는 링크 마커의 확보 및 패보충 겸 전개 겸 타점증가를 위한 빠른 [[쇄룡사-스컬데드]]의 소환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한 [[토치 골렘]]을 투입하는 것을 추천한다. 18년 4월 금제로 토치가 제한이 되고 [[BF-농그림자의 고우후우]]가 금지되면서 마커 마련하기가 빡세졌다. * '''포톤 갤럭시''' 레전드 [[듀얼리스트 팩]] 3에서부터 나온 형태. 카이토 지원이 갤럭시가 아닌 포톤 위주로 출시되어 갤럭시 유저들의 기대치에 부응하지 못했으나, 좋은 전개요원인 포톤 배니셔와 장착 시 전투 내성을 부여 및 장착 상태를 해제하면 갤럭시를 서치하는 포톤 오비탈은 예외적으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이후 공개된 추가 카드들도 포톤과 혼합하는 형태로 지원되었다. 문제는 덱 특수 소환 및 서치 연계가 너무 많이 늘어서 전개 난이도가 굉장히 높은 덱이 되었다. [[http://gall.dcinside.com/boardgame/1602573|마스터 룰 3 DD에서나 보던 전개표]]가 나왔을 정도.[* 작성자의 루트설명에 실수가 좀 있다. 댓글 및 다른 전개루트를 검색해볼 것.] === [[유희왕 듀얼링크스]] === 기존까지는 사실상 갤럭시 덱이라는 게 없었고 기껏해야 [[네오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이나 이터널 갤럭시 등 이름만 갤럭시인 카드들을 포톤 덱에 용병으로 넣고 굴리는 정도였는데, 2022년 5월 신규 미니 팩에 새로운 지원 카드들이 대거 등장하고 신 스킬을 지원 받음에 따라 티어까지 넘볼 수 있을 정도로 성능이 크게 올라갔다. 다만 기존의 포톤 덱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는데, 기존의 포톤 카드는 일부를 제외하면 빼 버리고 새 스킬인 엑시즈 갤럭시와 새로 나온 엑시즈 갤럭시 몬스터들을 주축으로 삼아서 굴리는 덱이다. 하지만 성능이 크게 상승해버린 탓인지 코나미에서 결국 제재를 가했는데 엑스트라 덱에 포톤 로드를 추가하던 엑시즈 갤럭시 스킬을 네오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을 추가하는 스킬로 바뀜에 따라 사장되었다. === [[유희왕 마스터 듀얼]] === 강력한 공격력, 쉬운 난이도, 애니메이션&라이벌 캐릭터 테마다보니 그런대로 수요가 있는 편. 그러나 대체로 후공에 특화되어 있으며 선공에선 최대 마,함 무효와 몬스터 무효 1회로 집을 지을 수 있지만, 상급 몬스터 위주인 갤럭시에겐 패말림 요소가 존재한다. 그래도 애프터글로우+프라임 포톤 콤보로 다른 덱보다 쉽게 압도적인 공격력을 만들어 웬만한 에이스 몬스터를 들이받아도 한방컷을 낼 수 있는 뽕맛만큼은 모두가 인정하는 분위기. 묘지를 어느정도 활용하다보니 덤핑 역할을 맡아주던 [[유니온 캐리어]]가 금지 카드로 지정된 이후론 예능덱 입지를 가지고 있었으나 [[포톤 하이퍼노바]]에서 수록된 갤럭시 지원 카드를 23년 9월 7일에 출시되었으며 이에 따라 원 핸드 전개가 가능해져 티어덱은 아니더라도 랭크 게임 등반은 충분히 가능한 수준까지 올랐는데 마침 이 시기에 운영 기반이나 후공덱의 비중이 커져 반사이익을 보게 되었다. == 일반 몬스터 == === 레벨 2 === ==== [[갤럭시 서펜트]] ==== == 효과 몬스터 == === 레벨 1 === ==== [[갤럭시아이즈 크라우드래곤]] ==== ==== [[갤럭크리보]] ==== 룰상 "갤럭시" 카드로 취급하는 크리보 카드. === 레벨 3 === ==== 갤럭시 미러 세이지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6117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리버스=, 한글판명칭=갤럭시 미러 세이지, 일어판명칭=銀河魔鏡士(ギャラクシー・ミラー・セイジ), 영어판명칭=Galaxy Mirror Sage, 속성=빛, 레벨=3, 공격력=0, 수비력=800, 종족=마법사족, 효과1=리버스 : 자신은 자신 묘지의 "갤럭시"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의 수 × 500 라이프 포인트 회복한다. 또한\, 리버스한 이 카드가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때\, 자신의 덱 / 묘지에서 레벨 4 이하의 "갤럭시"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1장을 고르고 뒷면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는\, 필드 위에서 벗어났을 경우 게임에서 제외된다.)] 한자 표기는 '은하마경사'. 리버스되었을 때 묘지의 갤럭시의 숫자만큼 라이프를 회복하고, 그 상태에서 파괴되면 덱이나 묘지에서 하급 갤럭시를 뒷면 표시로 특수 소환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다만 리버스 몬스터 특유의 느린 속도와, 소환된 갤럭시 몬스터는 필드에서 벗어나면 제외되기 때문에 아직 상대가 본격적으로 공격해 오지 않을 타이밍을 재서 뒤집어놓을 필요가 있다. 효과나 소환 범위 등을 따져볼때 그나마 수비력이 가장 높은 위저드 쪽이 우선시될 듯하다. 그 외에 [[기간테크 파이터]]와 마찬가지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진 시점에서 자신도 묘지에 존재하기에 그대로 되살려올 수 있다. 때문에 [[왕궁의 철벽]]이 깔려 있다면 죽여도 죽여도 다시 살아나 라이프를 회복하는 좀비 같은 모습을 보일 수 있지만, 그냥 알아두는 정도로 끝내는 편이 좋을 듯하다. 원작에서는 텐조 카이토가 사용했으며, 리버스 효과는 800 라이프를 회복한 뒤,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지면 자기 자신을 다시 세트하고, 이 효과로 세트된 상태에서 다시 파괴되면 제외되는 효과였다. 버티기만 할 수 있었던 원작보다 상향됐다. ||수록 시리즈 || ||<(> 2014-05-13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PRIO-KR002 | '''[[프라이멀 오리진]]'''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4-02-15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PRIO-JP002 | '''[[프라이멀 오리진|PRIMAL ORIGI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4-05-16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PRIO-EN002 | '''[[프라이멀 오리진|Primal Origi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5-09-1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MP15-EN002 | '''2015 Mega-Tins Mega Pack'''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갤럭시 웜]] ==== === 레벨 4 === ==== [[갤럭시 위저드]] ==== ==== [[갤럭시 드라군]] ==== ==== 갤럭시 프리스트 ==== [[파일:銀河の修道師.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갤럭시 프리스트, 일어판명칭=銀河の修道師(ギャラクシー・プリースト), 영어판명칭=Galaxy Cleric, 속성=빛, 레벨=4, 공격력=1500, 수비력=600, 종족=마법사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1턴에 1번\, 어느 쪽이든 1개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포톤" 엑시즈 몬스터 또는 "갤럭시" 엑시즈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패의 이 카드를 그 몬스터의 아래에 겹쳐 엑시즈 소재로 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자신 묘지의 "포톤" 카드 및 "갤럭시" 카드 중에서 합계 5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같은 이름의 카드는 1장까지). 그 카드를 덱에 넣고 셔플한다. 그 후\, 자신은 덱에서 2장 드로우한다.)] 한자 표기는 '은하의 수도사'. ①의 효과는 자신을 스스로 포톤 / 갤럭시 엑시즈 몬스터의 엑시즈 소재로 겹치는 효과로, 패가 6장 이상이라 엔드 페이즈에 패를 버려야만 할 때 쓰는 정도로는 나쁘지 않다. 그러나 진가는 바로 포톤과 갤럭시 전용 [[탐욕의 항아리]]라 할 수 있는 ②의 효과. 마침 능력치도 리크루트 상한치여서 특수 소환도 상당히 용이하므로 효과를 발동할 상황은 어렵지 않게 찾아온다. 두 효과 모두 우수하므로 둘 중 하나만 1턴에 1번 발동할 수 있으며, ②의 효과를 사용하는 경우 되돌리는 카드명이 모두 달라야 한다. ||수록 시리즈 || ||<(> 2018-10-23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OFU-KR010 | '''[[소울 퓨전]]'''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8-07-1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OFU-JP010 | '''[[소울 퓨전|SOUL FUSIO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8-10-19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OFU-EN010 | '''[[소울 퓨전|Soul Fusio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9-08-30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MP19-EN161 | '''2019 Gold Sarcophagus Tin Mega Pack'''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갤럭시 서머너 ==== [[파일:銀河の召喚師.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갤럭시 서머너, 일어판명칭=銀河の召喚師(ギャラクシー・サモナー), 영어판명칭=Galaxy Summoner, 속성=빛, 레벨=4, 공격력=1600, 수비력=1400, 종족=마법사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갤럭시 서머너" 이외의 자신 묘지의\, "포톤" 몬스터 또는 "갤럭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이 카드 이외의 자신 필드의 빛 속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레벨을 턴 종료시까지 4 로 한다.)] [[포톤 하이퍼노바]]에 수록된 갤럭시 덱의 새로운 지원 카드. 한자 표기는 '은하의 소환사'. 메인 덱 지원 카드 중에서는 [[포톤(유희왕)|포톤 엠페러]]와 함께 큰 주목을 받고 있는 카드로, 갤럭시 덱의 전개 방식을 크게 보조해줄 것으로 보인다. 묘지에서 포톤 또는 갤럭시 몬스터 카드를 특수 소환하는 효과는 레벨이나 랭크 제한이 없기에 다양한 활용이 가능한데, 특히 [[갤럭시 솔저]]의 자체 서치 효과를 발동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패 소모를 크게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그렇게 소환한 갤럭시 솔저를 4레벨로 만든다면 곧바로 [[갤럭시 포톤 드래곤]] 등의 엑시즈 몬스터로 전개가 가능하다. 이는 갤럭시 솔저가 가지고 있던 단점 중 하나인 혼자만 5레벨이라 다른 카드들과 엑시즈 소환을 못 한다는 단점을 개선할 수 있다. 마땅한 특수 소환 카드가 부족한 갤럭시 덱의 특정상 이 카드의 효과를 발동하기 위해선 일반 소환을 자주 하게 될 것으로 보이는데, 같이 출시하게 된 포톤 엠페러가 그 단점을 어느 정도 보완해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수록 시리즈 || ||<(> 2023-01-11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PHHY-KR002 | '''[[포톤 하이퍼노바]]'''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2-10-15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PHHY-JP002 | '''[[포톤 하이퍼노바|PHOTON HYPERNOVA]]'''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3-02-10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PHHY-EN002 | '''[[포톤 하이퍼노바|Photon Hypernova]]'''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레벨 5 === ==== [[갤럭시 솔저]] ==== === 레벨 8 === ====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 ==== 이 테마의 메인 카드. ==== [[갤럭시아이즈 애프터글로우 드래곤]] ==== ==== [[갤럭시 나이트]] ==== ==== [[갤럭시 티라노]] ==== ==== 갤럭시 브레이버 ==== [[파일:銀河剣聖.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갤럭시 브레이버, 일어판명칭=銀河剣聖(ギャラクシー・ブレイバー), 영어판명칭=Galaxy Brave, 속성=빛, 레벨=8, 공격력=0, 수비력=0, 종족=전사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패의 "포톤" 몬스터 1장을 상대에게 보여주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이 카드의 레벨은 보여준 "포톤" 몬스터의 레벨과 같아진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자신 묘지의 "갤럭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의 공격력 / 수비력은 그 몬스터 각각의 수치와 같아진다.)] 한자 표기는 '은하검성'. ①번 효과는 포톤 / 갤럭시 판 [[푸른 눈의 아백룡]]. 대놓고 엑시즈 소환에 사용하라는 효과로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을 보여주면 랭크 8 엑시즈 소환이 가능하며, 레벨 4 포톤 몬스터를 보여주면 랭크 4 엑시즈 소환 요원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아쉬운 점은 소울 퓨전의 갤럭시 지원이 그렇듯 반드시 포톤을 지정하도록 되어 있어 갤럭시만으로는 사용이 불가능하며, 랭크 8 엑시즈 소환을 원하는 경우 잘 쓰이지 않는 포톤 카이저를 채용할 것이 아니라면 사실상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을 잡은 상태여야만 한다. 그래도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을 잡는 것 자체는 포톤 배니셔의 추가 이후로는 상당히 쉬워진 것이 위안. [[포톤 하이퍼노바]]에서 포톤 엠페러가 추가되어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이 아니더라도 8레벨로 소환하기 용이하게 되었다. ②의 효과는 [[딥아이즈 화이트 드래곤]]처럼 묘지의 갤럭시의 능력치를 복사하는 카드인데, 갤럭시 솔저 등 공격력 2000 이상의 갤럭시 몬스터의 스탯을 베끼면 [[갤럭시아이즈 솔플레어 드래곤]]의 링크 소재로 사용이 가능하며, 프라임이나 FA, 타키온, 사이퍼 등의 고타점 갤럭시아이즈 몬스터를 카피하면 최소 3000 이상의 어태커로도 사용할 수 있다. ||수록 시리즈 || ||<(> 2018-10-23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OFU-KR011 | '''[[소울 퓨전]]'''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8-07-1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OFU-JP011 | '''[[소울 퓨전|SOUL FUSIO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8-10-19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OFU-EN011 | '''[[소울 퓨전|Soul Fusio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9-08-30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MP19-EN162 | '''2019 Gold Sarcophagus Tin Mega Pack'''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엑시즈 몬스터 == === 랭크 1 === ==== [[No.83 갤럭시 퀸]] ==== === 랭크 4 === ==== [[갤럭시 스텔스 드래곤]] ==== ==== [[갤럭시 포톤 드래곤]] ==== === 랭크 7 === ==== [[No.42 스타쉽 갤럭시 토마호크]] ==== === 랭크 8 === ==== [[네오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 ==== ==== [[갤럭시아이즈 FA 포톤 드래곤]] ==== ==== [[갤럭시아이즈 사이퍼 드래곤]] ==== ==== [[No.38 희망괴룡 타이타닉 갤럭시]] ==== ==== [[No.62 갤럭시아이즈 프라임 포톤 드래곤]] ==== ==== [[No.90 갤럭시아이즈 포톤 로드]] ==== ==== [[No.107 갤럭시아이즈 타키온 드래곤]] ==== ==== [[CNo.62 네오 갤럭시아이즈 프라임 포톤 드래곤]] ==== === 랭크 9 === ==== [[갤럭시아이즈 사이퍼 블레이드 드래곤]] ==== ==== [[네오 갤럭시아이즈 사이퍼 드래곤]] ==== ==== [[No.95 갤럭시아이즈 다크매터 드래곤]] ==== ==== [[CNo.107 네오 갤럭시아이즈 타키온 드래곤]] ==== === 랭크 10 === ==== [[갤럭시아이즈 사이퍼 엑스 드래곤]] ==== ==== [[초차원로보 갤럭시 디스트로이어]] ==== == 링크 몬스터 == === 링크 2 === ==== [[갤럭시아이즈 솔플레어 드래곤]] ==== ==== [[갤럭시 새털라이트 드래곤]] ==== == 마법 카드 == === [[갤럭시 스톰]] === 이름은 겹치지만 크게 관련성은 없는 카드. 일단 카이토가 사용하기는 했다. === [[갤럭시 웨이브]] === 역시 이름이 겹쳤을 뿐 크게 상관은 없다. === [[갤럭시 퀸즈 라이트]] === 갤럭시 퀸과 함께 뜬금없이 편입된 카드. 카이토가 사용한 '시프트 업'과 비슷한 효과이다. 먼저 나오긴 했지만 === 갤럭시 익스페디션 === [[파일:銀河遠征(SUB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갤럭시 익스페디션, 일어판명칭=銀河遠征(ギャラクシー・エクスペティション), 영어판명칭=Galaxy Expedition,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에 레벨 5 이상인\, "포톤" 몬스터 또는 "갤럭시"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레벨 5 이상인\, "포톤" 몬스터 또는 "갤럭시" 몬스터 1장을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한자 표기는 '은하원정'. 역시 [[트론(유희왕)|트론]]과의 듀얼에서 사용한 카드. 갤럭시 나이트를 덱에서 특수 소환했다. '''갤럭시 덱의 필수 카드'''로서 굉장히 뛰어난 효과를 가진 카드이다. 레벨 5 이상의 포톤, 갤럭시 몬스터가 존재하기만 하면 덱에서 레벨 5 이상의 포톤, 갤럭시 몬스터를 그냥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몬스터는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되지만 어차피 엑시즈 소환 용도라 큰 문제는 없다. 발동 조건도 갤럭시 카드군답게 소환이 쉬운 같은 갤럭시인 갤럭시 솔저, 갤럭시 나이트, 갤럭시 위저드를 이용하면 발동 조건을 쉽게 맞출 수 있을 것이다. ||수록 시리즈 || ||<(> 2012-11-27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DP13-KR028 | '''[[듀얼리스트 팩#카이트 편|듀얼리스트 팩 - 카이트 편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16-11-10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CPF1-KR044 | '''[[컬렉터즈 팩#s-3.4|컬렉터즈 팩 섬광의 듀얼리스트 편]]'''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2-09-15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P13-JP028 | '''[[듀얼리스트 팩#카이트 편|デュエリストパック - カイト編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16-05-1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CPF1-JP044 | '''[[컬렉터즈 팩#s-3.4|コレクターズパック 閃光の決闘者編]]'''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2-12-2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UB1-JP069 | '''[[시크릿 유틸리티 박스|SECRET UTILITY BOX SPECIAL PACK]]'''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 2013-03-0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ZTIN-EN017 | '''Zexal Collection Ti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18-12-07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OP09-EN010 | '''OTS Tournament Pack 9'''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23-02-0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OP21-EN020 | '''OTS Tournament Pack 2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갤럭시 제로 === [[파일:銀河零式.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장착=, 한글판명칭=갤럭시 제로, 일어판명칭=銀河零式(ギャラクシー・ゼロ), 영어판명칭=Galaxy Zero, 효과외1="갤럭시 제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묘지의 "포톤" 몬스터 또는 "갤럭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이 카드를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공격 표시로 특수 소환하고\, 이 카드를 장착한다. 장착 몬스터는 공격할 수 없으며\, 효과도 발동할 수 없다., 효과2=②: 장착 몬스터가 배틀 페이즈에 전투 / 효과로 파괴될 경우\, 대신에 이 카드를 파괴할 수 있다., 효과3=③: 앞면 표시의 이 카드가 필드에서 벗어났을 경우에 발동한다. 이 카드를 장착하고 있던 몬스터의 공격력은 0 이 된다.)] 한자 표기는 '은하영식'. 포톤 & 갤럭시 전용의 [[성급한 매장]]. 다만 최대의 차이점은 이런 소생계 카드는 소생시킨 카드가 터지면 장착 몬스터도 파괴되는데 이 녀석은 '''이 카드가 터져도 장착 몬스터는 살아남는다.''' 거기다 배틀 페이즈 중 장착 몬스터가 파괴될 경우 대신 이 카드를 파괴하는 쓸만한 효과도 보유. 하지만 이 카드가 필드를 벗어나면 공격력이 0이 된다는 디메리트가 붙어있다. 공격력이 0으로 되더라도 굴릴 수 있는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과 연계하면 좋을 듯. 또한 성급한 매장처럼 패로 돌리고 연속 발동하는 콤보를 막기 위해서인지 1턴에 1번만 발동할 수 있다는 제한이 붙어 있다. 다른 사용법으로는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을 부활시킨 후 레벨 8 몬스터를 더 소환해 [[No.62 갤럭시아이즈 프라임 포톤 드래곤]]이나 [[네오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으로 잇거나, [[No.107 갤럭시아이즈 타키온 드래곤]], [[갤럭시아이즈 사이퍼 드래곤]] 같은 몬스터를 부활시킨 후 그 몬스터를 대상으로 [[RUM]]으로 [[CNo.107 네오 갤럭시아이즈 타키온 드래곤]], [[네오 갤럭시아이즈 사이퍼 드래곤]]을 소환하거나, [[갤럭시아이즈 FA 포톤 드래곤]], [[No.95 갤럭시아이즈 다크매터 드래곤]], [[갤럭시아이즈 사이퍼 블레이드 드래곤]]를 소환하면 이 디메리트를 회피할 수 있다. 또 굳이 엑시즈 소환이 아니더라도, 싱크로 등 특수 소환의 소재로 써도 디메리트 회피는 가능하다. [[세이크리드 프레아데스]]와 연계에 패를 늘리는 방법도 있다. 갤럭시 제로로 갤럭시 위저드를 소환한 뒤 갤럭시 제로를 패로 가져와 갤럭시 위저드의 효과를 발동시키는 식으로 어드밴티지를 늘리는 것. 물론 프레아데스의 경우 견제 효과가 우선이라 엑시즈 소재 1개를 소모하는 것은 조심해야하지만, 이런 식으로 늘린 패를 통해 새로운 전개를 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 원작에서는 카이토가 유마와의 2차전에서 사용한 카드이다. [[No.39 유토피아]]에 의해 파괴되어 묘지에 있던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을 부활시켰다. 여기서는 배틀 동안 공격력이 800 감소하는 대신 공격 불가 페널티가 없었다. 이후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이 파괴될 때 묘지로 보내,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이 유마의 지속 마법 [[제로제록]]의 효과를 받게끔 했다. ||수록 시리즈 || ||<(> 2012-11-27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DP13-KR029 | '''[[듀얼리스트 팩#카이트 편|듀얼리스트 팩 - 카이트 편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16-10-01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AE09-KR023 | '''[[어드밴스드 이벤트 팩#s-10|어드밴스드 이벤트 팩 2016 Vol.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2-09-15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P13-JP029 | '''[[듀얼리스트 팩#카이트 편|デュエリストパック - カイト編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16-07-0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AT15-JP007 | '''[[토너먼트 팩#s-39|어드밴스드 토너먼트 팩 2016 Vol.3]]'''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3-03-0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ZTIN-EN018 | '''Zexal Collection Ti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21-01-22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LDS2-EN055 | '''Legendary Duelists: Season 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갤럭시 싸이크론]] === [[크로스오버 소울즈]]에서 등장한 범용 마법 / 함정 제거 카드. === 갤럭시 트랜서 === [[파일:銀河天翔.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갤럭시 트랜서, 일어판명칭=銀河天翔(ギャラクシー・トランサー), 영어판명칭=Galaxy Trance,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으며\, 이 카드를 발동하는 턴에\, 자신은 "포톤" 몬스터 및 "갤럭시" 몬스터밖에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1=①: 2000 LP를 지불하고\, 자신 묘지의 "포톤"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와 같은 레벨을 가지는 덱의 "갤럭시" 몬스터 1장과 대상 묘지의 몬스터를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의 공격력은 2000 이 되고\, 효과는 무효화된다.)] 한자 표기는 '은하천상'. 갤럭시 제로와 갤럭시 익스페디션을 합쳐놓은 듯한 갤럭시의 새로운 소생+덱 특수 소환 전개 카드. 소생+덱 특수 소환이라는 강력한 성능을 가진 카드인 만큼 디메리트도 꽤 많다. 발동 시 반드시 포톤만을 소생시켜야 하고 덱 특수 소환은 갤럭시만 가능하기 때문에 사실상 신규 지원의 컨셉대로 포톤과 갤럭시를 혼합하는 것을 강요하며, 갤럭시에는 레벨 4, 5, 8까지 다양하고 성능 좋은 몬스터가 포진한 만큼 덱 특수 소환 자체는 별로 문제가 되지 않지만 소생이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을 빼면 하필 애매한 카드들이 있는 포톤만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에 신중을 요한다. 또한, 자체 카드군만 소환할 수 있는 디메리트 때문에 갤럭시 솔저를 이용한 [[사이버 드래곤 인피니티]]나 [[세이크리드 프레아데스]] 등 강력한 랭크 5 엑시즈 소환은 포기해야 한다. 갤럭시 꿈의 빌드인 사이버 드래곤 인피니티+랭크 8 엑시즈 몬스터를 쓰지 못한다는 점이 상당히 아쉽지만, 그래도 포톤 / 갤럭시 엑스트라 덱 몬스터 중에서는 [[휘광룡 포톤 블래스트 드래곤]]과 [[No.38 희망괴룡 타이타닉 갤럭시]] / [[No.90 갤럭시아이즈 포톤 로드]] 등 선공에 충분히 밥값하는 카드가 많으므로 조금은 낫다. 포톤 점퍼 발매이후로 그 가치가 크게 상승했는데, 포톤 점퍼의 2효과로 트랜서가 서치가능하고 점퍼가 묘지에 있으므로 바로 트랜서의 발동조건도 충족시킨다. 즉 4랭크 엑시즈에 덤핑효과 하나만으로 접근가능하다는 것. 일소권이 남아있을 경우 굳이 4랭크로 바로 접근하지 않고 덱에서 '갤럭시' 서머너를 특소한뒤 솔플레어로 서머너를 패로 회수하면, 솔플레어+4랭크[* 물론 포톤/갤럭시의 제약이 걸린다]까지 원핸드로 가능하다. 일러스트는 포톤 스래셔와 갤럭시 위저드를 소재로 갤럭시아이즈 솔플레어 드래곤을 소환하고 있다. ||수록 시리즈 || ||<(> 2018-10-23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OFU-KR056 | '''[[소울 퓨전]]'''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18-07-1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OFU-JP056 | '''[[소울 퓨전|SOUL FUSIO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18-10-19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OFU-EN056 | '''[[소울 퓨전|Soul Fusio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19-08-30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MP19-EN198 | '''2019 Gold Sarcophagus Tin Mega Pack'''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하이퍼 갤럭시]] === === [[갤럭시 헌드레드]] === === [[누메론 크리에이션]] === 룰상 [[갤럭시아이즈]]로 취급되는 카드. === [[라스트호프 넘버즈]] === 룰상 [[갤럭시아이즈]]로 취급되는 카드. == 함정 카드 == === [[이터널 갤럭시]] === === [[타키온 갤럭시스파이럴]] === 드래곤족 갤럭시 범용 지원이지만 기본적으론 [[갤럭시아이즈 타키온 드래곤]]을 지원하는 카드. == 관련 카드 == === 몬스터 카드 === * [[오보미]] * [[오비탈 7(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오비탈 7]] * [[포톤(유희왕)#포톤 버니셔|포톤 버니셔]] * [[포톤 오비탈]] * [[포톤 점퍼]] === 마법 카드 === ==== [[포톤(유희왕)#포톤 핸드|포톤 핸드]] ==== ==== 액셀 라이트 ==== [[파일:アクセル・ライト.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액셀 라이트, 일어판명칭=アクセル・ライト, 영어판명칭=Accellight,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으며\, 이 카드를 발동하는 턴에\, 자신은 통상 소환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에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레벨 4 이하의\, "포톤" 몬스터 또는 "갤럭시"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LP 코스트가 없는 포톤 & 갤럭시 전용 [[히어로 얼라이브]]. 대신 일반 소환 봉쇄와 1턴에 1번 디메리트가 붙었다. 포톤 새털라이트, 갤럭시 나이트 등 일반 소환의 비중이 결코 적지 않은 포톤 덱에서 이 디메리트는 상당히 치명적으로 패에 갤럭시 익스페디션, 포톤 리드 등이 없는 한은 포톤 리저드 또는 갤럭시 위저드를 꺼내 서치하는 것이 주 용도가 된다. 단 갤럭시 위저드, 포톤 새털라이트의 경우 [[지옥의 폭주소환]], 새털라이트의 경우는 [[기계 복제술]] 등의 카드와 연계, 변칙적인 플레이가 가능하며, 특히 갤럭시 위저드는 위에 기술된 대로 바로 네오 포톤으로 연계가 가능하다. 소재 제한이 따로 없는 범위에서 다른 랭크 8 엑시즈 소환을 노려볼 수 있다는 것이 장점. 원작에선 레벨 4 이하의 빛 속성 / 전사족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는 효과였다. 이때 소환한 몬스터는 [[데이브레이커]]. 덕분에 일러스트엔 [[블레이드 나이트(유희왕)|블레이드 나이트]]가 소환되고 있다. ||수록 시리즈 || ||<(> 2012-11-27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DP13-KR027 | '''[[듀얼리스트 팩#카이트 편|듀얼리스트 팩 - 카이트 편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18-09-18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DP20-KR044 | '''[[듀얼리스트 팩#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3|듀얼리스트 팩 - 레전드듀얼리스트 편 3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2-09-15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P13-JP027 | '''[[듀얼리스트 팩#카이트 편|デュエリストパック - カイト編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16-04-0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AT14-JP003 | '''[[토너먼트 팩#s-38|어드밴스드 토너먼트 팩 2016 Vol.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 2018-06-09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P20-JP044 | '''[[듀얼리스트 팩#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3|デュエリストパック - レジェンドデュエリスト編3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3-03-0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ZTIN-EN016 | '''Zexal Collection Ti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18-09-2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LED3-EN044 | '''[[듀얼리스트 팩#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3|Legendary Duelists: White Dragon Abys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은하의 자비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6181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은하의 자비, 일어판명칭=(ぎん)()(ほどこ)し, 영어판명칭=Galactic Charity, 효과1=자신 필드 위에 "갤럭시"라는 이름이 붙은 엑시즈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에\, 패를 1장 버리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카드를 2장 드로우한다. 이 카드를 발동한 턴에\, 상대가 받는 모든 데미지는 절반이 된다. "은하의 자비"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천사의 자비]], [[범인의 자비]] 등의 갤럭시 버전. 갤럭시 관련 카드는 맞지만 이 카드의 "은하"는 "갤럭시"라고 읽지 않는다. 전용 드로우 보조 카드이긴 하지만, 갤럭시 엑시즈 몬스터라는 무거운 몬스터들이 존재할 때만 발동할 수 있는데, 패가 늘어나는 것도 아니고 이상한 디메리트들만 붙어 있는데다가 서치도 불가능해 사용하기 불편한 카드이다. 원작 사용자는 [[미자엘]]. 드로우 효과까지는 똑같지만 디메리트는 붙어 있지 않았다. ||수록 시리즈 || ||<(> 2014-05-13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PRIO-KR057 | '''[[프라이멀 오리진]]'''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4-02-15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PRIO-JP057 | '''[[프라이멀 오리진|PRIMAL ORIGI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4-05-16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PRIO-EN057 | '''[[프라이멀 오리진|Primal Origi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5-09-1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MP15-EN032 | '''2015 Mega-Tins Mega Pack'''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함정 카드 === ==== [[타키온 카오스 홀]] ==== ==== [[포톤(유희왕)#포톤 체인지|포톤 체인지]] ==== == OCG화되지 않은 카드 == === 마법 카드 === ==== 갤럭시 버스트 ==== || 한글판 명칭 ||'''갤럭시 버스트'''|| || 일어판 명칭 ||'''銀河暴風'''|| || 영어판 명칭 ||'''Galaxy Burst'''(비공식 번역명)|| ||<-2> 속공 마법 || ||<-2>상대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카드 2장을 선택하고 발동한다. 이 턴의 엔드 페이즈시까지 자신 필드 위의 "광자" 또는 "포톤" 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의 공격력을 절반으로 하고, 선택한 카드의 효과를 무효로 한다.|| 한자 표기는 '은하폭풍'. 원작에서는 역시 카이토가 유마와의 2차전에서 사용한 카드이다. 갤럭시아이즈를 소환한 뒤 발동해, 유마의 [[간바라 나이트]]와 지속 마법 [[제로제록]]의 효과를 무효로 했다. ==== 갤럭시 쇼크 ==== || 한글판 명칭 ||'''갤럭시 쇼크'''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銀河衝撃'''|| || 영어판 명칭 ||'''Galaxy Shock'''(비공식 번역명)|| ||<-2> 속공 마법 || ||<-2>자신 필드의 "갤럭시"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1장을 선택하고, 그 선택한 몬스터가 그 공격력과 같은 공격력을 지닌 상대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할 때, 자신의 덱에서 카드 1장을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선택한 몬스터의 공격력은 1500 포인트 올린다. 또한, 선택한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하는 상대 몬스터의 효과와, 그 상대 몬스터를 대상으로 한 카드의 효과는 무효화된다.|| ZEXAL 134화에서 등장. 한자 표기는 '은하충격'. 카이토와 미자엘이 둘 다 사용했다. 미자엘은 발동에 성공했으나, 카이토의 것은 [[CNo.107 네오 갤럭시아이즈 타키온 드래곤]]에 의해 발동이 봉인되고 결국 써볼 기회를 한번도 잡지 못한 채 타키온 카오스 홀에 의해 제외되고 말았다. 카이토가 [[No.62 갤럭시아이즈 프라임 포톤 드래곤]]의 1번째 공격시 이 카드를 발동해서 끝을 내지 않은 것은 네오 타키온과 공격력이 달라서 발동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텍스트의 불명 부분은 카이토의 듀얼 디스크에 가려져서 보이지 않는 부분이나, 대충 '상대 몬스터가 받은 다른 효과를 무효화한다'라는 것으로 추정된다. 미자엘은 이 카드를 사용해서 네오 포톤이 갤럭시 티라노의 원작 효과로 얻은 파괴 내성을 지워 버렸다. ==== 리갤럭시 ==== || 한글판 명칭 ||'''리갤럭시'''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銀河再誕'''|| || 영어판 명칭 ||'''Re-Galaxy'''(비공식 번역명)|| ||<-2> 속공 마법 || ||<-2>자신 묘지에서 "갤럭시"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하고, 이 카드를 장착 카드 취급으로 장착한다. 이 효과에 의해 이 카드가 장착 카드 취급으로 장착되어 있을 경우, 장착 몬스터의 공격력은 절반이 되고, 장착 몬스터가 자신 턴에 상대 라이프에 전투 데미지를 주지 못했을 경우, 장착 몬스터는 그 턴의 엔드 페이즈시에 파괴된다. 또한, 장착 몬스터를 엑시즈 소환 소재로 할 경우, 장착 카드 취급으로 장착된 이 카드를 장착 몬스터와 같은 레벨의 소재로 할 수 있다.|| 134화에서 등장. 한자 표기는 '은하재탄'. 카이토가 사용하여 묘지로 간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을 되살리고 엑시즈 소재로 하는 효과를 살려 [[No.62 갤럭시아이즈 프라임 포톤 드래곤]]을 탄생시켰다. 효과가 무효화 되는것도 아닌데, 카드 1장으로 아무 제약없이 바로 엑시즈 소환까지 가능한 사기 카드. 다만 레벨을 따지기 때문에, 엑시즈 몬스터에게 장착될 경우 자체 엑시즈 소환이 가능한 카드로 바꾸거나, [[RUM]]으로 강력한 몬스터로 바꾸는 것만 할 수 있다. 미자엘은 [[No.46 신영룡 드래글루온]]의 자폭으로 네오 타키온이 파괴되자 이 카드를 사용해서 네오 타키온을 2번째로 다시 부활시켰다. 그리고 결국 그 네오 타키온을 끝까지 계속 굴렸다. ==== 미라클 갤럭시 ==== || 한글판 명칭 ||'''미라클 갤럭시'''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奇跡の銀河'''|| || 영어판 명칭 ||'''Miracle Galaxy'''(비공식 번역명)|| ||<-2> 일반 마법 || ||<-2>자신의 메인 페이즈 2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이 이 턴의 배틀 페이즈에 상대에게 전투 데미지를 주지 못했을 경우, 자신은 1번 더 배틀 페이즈를 실행할 수 있다, 그 배틀 페이즈에 자신은 몬스터 1장으로만 공격할 수 있다. || 한자 표기는 '기적의 은하'. [[분류:유희왕/OCG/카드군]][[분류:유희왕/OCG/마법사족]][[분류:유희왕/OCG/전사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