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임권택 감독 장편 연출 작품(1980년 이후 제작))] ||<-5><#edd200> {{{+1 '''{{{#000000 역대}}}''' [[대종상|[[파일:daejongfilmawards_logo.png|width=120]]]]}}} || ||<#ffffff,#191919><-5> [[파일:daejongawards.png|width=50]] || ||<#edd200><-5> {{{#000000 '''최우수작품상'''}}} || || 제29회[br]([[1991년]]) || {{{+1 →}}} || '''제30회[br]([[1992년]])''' || {{{+1 →}}} || 제31회[br]([[1993년]]) || || [[젊은 날의 초상(1991년 영화)|젊은 날의 초상]] || {{{+1 →}}} || '''개벽''' || {{{+1 →}}} || [[서편제(영화)|서편제]] || ||<#edd200><-5> || ||<-2>
{{{+1 '''개벽'''}}} (1991)[br]開闢 | ''Fly High Run Fa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개벽 포스터.jpg|width=100%]]}}} || || '''감독''' ||[[임권택]] || || '''각본''' ||[[김용옥]] || || '''기획''' ||김진문 || || '''제작''' ||한용수 || || '''주연''' ||[[이덕화]], [[이혜영(1962)|이혜영]], [[김명곤]] || || '''촬영''' ||정일성 || || '''조명''' ||차정남 || || '''편집''' ||박순덕 || || '''음악''' ||신병하 || || '''미술''' ||도용우 || || '''제작사''' ||춘우영화주식회사 || || '''개봉일''' ||[[1991년]] [[9월 21일]] || || '''개봉관''' ||[[대한극장]] || || '''관람인원''' ||45,566명 || [목차] [clearfix] [clearfix] == 개요 == [[임권택]] 감독의 1991년 개봉 영화. [[동학]] 제2대 교주 [[최시형]]의 일대기를 그린 작품이다. 최시형 역에 [[이덕화]], [[전봉준]] 역에 [[김명곤]], 최시형 부인 역에 [[이혜영(1962)|이혜영]]이 캐스팅되었다. 도올 [[김용옥]]이 원작 시나리오를 쓰고 동학 연구의 대가 표영삼의 자문을 받아 완성되었다. [[대종상]] 최우수작품상을 차지했고, 임권택 감독은 [[청룡영화상]]과 [[춘사영화제]] 감독상을, [[이덕화]]는 [[대종상]]과 [[춘사영화제]] 남우주연상을 수상하는 등 작품성과 이덕화의 호연은 인정을 받았으나 흥행에서는 실패했다. == 등장인물 == * [[이덕화]] - 해월 [[최시형]] 역 * [[이혜영(1962)|이혜영]] - 해월 본처 손씨 역 * 박지훈 - 강수 역 * [[김명곤]] - [[전봉준]] 역 * 이석구 - 판옥 역 * [[최동준]] - 계동 역 * [[김길호]] - 수운 [[최제우]] 역 * 김기주 - [[이필제]] 역 * [[기정수]] - 이무중 역 * [[박웅(배우)|박웅]] - 정석현 역 * 오영화 - 안동 김씨 역 * 홍원선 - 작은 손씨 역 * [[한영수(배우)|한영수]] - [[손병희]] 역 * [[이기영(배우)|이기영]] - 손천민 역 * [[최종원]] - [[손화중]] 역 * 이성훈 - 남계천 역 * [[송용태]] - [[어윤중]] 역 * 정영철 - 서병학 역 * 이기열 - 서인주 역 * 김찬구 - 오지영 역 * [[손호균]] - [[김개남]] 역 * 송영호 - 김연국 역 * [[김학철(배우)|김학철]] - 서헌순 역 == 줄거리 == [[동학]]의 1대 교주 수운 [[최제우]]([[김길호]] 분)가 [[혹세무민]] 죄로 처형당하고, 2대 교주 해월 [[최시형]]([[이덕화]] 분)은 관의 추적을 받으면서도 동학을 널리 알리기에 여념 없다. 민중 생활은 더욱 궁핍해지고, 민중의 지지를 받던 동학이 계속 탄압당하자, 해월은 혼자 [[태백산]]으로 숨고, 부인 손씨([[이혜영(1962)|이혜영]] 분)와 네 딸들은 전국에 [[조리돌림]]을 당하는 수모를 겪는다. 이 소식을 들은 해월은 부인이 죽었으리라 생각한다. 더 깊은 산중에 숨은 해월은 그를 돌보던 노인의 과부 며느리 안동 김씨(오영화 분)와 결혼한다. 강시헌 선생과 재회한 해월은 다시 도주해서 동학의 경전을 출판한다. 그리고 죽은 줄 알았던 손씨 부인과 재회하지만, 기쁨보다는 안동 김씨를 생각하며 고민한다. 정부의 삼정 문란은 날이 갈수록 심화되어, 민중들의 분노는 [[동학 농민 혁명|동학란]]으로 이어진다. 그리고 1898년 수많은 군중이 지켜보는 가운데 해월은 교수형을 당한다. == 수상 == * 1991년 * 제12회 [[청룡영화상]] 감독상([[임권택]]) · 촬영상(정일성) * 제36회 [[아시아-태평양 영화제]] 미술감독상(도용우) * 제2회 [[춘사영화제]] 감독상([[임권택]]) · 남우주연상([[이덕화]]) · 음악상(신병하) * 1992년 * 제30회 [[대종상]] 최우수작품상 · 남우주연상([[이덕화]]) · 조명상(차정남) · 미술상(도용우) · 특별상-연기상(주상호) (총 5개 부문) * 제28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인기상([[이덕화]]) * 제12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촬영상(정일성) [[분류:1991년 영화]][[분류:한국의 전기 영화]][[분류:한국의 역사 영화]][[분류:조선/창작물]][[분류:죽기 전에 꼭 봐야 할 한국영화 1001]][[분류:임권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