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게임 용어]][[분류:저작권 침해]][[분류:MOD]] [목차] == 개요 == {{{+2 [[改]][[造]]ROM / ROM Hack}}} 콘솔 및 휴대용 [[게임]]의 [[롬 파일]]을 추출, [[리버스 엔지니어링]]을 거쳐 리소스를 수정하는 일종의 [[해킹]]. [[일본]]에서는 개조 롬 / 핵 롬(ハックロム)으로 부르며, 영미권에서는 롬 해킹(ROM Hacking)으로 부른다. 경우에 따라서는 [[MOD(게임 용어)|MOD]]의 일종으로 보기도 한다. 개조 롬은 일반적으로 이동식 [[ROM|롬 메모리]](CD 롬, DVD 롬 등)에 있는 게임 등 응용 프로그램을 커스텀 하는 경우라 보드에 내장된 [[ROM|롬 메모리]]에 저장된 [[펌웨어]]를 모딩하는 [[커스텀 펌웨어]]와 다르다. == 상세 == 게임의 텍스트 또는 그래픽, 사운드 등의 리소스를 다른 것으로 대체하거나, 때에 따라 롬 데이터를 분석해 개발 단계에서 [[더미 데이터|사용되지 않은 데이터]]를 불러와 활용하거나, 한 걸음 더 나아가 시스템 등 게임의 심층적인 요소까지 건드려 [[마개조|거의 새로운 수준의 게임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합팩]] 등에서 회사 명칭을 지우거나 타이틀 화면이나 글자 등 일부 내용을 바꾸거나 같은 게임을 게임 시작 지점을 바꾸거나 목숨 수를 늘리는 것도 개조 롬에 해당된다. 당연히 이는 저작권 문제를 회피하기 위하여, 그리고 같은 게임을 여러 개 수록하여 게임이 여러 개 들어있는 것처럼 사기를 치기 위해 개조한 것이다. 소스만 차용해서 [[괴작]]을 새로 만든 [[이미테이션 게임]]과는 미묘하게 다르면서도 나은 편이다. 이미테이션 게임은 원작과 닮거나 부족하게 베꼈을 뿐이라 게임성이 부족하지만, 개조 롬은 원판을 기초로 삼는 만큼 게임성도 어느 정도 유지되기 때문이다.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소닉]] 개조 롬과 [[소마리]] 중 어느 쪽이 더 나은지 생각해 보면 쉽다. [[동인(문화)|동인]] 쪽에서도 종종 만들어낸다. 소스가 되는 게임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대표적으로는 [[슈퍼 마리오 시리즈]]나 [[록맨 시리즈]] 등이 있다. 당연하지만 개조 롬의 배포 및 공개는 불법이다. 배포는 [[저작권]] 문제가 있거니와, 그것을 [[동영상]]이나 [[스크린샷]] 등으로 공개하는 것 또한 원작의 이미지를 손상시키거나 원작과 혼동을 일으킨다는 이유로 문제가 있다는 모양.[* 이것은 앞서 말한 [[이미테이션 게임]]도 마찬가지고 실제 시장에서도 여러가지로 사기를 많이 쳤다.] 단 [[닌텐도]]는 롬 추출 및 해킹에 대한 제재를 완화했다. 닌텐도의 정책 변경 덕분인데, 롬 배포만 아니면 일단은 괜찮은 듯하다. 그런 탓에 주로 개조된 롬 파일을 배포하기보다는 [[패치]] 파일(대표적으로는 [[IPS]])만을 배포한다. 개조 롬 파일을 원하는 사람이 롬 파일 패치 툴을 이용해서 패치 파일을 원본 롬 파일[* 당연하겠지만 롬 파일은 본인이 소유한 정품 미디어에서 덤프를 한 파일만이 합법적인 경로이다.]에 덮어씌우는 방식[* 물론 원본 [[롬 파일]]은 [[백업]]해야 한다. 안 그러면 덮어쓰다 손상되고도 복구하질 못해서 망할 수 있다.]으로 직접 개조 롬 파일을 만드는 방식이다. 일단 제작 툴 자체를 배포하는 건 불법이 아니기 때문에 [[https://www.romhacking.net/|롬해킹넷]]에 접속하면 개조 툴 자체는 쉽게 구할 수 있다. 팁도 많이 나와 있으니 관심 있는 사람은 해당 사이트를 방문해 보자. 드물지만 경우에 따라 개조 롬이 팬덤에서 준공식적인 인식으로 받아들여지는 경우도 있는데, [[테크노스 저팬]]이 망한 후 [[열혈 시리즈]]의 판권이 붕 떠버린 당시 [[지적재산권]]을 소유했던 밀리언에서 [[다운타운 열혈물어 EX]]를 사실상 미완성판으로 출시한 후, 열혈 시리즈의 원작 스텝이 일부 소속된 동인 집단 미라클 키즈에서 《패러디☆판 2007 스페셜 다운타운 열혈물어 EX》이라는 이름으로 열혈물어 EX의 개조 데이터를 배포한 적이 있었다. 현세대 게임기라면 업데이트로 해결할 수 있지만 업데이트가 불가능한 기종인 [[게임보이 어드밴스|GBA]]로 나왔기 때문에 일어난 어이없는 일로, 미완성판을 만들어 놓고 공식에서 완전판에 가까운 사양의 개조 데이터가 담긴 '''에뮬 전용 패치 파일'''로 완전판을 내놓아 정품을 구입한 사람들만 바보로 만든 전무후무한 사례이다. 다만 업데이트가 불가능하던 시절에도 완전판을 내놓을 때에는 [[코에이]]처럼 확장판을 따로 패키지 형식으로 내놓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진삼국무쌍 시리즈]]의 맹장전이나 [[삼국지 시리즈]]의 파워업 키트 등.] 원래라면 어디까지나 동인 [[2차 창작]]의 영역이지만, 해당 동인집단의 특수성에 의해 인식이 달라졌던 사례. 다만 이는 [[오와콘]]이라 추억팔이로 겨우 명맥을 잇고 있는 열혈 시리즈의 특수성에 기반한다. 즉 완전판도 정식으로 패키지로 발매하지 못할 정도로 매우 영세한 상황이었던 것이다. * [[유튜브 크리에이터|유튜버]] [[https://www.youtube.com/@AntDude92|AntDude]]의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3vi6lIBMRSbQ-IEDk-TDhDVnf0dYzv8l|개조 롬 리뷰 영상 모음]] == [[아케이드 시스템|아케이드 기판]] 개조 롬 == 전자오락실을 다니던 1977년부터 1990년대까지 전자오락실에서 보거나 플레이한 개조 롬 게임의 목록. [[MAME]]로 실행이 되지않는 게임은 실증이 어렵겠지만, 리스트를 작성해 보았다. 목록은 (개조 게임 - 원본 게임). 일부 타이틀이 한글인 것은 개조판 제목이 한글이란 의미. ※는 MAME 최신 버전(0.222 이상)으로 실행되는 것. * Frog Block (1978) - [[브레이크아웃|Break Out]] (1976, 아타리) * Sing Along (1979) - Bom Bee (1978, 남코) * Space Phantoms (1979) - [[오즈마 워즈|Ozma Wars]] (1979, SNK) * Invader Galaxian (1980) - [[갤럭시안|Galaxian]] (1979, 남코), [[스페이스 인베이더|Space Invaders]] (1978, 타이토) * Disco Invaders (1980) - Space Wars (1979, 산리츠) * Phoenix 흑백 버전 (1981) - [[Phoenix(게임)|Phoenix]] (1980, 암스타 전기, 타이토) * E.T Gallag (1982) - [[갤러그|Galaga]] (1981, 남코) * 손오공 Gallag (1983) - Galaga (1981, 남코) * Victor (1984) - Galaga (1981, 남코) * Irion (1983) - [[엑세리온|Exerion]] (1983, 쟈레코) ※ * 전투기 (1983) - Espial (1983, Thunderbolt) * Candori (1983) - Ponpoko (1982, Sigma Ent.) ※ * 태권도 (1984) - 空手道 (1984, 데이터 이스트) * Worldcup Soccer (1984) - Exciting Soccer (1983, 알파 전기) * 개미 (1985) - Perporman (1985, 데이터 이스트) * 新入社員 석돌이 (1985) - [[신입사원 토오루군|新入社員とおるくん]] (1984, 코나미) ※ * 석돌이 모험 (1985) - Go Go Yamaguchi Kun (1985, 카네코 & 타이토) * 석돌이 검도 (1985) - Samurai 日本一 (1985, 카네코 & 타이토) * 청춘 1번지 (1985) - [[청춘 스캔들|青春スキャンダル]] (1985, 세가 & 코어랜드) ※ * Final Crash (1990) - [[파이널 파이트|Final Fight]] (1989, 캡콤) * 三国志II (1992, 해킹판) - [[천지를 먹다 2|天地を食らうII]] (1992, 캡콤) * Jurassic (1999) - [[캐딜락&다이노소어|Cadillacs & Dinosaurs]] (1993, 캡콤) == [[나무위키]] 내에서 문서가 작성되어 있는 개조 롬 == * [[MOTHER 2: 기그의 역습]] * [[Radiation's Halloween Hack: Bad Fur Day Edition]] * [[더 킹 오브 파이터즈 시리즈]] * [[더 킹 오브 파이터즈 '98 ECK]] * [[록맨 시리즈]]([[록맨 시리즈/팬 게임 및 패러디 게임]] 문서 참조) * [[록맨 4 마이너스 인피니티]] * [[록맨 CX]] * [[사가 시리즈]] * [[로맨싱 사가 3 개조판]] *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 *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개조 롬]] * [[슈퍼로봇대전 시리즈]] * [[제4차 슈퍼로봇대전/개조 롬|제4차 슈퍼로봇대전 改]] * [[슈퍼 마리오 시리즈]] *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3]] * [[Super Mario Bros. 3 Mix]] * [[슈퍼 마리오 월드]]([[Lunar Magic]] 문서 참조) * [[동방 마리오]] * [[막장 마리오]] * [[슈퍼 키티쿠 마리오]] * [[Cool or Cruel]] * [[Super Demo World: The Legend Continues]] * [[슈퍼 마리오 64]] * [[슈퍼 마리오 74]] * [[슈퍼 마리오 74 익스트림 에디션]] * [[슈퍼 마리오 트레저 월드]] * [[Super Mario Treasure World: Dream Edition]] * [[슈퍼 마리오 스타 로드]] * [[뉴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 [[Newer Super Mario Bros. DS]] * [[뉴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Wii]] * [[Newer Super Mario Bros. Wii]] * [[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 * [[슈퍼 스매시브라더스 프로젝트 M]] * [[스트리트 파이터 2 대쉬]] * [[스트리트 파이터 2 대쉬/해적판|강룡]] * [[여신전생 시리즈]] * [[진 여신전생 2K]] * [[진 여신전생 한글개조판]] * [[젤다의 전설 시리즈]] * [[BS 젤다의 전설 시리즈]][* 게임 자체는 원래 개조 롬이 아니지만, 이를 [[에뮬레이터]] 및 실기 [[슈퍼 패미컴]]으로 플레이할 수 있게 만든 개조 롬이 무수히 많고, 현 시점에서는 이러한 개조 롬으로밖에 게임을 플레이할 수가 없다.] *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 문서로는 따로 개설되지는 않았지만 [[파이널 판타지|파판 1편]]의 개조 롬인 [[파이널 판타지#s-7.1|Ludmeister 밸런스 모드]]가 [[나무위키]] 내에서 설명되어 있기도 하다.] * [[파이널 판타지 5 개조판]] * [[파이널 판타지 VI/개조 롬|파이널 판타지 VI T-Edition]] - 파이널 판타지 6의 개조 롬 * [[Return of the Dark Sorcerer]]: [[파이널 판타지 6]]의 개조 롬 * [[파이어 엠블렘 열화의 검]] [[파이어 엠블렘 열화의 검#s-11|관련 문서 참조.]] * [[포켓몬스터]] 시리즈 다양한 개조 롬이 존재한다. [[포켓몬스터/2차 창작#s-2.2|관련 문서 참조.]] * [[풍래의 시렌 시리즈]] * [[FD2FS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