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폐지된 행정구역)] ||<-3> '''[[경기도|{{{#000000,#dddddd 경기도}}}]]의 [[미수복 경기도|{{{#000000,#dddddd 미수복지역(군)}}}]]'''[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파일:미수복 경기도 개풍군 휘장.svg|height=65]]}}}||{{{#!wiki style="margin: -5px 0" '''{{{+1 개풍군}}}'''[br]開豊郡[br]{{{-1 Gaepung County}}}}}}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개풍군2.jpg|width=100%]]}}} || || '''군청 소재지''' ||<-2> [[개성시]] 남산동 || || '''광역자치단체''' ||<-2> [[경기도]] || || '''하위 행정구역''' ||<-2> 14[[면(행정구역)|면]] 90[[리(행정구역)|리]] || || '''면적''' ||<-2> 744.6㎢ || || '''인구''' ||<-2> 91,697명(1944년 호구조사) || || '''인구밀도''' ||<-2> 123.15명/㎢ || || '''명예읍·면장'''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8080; font-size: .8em" [[이북5도위원회|{{{#ffffff '''관선'''}}}]]}}} || 14석 || || '''홈페이지''' ||<-2> [[http://www.ibuk5do.go.kr/5do/frt/sub/popup/a08/kgCityIntroduceGeapung/screen.do|이북5도위원회 개풍군 소개]] || || [[파일:미수복 경기도 개풍군기.svg|width=100%]] || || '''{{{#fafd98 군기}}}''' || [clearfix] [목차] == 개요 == 개풍군은 [[경기도]] 북서부에 위치한 군이었다. [[북한]] 치하에서 [[개풍구역]], [[판문구역]], [[개성시]] 직할 지역으로 나뉘게 되었다. == [[이북5도위원회|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 == [include(틀:경기도의 기초자치단체)] [Include(틀:미수복 경기도의 하위행정구역)] [include(틀:경기도 개풍군의 행정구역)] [[경기도]]에 속한 군으로, 본래 14면이었으나 [[삼팔선]]이 그어지자 3북부의 영남면, 영북면, 북면을 제외한 11면으로 구성되었다가[* 38선 이남의 북면 일부 지역은 토성면에, 영남면 일부 지역은 장단군 진서면에 편입시켰다.], 그마저도 [[1953년]] [[정전 협정(6.25 전쟁)|휴전협정]] 조인으로 [[https://arca.live/b/city/33094380|중면 동강리의 극일부를 제외한]] 전 지역이 북한령이 되었다. 본 군의 [[예성강]] 연안은 [[옹진군(인천광역시)|옹진군]]과 [[강화군]]이 [[1995년]] [[인천광역시]]에 편입된 이후로는 명목상 경기도의 최서단 지역이 되었다. [[미수복 경기도]] 중 최남단 지역이며 개풍군의 최남단은 북위 37° 46′11''[* 북위 37.76°]에 위치해 있다.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보구곶리, [[의정부시]] 녹양동과 자금동, [[남양주시]] 수동면 북부, [[강원도]] [[평창군]] 북부, [[강릉시]] 북부, [[홍천군]] 서부에 위치한 [[오대산]] 국립공원과 비슷한 위도이다. === 구 개성군 지역 === * '''남면'''(南面) 면 소재지는 신리이다. 1914년 개성군 상남면과 하남면이 합병되어 형성되었다. 남서쪽으로 [[한강]]에 접하며, 서쪽으로 [[예성강]]을 건너 [[연백군]]을 바라본다. 창릉리에는 고려의 추존왕인 [[세조(고려)|세조 왕륭]]의 왕릉인 창릉이 있으며, 창릉리라는 이름의 기원이 되었다. 소속 리: __신(新)__·군은(軍隱)·창릉(昌陵)·후석(候石)·율응(栗鷹)·조제(照濟)·옥산(玉山)·장산(狀山)·수우(修隅) * '''북면'''(北面) 면 소재지는 여현리이다. 1914년 개성군 강남면과 북서면이 합병되어 형성되었다. 광복 후 면 남부지역이 남한지역이었으나, [[6.25 전쟁]] 후 북한지역이 되었다. 서쪽에 [[예성강]]이 흐른다. 여현리의 [[려현역]]은 38선 바로 북쪽에 있어서 한때 남북 간의 창구 역할을 하기도 했다. 또한 여현리에 종유동굴이 있다. 소속 리: __여현(礪峴)__·일삼소(一三所)·이소(二所)·용현(龍峴)·가토미(加土尾)·식포(食浦) * '''서면'''(西面) 면 소재지는 광정리이다. 서쪽으로 [[예성강]]이 흐른다. 개성리 산162 소재 백송은 천연기념물 81호이나, 미수복지역에 있음을 사유로 해제되었다. 강리에 개풍향교가 있었다. 연산리의 서쪽 끝, 예성강변에는 고려시대 무역항이었던 [[벽란도|벽란도(碧瀾渡)]]가 있다. 벽란도는 예성강 바로 건너편에 있는 [[황해도]] [[연백군]] 해월면 벽란리 이름의 기원이다. 소속 리: __광정(光井)__·연산(蓮山)·강(江)·'''개성'''(開城)[* [[개성시/역사]] 문서 참조. [[삼국시대]]의 개성이 바로 이 곳이며, 고려의 도읍 이래 현 개성시내는 원래 '송악'이라 불리는 별개의 고을이었다.]·전포(錢浦) * '''영남면'''(嶺南面) 면 소재지는 용흥리이다. 1914년 개성군 영남면이 동부면을 흡수하여 형성되었다. 개성 시가지 북쪽에 있다. 용흥리에 복원된 [[영통사]]가 있다. 또한 영남면에는 [[고려]]시대에 현화사가 있었다. 전쟁 전 38선으로 분단되면서 개풍군 본토와는 개성시를 사이에 두고 월경지가 되어버렸고 남한에서는 임시로 장단군 진서면에 편입하여 관리했었다. 소속 리: __용흥(龍興)__·소릉(昭陵)·반정(伴程)·심천(深川)·현화(玄化)·대원(大院) * '''영북면'''(嶺北面) 면 소재지는 길수리이다. 개풍군의 북쪽 끝에 있는 면으로 황해도 [[금천군]], 경기도 [[장단군]]과 경계를 이룬다. 제석산, 천마산, 월양산, 국사봉 등 주로 산지로 이루어져 있다. 길상리 천마산에 대흥산성이 있으며, 부근에 박연폭포와 관음사가 있다. 소속 리: __길수(吉水)__·길상(吉祥)·고덕(古德)·월고(月古) * '''청교면'''(靑郊面) 면 소재지는 양릉리이다. 개성의 바로 남쪽 교외이므로 왕릉과 유적이 많다. 이 중 고려 20대 국왕 [[신종(고려)|신종]]의 왕릉인 양릉과 고려 16대 국왕 [[예종(고려)|예종]]의 왕릉인 유릉은 소속 [[리(행정구역)|법정리]] 명칭의 기원이 되었다. 소설가 [[박완서]]의 출신지. 소속 리: __양릉(陽陵)__·탄동(炭洞)·배야(排也)·유릉(裕陵)·광답(廣畓)·묵송(墨松) * '''토성면'''(土城面) 면 소재지는 토성리이다. 1914년 개성군 중서면이 서부면을 흡수하여 형성되었고, 1938년 토성면으로 개칭되었다. 토성리는 [[개풍역|토성역]]의 소재지로, 북한 치하에서 개풍군의 중심지가 되었다(개풍읍). 개성의 서쪽 교외이므로 왕릉과 유적지가 산재하는데, 여릉리에 [[고려]]시대에는 국청사가 있었고, 현재 고려 태조 [[왕건]]의 릉인 현릉(顯陵), [[공민왕]]의 현릉(玄陵), [[노국공주]]의 정릉(正陵)이 소재한다. 소속 리: __토성(土城)__·여릉(麗陵)·곡령(鵠嶺)·연하(煙霞) === 구 [[풍덕군]](豊德郡) 지역 === 풍덕은 원래 '해풍(海豊)'과 '덕수(德水)'[* [[덕수 이씨]]의 '덕수'가 이곳을 말한다.]의 두 고을이었다가, [[조선]] [[세종(조선)|세종]] 때 통폐합되면서 해풍의 '풍'과 덕수의 '덕'을 따서 명명되었다.[* 이런 식으로 만들어진 고을이 많은데 고봉과 덕양을 합한 [[고양시]], 의창과 회원을 합한 [[창원시]], 용구와 처인을 합한 [[용인시]], 무풍과 주계를 합한 [[무주군]] 등이 있다.] * '''광덕면'''(光德面) 면 소재지는 고척리이다. 1914년 풍덕군 서면과 군중면의 일부가 합병되어 형성되었다. 남서쪽으로 [[한강]]을 건너 [[강화도]]를 바라본다. 과거 경천사가 중련리에 소재해 있었고 [[경천사 10층 석탑]]이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소속 리: __고척(高尺)__·중련(中連)·광덕(光德)·황강(黃江)·사분(寺盆) * '''대성면'''(大聖面) 면 소재지는 풍덕리이다. 1914년 풍덕군 군내면과 군중면의 일부가 합병되어 형성되었다. 구 해풍현 및 풍덕군의 중심지로, 남서쪽으로 한강을 건너 강화도와 마주한다. 남동부에 백마산(191m)을 중심으로 구릉지가 있으나 대부분 평지다. 소속 리: __풍덕(豊德)__·대성(大聖)·삼달(三達)·고도(古都)·산귀(山歸)·지내(池內)·구읍(舊邑)·신죽(新竹) * '''상도면'''(上道面) 면 소재지는 풍천리이다. 1914년 풍덕군 군북면이 상도면으로 개칭되었다. 구릉이 기복되는 지대로, 왕릉은 아니지만 풍천리에 조선 태조의 첫 부인이자 정종, 태종의 모후인 [[신의왕후]] 한씨의 능인 제릉(齊陵)이 있다. 소속 리: __풍천(楓川)__·삼인(三仁)·상도(上道)·양사(羊司)·연동(蓮洞)·대릉(大陵) * '''임한면'''(臨漢面) 면 소재지는 월암리이다. 1914년 풍덕군 서면이 임한면으로 개칭되었다. [[임진강]]과 [[한강]]이 만나는 곳으로, 면의 이름 역시 두 강의 이름에서 한 글자씩 딴 것이다. 동쪽은 [[임진강]]을 건너 [[파주시|파주]]를 바라보며, 남쪽은 [[한강]]을 건너 [[김포시|김포]]반도를 바라본다. 대체로 평야지대이고 인삼과 배추가 많이 나서 6.25전쟁 이전 [[대한민국]] 통치시절에는 여기서 생산되는 농작물을 서울로 많이 반출했다고 한다. 한강과 임진강이 만나는 정곶리(림한리)는 '''[[서울특별시|서울]]에서 가장 가까운 북한 땅'''으로, [[서울시청|서울시청]]과는 직선거리로 불과 '''38km'''[* 서울시청에서 [[동두천시|동두천시청]], [[가평군]] [[대성리역]], [[용인시]] [[에버랜드]], [[인천광역시]] [[송도국제도시]] 및 [[영종도]] 등과의 직선거리와 비슷하다.]밖에 떨어져 있지 않다. 파주 [[오두산통일전망대]] 및 [[자유로]] [[성동IC]] 구간에서 임진강 건너 보이는 땅이 바로 이 곳이며, '곶'이라는 이름답게 서울 쪽을 향해 삐죽 튀어나와 있다. 월암리에 [[민제]]의 묘가 있다. 1951년 7월 국군 1사단과 해병대가 개풍군 일부를 점령했으나 곧이어 북한군의 대공세에 포위되어 한강하구가 자연방어선이 되었고 이후 휴전협상으로 중부/동부 전선과달리 유엔군이 공세를 가하기 어렵게되어 결국 이북땅이 되고말았다. 소속 리: __월암(月巖)__·사동(仕洞)·채련(採蓮)·가정(佳井)·정곶(丁串)·유천(柳川)·상조강(上祖江)·하조강(下祖江) ||<-2> [include(틀:지도, 장소=암실 North Korea, 높이=224px, 너비=100%)] || * '''중면'''(中面) 면 소재지는 대룡리이다. 옛 덕수현의 소재지. 임한면과 마찬가지로 동쪽으로 임진강을 건너 [[파주시]] 탄현면과 접하며, 임진강을 사이에 둔 둘 사이의 최단거리는 불과 '''650m'''에 불과하다. 동강리 극히 일부는 휴전선 이남 지역이지만 법정리로 등록되어 있지는 않다.[[https://arca.live/b/city/33094380|#]][* 댓글에는 개풍군이 아주 조금 수복되었다고 적혀있지만 사실 분단 직후부터 원래 남한 땅이었으니 엄밀히 말하면 '''나머지 개풍 지역은 다 뺏기고 남아있는 게 동강리 극일부'''라고 볼 수 있다(...).] 소속 리: __대룡(大龍)__·식현(食峴)·덕수(德水)·송산(松山)·천덕(天德)·창내(倉內)·동강(東江) * '''흥교면'''(興敎面) 면 소재지는 영정리이다. 1914년 풍덕군 군남면과 동면이 합병되어 형성되었다. 남서쪽으로 한강을 건너 강화도를 바라본다. 흥교리에 조선 [[정종(조선)|정종]]의 능인 [[후릉]](厚陵)이 있다. 소속 리: __영정(領井)__·흥교(興敎)·궁천(宮川)·사곡(仕谷)·지현(芝峴)·조문(照門)·흥천(興天) === 구 개성군 + [[풍덕군]] 지역 === * '''봉동면'''(鳳東面)[* [[전라북도]] [[완주군]]의 봉동읍(鳳東邑)과 같은 한자를 사용한다.] 면 소재지는 봉동리이다. 1930년 개성군 동면(고두산·대조족·발송·백전리)과 진봉면(봉동·도평·지금·흥왕리)이 합병되어 형성되었으며, 1914년 부군면 통폐합 이전에는 동면이 개성군, 진봉면이 풍덕군 지역이었다. [[서울시|서울]]·[[장단군|장단]] 방면에서 [[개성시|개성]]으로 들어가는 관문이다. 그런 입지조건 때문에 현재 [[개성공단]]이 들어서 있는 곳이다. 봉동리와 지금리에 [[경의선]] [[봉동역]]과 [[판문역]]이 있으며, 흥왕리에 [[흥왕사]]터가 있다. 해발 200m인 덕물산(德物山)에는 [[최영]] 장군을 모신 사당이 있다.[* 덕물산은 중부지역 무당들의 제일가는 성지였다. "[[택리지]]" 등에 의하면 사당 곁에 침실을 꾸며서 민간의 처녀를 뽑아 신령의 '아내'가 되게 하는 풍습이 있었다고 하나, 조선 말기에는 사라졌다.] 소속 리: __봉동(鳳東)__·고두산(高頭山)·대조족(大鳥足)·도평(都平)·발송(鉢松)·백전(白田)·지금(芝金)·흥왕(興旺)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개풍구역, version=188)] [[분류:경기도의 폐지된 행정구역]][[분류:이북 5도]][[분류:개성시의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