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개학, rd1=개학)] [목차] == 개요 == 학교에서 방학이나 휴교로 인해 한동안 수업을 하지 않았다가 다시 수업을 시작하는 날 행하는 식. 특별히 개학식을 하지 않아도 개학 날을 개학식이라고 표현한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이 날을 싫어한다.[* 다만 가정형편이 안 좋거나 가정폭력 등 아동학대가 잦은 집안의 경우 아동학대를 피하기 위해 개학을 좋아한다. 또한 학교 급식이나 학교 공부, 또는 친구들이랑 학교에서 노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도 있다. [[2020년]]에는 코로나로 인해 개학을 기다리는 사람이 많았다.] 반대로 대부분의 [[학부모]]들은 좋아한다.[* 점심 해결도 되고 공부도 하니.] 한국에서는 보통 1학기 개학은 '''[[3월 2일]]'''에 하며,[* 3월 2일이 일요일이면 3월 3일에 개학, 3월 2일이 토요일이면 3월 4일에 개학한다. 특이한 학교는 3월 2일이 금요일이면 아예 그 다음주 월요일인 3월 5일에 개학하기도 한다. ][* [[2020년]]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로 인해 사상 최초로 전국 단위로 모든 학교의 개학이 연기되었고, 모든 대학교의 개강 역시도 연기되었다. 처음에는 1주, 2주 단위로 연기되었으나, 사태가 장기화되자 개학은 무기한 연기되었다. [[3월 2일]]→[[3월 9일]]→[[3월 23일]]→[[4월 6일]] 총 3차례의 연기로 4월에는 개학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사태는 끝날 기미가 보이지 않았고, 결국 교육부에서는 전국의 모든 [[유치원]], [[초등학교|초]]·[[중학교|중]]·[[고등학교]]의 [[개학]]을 무기한 연기하고, 그 대신 휴업 장기화 대책으로 사상 초유의 '''온라인 개학'''을 실시하였다. [[4월 9일]]부터 [[4월 20일]]까지 학년별로 순차적으로 집에서 학교 강의를 수강하는 온라인 개학을 진행했다. 확진자가 100명 이내를 유지하자, 교육부는 [[5월 20일]]부터 고3을 시작으로 학년별로 순차적으로 '등교 개학'이라는 이름으로 '''진짜 개학'''을 실시했다. [[5월 27일]]에는 고2, 중3, 초1~2가, [[6월 3일]]에는 고1, 중2, 초3~4가, 마지막으로 [[6월 8일]]에는 모든 학생들이 실질적으로 학교에 등교할 수 있게 되었다.] 2학기 개학은 광복절 전후부터 늦게는 [[9월 1일]] 이전에는 한다.[* 모든 대학교가 2학기를 9월에 시작한다. 만약 9월 1일이 일요일이면 9월 2일에, 9월 1일이 토요일이면 9월 3일에 한다. 다만 어떤 학교는 9월 첫째주 월요일에 개학을 하기도 한다.] 보통 대학교는 9월 1일, 초등학교는 8월 20~26일경, 중학교, 고등학교는 8월 16일~20일경에 한다. 또한 [[봄방학]]이 있는 경우에는 1월 말~2월 초에도 한다. == 상세 == 이 날이 오면 학생들은 [[방학]]을 기다리게 된다.[* 사실 이것도 개학 며칠 후면 기다리는 것을 포기하고 잊히기 마련이다.] [[초등학생]]은 [[방학숙제]]를 못했다면 해야하고 [[중학생|중]]•[[고등학생]]들은 [[중간고사]]와 [[기말고사]]를 준비해야 된다. 게다가 2학기에 중3들은 [[인문계]]냐 [[특성화고등학교|실업계]]냐 진로에 대한 고민을 해야하고, [[고3]]들은 [[대학수학능력시험|인생 최대의 시험]]을 준비해야하니 여러모로 고생 시작이다. [[분류: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