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갤럭시 S7)] [목차] == 개요 == [[삼성전자]]가 2016년 2월 21일(한국 시각 2016년 2월 22일)에 공개한 [[안드로이드(운영체제)|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인 [[갤럭시 S7]]와 [[갤럭시 S7 엣지]]가 공개 직전까지 관련 커뮤니티와 언론을 통해 알려진 각종 루머를 정리하는 문서. == 발표 전 루머 == [[스마트폰]] 시장을 [[Apple|애플]]의 [[iPhone|아이폰 시리즈]]와 양분하는 [[삼성전자]]의 갤럭시 S 시리즈의 차세대 모델인 만큼, 여타 모델과는 더 많은 관심을 가지며 여러 루머가 나오고 있다. 2015년 7월 11일, [[삼성전자]]가 갤럭시 S 7세대의 모바일 AP로 [[http://www.etnews.com/20150709000279|퀄컴 스냅드래곤 820 MSM8996을 탑재할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이는 전작인 [[갤럭시 S6]] & [[갤럭시 S6 엣지]]가 전량 [[삼성 엑시노스]] 7420을 탑재했던 것과는 다른 전략으로, 그 이전 세대까지만 해도 [[삼성 엑시노스]] 시리즈와 [[퀄컴 스냅드래곤]] 시리즈를 지역 및 지원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따라 이원화 전략을 취했던 것으로 다시 돌아가는 것으로 보인다. 2015년 9월 10일, [[삼성전자]]가 갤럭시 S 7세대를 [[http://www.kbench.com/?q=node/154955|5.2인치 모델과 5.8인치 모델로 이원화할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이는 [[갤럭시 S6]] & [[갤럭시 S6 엣지]]기 5.1인치의 크기를 가지고 있고, 파생 모델인 [[갤럭시 S6 엣지+]]가 5.7인치의 크기를 가졌던 것을 그대로 정규 라인업화한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4 GB RAM과 4K UHD 해상도를 탑재할 것이라고 한다. 2015년 9월 10일, 갤럭시 S 7세대로 추정되는 기기의 [[http://www.antutu.com/view.shtml?id=8133|Antutu 벤치마크 시스템 정보]]가 유출되었다. 개발 코드네임 'Lucky'로 명명된 해당 기기는 안드로이드 5.1 롤리팝으로 테스트되고 있었으며 [[퀄컴 스냅드래곤]] 820 MSM8996, 4 GB RAM과 64 GB의 내장 메모리, 5.7인치 2K WQHD 해상도의 [[디스플레이]]와 후면 1,600만 화소 카메라 및 전면 500만 화소의 카메라 등의 사양을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 2015년 9월 15일, [[삼성전자]]가 갤럭시 S 7세대에 [[http://www.asiae.co.kr/uhtml/read.jsp?idxno=2015091421583201347|듀얼 카메라를 탑재할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이를 위한 프로토타입이 내부에서 테스트되고 있으며 하나는 피사체에 초점을 맞추고 다른 하나는 주변 배경을 촬영하여 두 가지 결과물을 합성하는 방식으로 활용될 것이라고 한다. 2015년 9월 18일, [[삼성전자]]가 갤럭시 S 7세대에 [[http://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serial=919794&g_menu=020800|마그네슘 합금 소재를 사용할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알루미늄]] 소재 대비 높은 내구성과 가벼워진 무게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이며 일체형 구조로 설계할 것이라고 한다. 2015년 10월 13일, [[삼성전자]]가 갤럭시 S 7세대에 [[http://www.etnews.com/20151013000029|포스 터치 솔루션을 내장할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이는 시냅틱스의 [[포스 터치]] 솔루션인 Clear Force 기술이 공개되면서 [[삼성전자]]가 파트너사 목록에 올랐기 때문이라고 한다. 2015년 10월 17일, [[삼성전자]]가 갤럭시 S 7세대에 [[http://www.sammobile.com/2015/10/16/exclusive-the-galaxy-s7-will-feature-a-usb-type-c-port/|USB Type-C 단자를 입출력 단자로 사용할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USB]] 버전 역시 USB 3.1 Gen1로 높여서 빠른 데이터 통신과 고속 충전 솔루션 등을 적용할 계획이라고 한다. 2015년 10월 21일, [[삼성전자]]가 갤럭시 S 7세대에 [[http://www.sammobile.com/2015/10/20/galaxy-s7-to-have-magnesium-alloy-body-and-superior-sound-quality/|오디오 솔루션을 강화할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ESS]]의 Sabre 9018K2M를 탑재하여 32-bit/384KHz 음원을 재생시킬 수 있게할 계획이라고 한다. 2015년 10월 26일, [[삼성전자]]가 갤럭시 S 7세대를 [[http://www.etnews.com/20151024000023|총 세 가지 버전의 옵션으로 출시할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갤럭시 S6]] & [[갤럭시 S6 엣지]]처럼 플랫 모델과 엣지 모델로 출시되며 엣지 모델은 대화면 파생 모델인 엣지 플러스 라인업까지 정규 라인업으로 편입시킨다는 것이다. 플랫 모델과 엣지 모델은 5.2인치의 크기를 가지고 엣지 플러스 모델은 5.7인치의 크기를 가질 것이라고 한다. 2015년 10월 27일, [[삼성전자]]가 갤럭시 S 7세대에 [[http://www.stuff.tv/news/samsung-galaxy-s7-will-apparently-have-curved-screen-standard|플랫 모델 옵션을 삭제할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5.2인치 모델과 5.7인치 모델로 출시되며 두 모델 모두 엣지 디스플레이를 적용할 것이라고 한다. 2015년 11월 4일, [[삼성전자]]가 갤럭시 S 7세대에 [[http://www.joseilbo.com/news/htmls/2015/11/20151104276786.html|1/2인치 1,200만 화소의 후면 카메라를 탑재할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듀얼 포토 다이오드[*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전환하는 반도체를 의미한다.] 방식을 도입하여 노이즈를 감소시키고 색감을 생동감 있게 해준다고 한다. 또한, [[갤럭시 S6]] & [[갤럭시 S6 엣지]]에 탑재된 아이소셀 S5K2P2 센서보다 센서 크기가 약 4배 가량 증대된다고 한다. 2015년 11월 17일, [[삼성전자]]가 갤럭시 S 7세대의 [[http://www.kbench.com/?q=node/157207|모바일 AP 이원화 전략은 지원 이동통신에 따르는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기본적으로 [[삼성 엑시노스]] 8890이 사용되지만, [[CDMA]]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서비스 하는 이동통신사에 공급될 때만 [[퀄컴 스냅드래곤]] 820 MSM8996을 사용한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여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알려진 모델은 중국 오픈 모델, 미국 [[버라이즌 와이어리스]], [[스프린트(기업)|스프린트]], US 셀룰러 모델이다. 2015년 12월 8일, 갤럭시 S 7세대로 추정되는 기기의 [[http://shop.itskins.com/new-products.html|3D 렌더링 이미지]]가 유출되었다. [[SIM]] 카드 슬롯의 위치가 변경되면서 그 위치를 micro SD 카드 슬롯으로 활용할 것이라 하며 전체적으로 둥글둥글한 형태를 가지게 되었다고 한다. 또한, [[갤럭시 A 시리즈#s-2.2.1|갤럭시 A 시리즈 2016년 에디션]]과 비슷한 전면 및 후면 디자인을 가지게 될 것이라고 한다. 2015년 12월 23일, [[삼성전자]]가 갤럭시 S 7세대의 한국 내수용 모델에 대해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5122402101131747002|이동통신사들과 망 연동 테스트를 시작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삼성 엑시노스]] 8890과 [[퀄컴 스냅드래곤]] 820 MSM8996 모두 4G [[LTE]] Cat.12·13 급을 만족하기 때문에 이동통신사들이 이를 이용한 마케팅을 선점하기 위한 사전 전략을 세운 것이라고 한다. 2015년 12월 24일, 갤럭시 S 7세대로 추정되는 기기의 [[http://www.sammobile.com/2015/12/24/pictures-of-cases-for-the-galaxy-s7-and-the-galaxy-s7-plus-released/|케이스 렌더링 이미지]]가 유출되었다. 기기 렌더링 도면이라 주장되는 설계 도면을 사전에 입수한 업체가 공개한 것이라고 한다. 2015년 12월 28일, [[삼성전자]]가 갤럭시 S 7세대의 [[http://www.reuters.com/article/samsung-elec-smartphones-idUSKBN0UB05320151228|초도물량을 약 500만 대로 계획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5.2인치 플랫 모델이 330만 대를 차지하며 나머지는 5.7인치 엣지 플러스 모델의 물량이라고 한다. 2015년 12월 29일, 갤럭시 S 7세대로 추정되는 기기의 [[http://www.androidauthority.com/galaxy-s7-s7-edge-leak-664545/|3D 설계 도면]]이 유출되었다. 5.2인치 플랫 모델의 경우, 전작인 [[갤럭시 S6]]와 제품 규격이 동일 내지 유사하나, 후면 [[카메라]] 모듈의 경량화가 이루어져서 소위 '카툭튀' 현상이 개선되었다고 한다. 또한, 엣지 플러스 모델이 5.7인치가 아닌 5.5인치라고 한다. 이외에도 기본적으로 [[갤럭시 노트5]]에 도입되었던 후면 엣지 디자인이 적용되었다고 한다. 2015년 12월 30일, [[삼성전자]]가 갤럭시 S 7세대를 [[http://www.gsmarena.com/exclusive_samsung_galaxy_s7_to_come_in_three_sizes_51_55_and_6-news-15757.php|총 세 가지 버전의 옵션을 유지할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5.1인치의 플랫 모델과 5.5인치의 엣지 모델 그리고 6.0인치의 대형화 모델까지 준비하고 있다고 한다. 2015년 12월 31일, [[삼성전자]]가 갤럭시 S 7세대에 [[http://www.expreview.com/44848.html|e-SIM을 도입할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사용자가 이동통신사를 옮기려할 때 해당하는 이동통신사의 [[SIM]] 카드를 구매할 필요 없이 기기에서 전환이 되도록 하는 일종의 가상 [[SIM]] 카드 기술로, 이미 [[삼성 기어 S2]] 3G [[WCDMA]] 모델이 해당 기술을 적용했다. 2016년 1월 2일, 갤럭시 S 7세대로 추정되는 기기의 [[http://bbs2.ruliweb.daum.net/gaia/do/ruliweb/default/news/3449/read?articleId=1949562&bbsId=G003&itemGroupId=44&pageIndex=2|시스템 정보]]가 유출되었다. 5.7인치 크기를 가진 엣지 플러스 모델로, [[퀄컴 스냅드래곤]] 820 MSM8996과 4 GB RAM 그리고 32 GB 내장 메모리, 전면 500만 화소 카메라와 후면 1,200만 화소 카메라 등을 탑재했다고 한다. 2016년 1월 3일, 갤럭시 S 7세대로 추정되는 기기가 사용한다고 주장되는 [[http://www.etnews.com/20160103000144|전면 패널]]이 유출되었다. 기존에 유출되던 설계 도면과 다른 디자인을 가졌으며 홈 버튼을 기존 기기와 비교할 때 약 5년 전 기기인 [[갤럭시 S II HD LTE]]의 홈 버튼과 유사한 형태를 가졌다. 2016년 1월 5일, [[삼성전자]]가 갤럭시 S 7세대에 [[http://venturebeat.com/2016/01/04/samsung-galaxy-s7-and-s7-edge-will-feature-microsd-water-resistance-and-larger-batteries|3000 mAh의 배터리를 탑재할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5.1인치 플랫 모델과 5.7인치 엣지 플러스 모델을 준비허고 있으며 각각 3000 mAh와 3600 mAh의 배터리가 탑재될 것이라고 한다. 또한, 조리개 밝기가 F/1.7로 설정된 1,200만 화소의 후면 [[카메라]]와 IP67 등급의 방수 방진을 지원하는 등의 사양을 갖췄다고 한다. 2016년 1월 6일, [[삼성전자]] 중국 법인이 공개한 [[삼성 페이]] 중국 서비스 지원 기기 목록에 [[http://www.ittoday.co.kr/news/photo/201601/67156_80973_2929.png|갤럭시 S 7세대로 추정되는 기기들이 추가]]되었다고 한다. 기존 [[삼성전자]]의 기기명 네이밍 법칙에 의해, 중국 내 모든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모델 2종[* [[갤럭시 S6]] & [[갤럭시 S6 엣지]]의 전례를 볼 때, 각각 플랫 모델과 엣지 모델로 추정된다.]과 중국 내수용 [[차이나모바일]] 모델이 출시되는 것으로 보인다. 2016년 1월 11일, [[삼성전자]]가 갤럭시 S 7세대의 전용 악세서리로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6011106165159311|키보드 커버를 준비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이미 [[갤럭시 노트5]]와 [[갤럭시 S6 엣지+]]의 전용 악세서리로 선 보였던 전례가 있었기 때문에 S뷰 커버처럼 이를 정규 악세서리 라인업으로 만드는 것으로 보인다. 2016년 1월 15일, [[삼성전자]]가 갤럭시 S 7세대에 [[아이폰 6s]] & [[아이폰 6s Plus]]에 탑재된 Live Photos와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6011507433806020|유사한 기능을 탑재할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삼성전자]] 내부에서는 타임리스 포토, 비비드 포토 등 다양한 명칭들을 후보에 올리고 고민하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Live Photos보다는 GIF 포맷의 이미지를 업로드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중점을 둘 것이라는 주장도 존재한다. 2016년 1월 18일, 갤럭시 S 7세대로 추정되는 기기가 [[http://www.joseilbo.com/news/htmls/2016/01/20160118284363.html|인도네시아 인증기관 내 전산에서 확인]]되었다고 한다. 기기명을 볼 때, 듀얼심을 지원할 것이며 플랫 모델과 엣지 모델로 추정된다고 한다. 또한, 4 GB RAM에 32 GB 내장 메모리 그리고 안드로이드 6.0 마시멜로로 구동되고 있다고 한다. 2016년 1월 21일, 갤럭시 S 7세대로 추정되는 기기의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1274616|Geekbench 3 벤치마크 시스템 정보]]가 공시되었다. 기기명 네이밍 법칙에 의해, 캐나다 내수용으로 추정되며 [[삼성 엑시노스]] 8890을 탑재했다고 한다. 다만, 점수가 조금 빈약한지라(...) [[삼성 엑시노스]] 8890의 결함설과 테스트 상태로 인한 의도적인 다운클럭 상황이라는 설이 양립하고 있다.[* 일단, 역대 [[삼성 엑시노스]] 시리즈의 전례를 볼 경우, 전자보다는 후자일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2016년 1월 23일, 갤럭시 S 7세대로 추정되는 기기의 [[http://news.mydrivers.com/1/467/467415.htm|디스플레이 크기 정보]]가 유출되었다. 이는 인도 수출입통관 정보에서 미국 US셀룰러 내수용 모델이 확인이 되었기 때문이다. 플랫 모델은 5.1인치의 디스플레이 크기를 가졌고, 엣지 모델은 5.5인치의 디스플레이 크기를 가졌다고 한다. 2016년 1월 24일, 갤럭시 S 7세대로 추정되는 기기의 [[http://www.nowhereelse.fr/photo-samsung-galaxy-s7-prototype-112044/|디스플레이 패널과 전면 카메라 모듈]]이 유출되었다. 최종적으로 양산하기 직전의 시료 중 하나가 유출된 것으로, [[갤럭시 A 시리즈]] 2016년 에디션에 도입된 전면 요소들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2016년 1월 25일, [[삼성전자]]가 갤럭시 S 7세대에 [[http://osen.mt.co.kr/article/G1110340071|포스 터치 솔루션을 내장하지 않을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이는 [[안드로이드(운영체제)|안드로이드]] 자체에서의 지원과 서드파티 [[애플리케이션]]들의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고서는 호용성이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또한, 기기의 공개는 2016년 2월 21일에 개막하는 [[MWC]] 2016 직전에 진행될 것이고 정식 출시일은 2016년 3월 11일이 될 것이라고 한다. 2016년 1월 30일, 갤럭시 S 7세대로 추정되는 기기의 [[http://goo.gl/IX0QtK|렌더링 이미지]]가 유출되었다. 기존 내용대로 플랫 모델은 5.1인치의 디스플레이 크기를 가졌고, 엣지 모델은 5.5인치의 디스플레이 크기를 가졌다고 한다. 2016년 1월 31일, [[삼성전자]]가 갤럭시 S 7세대를 [[https://twitter.com/evleaks/status/693661550444466178|공개할 것으로 추정되는 날짜]]가 유출되었다. [[삼성 언팩]]에 대한 초대장이 유출된 것으로 2016년 2월 21일에 공개될 것이라고 한다. 다만, 유출된 내용으로만 볼 때, 정확한 시간이나 장소는 알 수 없다. 2016년 2월 1일, [[삼성전자]]는 2016년 2월에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삼성 언팩|삼성 갤럭시 언팩 2016]]을 개최하고 각 언론사에 [[http://news.samsung.com/kr/iIAAZ|초대장 겸 티저 이미지를 배포]]했다고 밝혔다. 한국 시각으로 2016년 2월 21일 오전 3시 30분에 [[MWC]] 2016가 개최되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진행된다고 한다. 이는 [[MWC]] 2016 개막 바로 하루 전인 시점[* 반대로 말해서 갤럭시 S 7세대는 엄밀히 말해 [[MWC]] 2016에서 공개되는 것이 아니다. 이는 전작인 [[갤럭시 S6]] & [[갤럭시 S6 엣지]]도 동일했다.]이다. 2016년 2월 1일, 갤럭시 S 7세대로 추정되는 기기의 [[http://www.itcle.com/2016/02/02/evleaks-유출된-갤럭시-s7과-s7-에지의-후면-이미지-공개/|렌더링 이미지가 추가로]] 유출되었다. 기존에 유출되었던 전면 이미지와 더불어 후면 이미지가 추가로 유출된 것으로, [[갤럭시 노트5]]와 동일하게 후면 엣지 디자인을 적용했다고 한다. 2016년 2월 5일, 갤럭시 S 7세대가 공개될 것으로 추정되는 [[삼성 언팩|삼성 갤럭시 언팩 2016]]의 티저 사이트 HTML 소스코드에서 [[http://www.kbench.com/?q=node/159755|갤럭시 S 7세대 소속 기기 2종과 360 비디오라는 키워드가 확인]]되었다. 2016년 2월 8일, 갤럭시 S 7세대로 추정되는 기기의 [[http://www.androidcentral.com/curvier-samsung-galaxy-s7-promises-and-pitfalls|실물 기기 후면 사진과 안투투 테스트 결과]]가 유출되었다. 특히, [[GPU]] 성능이 독보적으로 나타났으며 기기명을 볼 때, [[퀄컴 스냅드래곤]] 820 MSM8996을 탑재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한, [[https://twitter.com/OnLeaks/status/696939057218199552|실물 기기 측면 사진]]도 유출되었다. 2016년 2월 9일, 갤럭시 S 7세대 기기 중 엣지 모델의 배터리 용량이 [[http://www.phonearena.com/news/Galaxy-S7-Edge-FCC-file-confirms-a-large-3600-mAh-battery_id78151|3600 mAh인 것이 확인]]되었다. 미국 FCC 인증 문서를 통해 확인이 되었다고 한다. 2016년 2월 10일, 갤럭시 S 7세대 기기 중 엣지 모델로 추정되는 기기의 [[http://www.sammobile.com/2016/02/10/new-press-render-of-samsung-galaxy-s7-edge-leaks-in-grey/|렌더링 이미지]]가 유출되었다. 2016년 2월 14일, 갤럭시 S 7세대 기기 중 골드, 실버, 블랙 색상의 모델로 추정되는 기기의 [[http://www.fnnews.com/news/201602150830190806|전면 및 후면 렌더링 이미지]]가 유출되었다. 2016년 2월 16일, [[삼성전자]] 인도네시아 법인이 개설한 [[삼성 언팩|삼성 갤럭시 언팩 2016]] 티저 사이트를 통해 [[http://www.samsung.com/id/galaxylaunchpack/|갤럭시 S 7세대의 티저 이미지가 공개]]되었다. 총 4장의 이미지가 공개되었으며 보안 강화, 방수 방진 기능, 카메라 기능 강화 등을 강조하고 있다. 2016년 2월 16일, 갤럭시 S 7세대 기기 중 엣지 모델로 추정되는 기기의 [[http://www.phonearena.com/news/Claimed-Galaxy-S7-Edge-pops-up-with-prices-and-box-contents_id78373|실물 기기 사진과 박스 패키징 구성품 사진]]이 유출되었다. 이 중, 박스 패키징 구성품에 정체를 알 수 없는 젠더가 포함되어 있어서 어떤 용도인지 갑론을박이 펼쳐지고 있다. 2016년 2월 17일, 갤럭시 S 7세대 기기 중 플랫 모델로 추정되는 기기의 [[http://www.androidauthority.com/samsung-galaxy-s7-images-specs-video-673652/|실물 기기 사진과 구동 영상]]이 유출되었다. 또한, 일부 하드웨어 사양이 유출되었는데, micro SD 카드 슬롯이 [[SIM]] 카드 트레이와 통합되어 있으며 5.1인치의 디스플레이, 후면 1,200만 화소 카메라와 내장형 2800 mAh의 배터리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2016년 2월 19일, 갤럭시 S 7세대 기기 중 엣지 모델로 추정되는 기기의 [[http://www.sammobile.com/2016/02/18/silver-galaxy-s7-render-leaks-bottom-of-galaxy-s7-edge-pictured/|실물 기기 하단부 사진과 전면 사진]]이 유출되었다. 우선, 하단부는 전작인 [[갤럭시 S6]] & [[갤럭시 S6 엣지]]와 동일한 디자인을 가졌으며 USB Type-C는 탑재되지 않았다. 전면은 홈 버튼이 초대 기기인 [[갤럭시 S]]와 2세대 기기인 [[갤럭시 S II]]처럼 음각 형태로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2016년 2월 19일, 갤럭시 S 7세대 기기 중 엣지 모델로 추정되는 기기의 [[http://www.sammobile.com/2016/02/19/latest-galaxy-s7-edge-image-reveals-lockscreen-and-slim-bezels/|실물 기기 잠금 화면이 유출]]되었다. 이어서 갤럭시 S 7세대로 추정되는 기기의 [[http://www.sammobile.com/2016/02/19/new-leak-reveals-size-difference-between-the-galaxy-s7-and-the-galaxy-s7-edge/|실물 기기 전면 사진]]이 유출되었다. 2016년 2월 19일, 갤럭시 S 7세대 기기로 추정되는 기기의 기기 두께 수치가 유출되었다. 서드파티 악세서리 제조사에서 악세서리 공식 사이트를 일찍 오픈하면서 알려진 것으로, [[http://www.rearth.com/goods/view?no=916|플랫 모델]]과 [[http://www.rearth.com/goods/view?no=919|엣지 모델]] 모두 7.7 mm라고 한다. 2016년 2월 19일, 갤럭시 S 7세대 기기로 추정되는 기기의 [[http://www.sammobile.com/2016/02/19/galaxy-s7-and-galaxy-s7-edge-point-of-sale-banners-arriving-in-stores/|예약 판매 포스터]]가 유출되었다. 또한, 갤럭시 S 7세대로 추정되는 기기의 [[http://www.uswitch.com/mobiles/samsung_galaxy_s7_deals/|공식 렌더링 이미지로 추정되는 이미지]]가 유출되었다. 2016년 2월 20일, 갤럭시 S 7세대 기기로 추정되는 기기의 [[http://www.androidheadlines.com/2016/02/exclusive-the-samsung-galaxy-s7-s7-edge-from-every-angle.html|실물 기기 사진]]이 대거 유출되었다. 플랫 모델과 엣지 모델 모두 유출되었으며 기기명을 볼 때, 미국 내수용 중 [[AT&T]] 모델이 유출된 것으로 보인다. 2016년 2월 20일, 갤럭시 S 7세대 기기의 [[http://www.gsmarena.com/samsung_galaxy_s7_and_s7_edge_brochure_reveals_all_march_11_launch-news-16735.php|하드웨어 사양표]]가 유출되었다. 기존에 유출된 내용과 비슷하며 여기에 압력을 감지하는 [[디스플레이]]가 탑재되었으며 IP67 등급의 방수 방진을 지원한다고 한다. 또한, 정식 출시일은 2016년 3월 11일이 될 것이라고 한다. 2016년 2월 21일, 갤럭시 S 7세대 기기 중 엣지 모델을 이용해서 촬영했다고 주장된 [[https://youtu.be/4w8iKthB-rQ|4K 해상도 영상]]이 공개되었다. 2016년 2월 21일, 갤럭시 S 7세대 기기 중 엣지 모델의 [[https://youtu.be/pUvYUIchQvE|핸즈온 영상]]이 유출되었다. 삼성 갤럭시 언팩 2016이 임박한 상황에서 [[엠바고]]를 깼거나 업로드 과정에서 실수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일단, 해당 영상을 통해 'Always ON' 기능이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2016년 2월 21일 오후 1시 기준, 해당 영상이 삭제 된 상태이다. 2016년 2월 21일, 갤럭시 S 7세대 기기 중 엣지 모델로 추정되는 기기의 [[http://www.sammobile.com/2016/02/21/galaxy-s7-edge-retail-box-leaks/|박스 패키징 사진]]이 유출되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갤럭시 S7, version=241)] [[분류:삼성 갤럭시 S 시리즈]][[분류:공개 전 정보(스마트 기기)/삼성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