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Garage == [[차고]]를 뜻하는 영어 단어. 번역시 그대로 차고라고 번역하면 대부분 무난하지만, 수많은 외국어 단어들이 그렇듯 문화적 차이로 인한 의미 차이가 존재하는 것은 염두에 두어야 한다. 공동주택이 주 생활 터전이 된지 오래인 한국에서는 차고가 주차장이나 거의 같은 의미이지만, 단독주택 문화가 여전히 강세인 서양에서는 벽과 지붕이 있으며 자신 및 가족만 사용할 수 있는 독립 형태의 차고를 주로 의미하며, 그런 이유로 이 단어가 (임시변통된) 창고나 작업실의 의미도 일부 겸한다. 그래서 개러지라는 단어가 붙은 파생어들을 보면 자동차보다는 창고나 작업실과 관련된 것들이 더 많다. 개러지 밴드[* 동명의 1인 밴드용 앱도 있다.]라든지, 개러지 오피스, 개러지 세일 등. 이들은 해당 일을 할만한 공간이 없어 개러지를 음악실/집무실로 사용했다거나, 창고에 박아두었을법한 안 쓰는 물건들을 가정 단위로 파는 행위[* 실제 판매를 개러지에서 하기도 한다.]를 각각 의미한다. 차를 넣는 공간을 저렇게 써버리면 차는 어디에 두냐고? 그냥 집 앞 거리에 놔둔다. 물론 개러지가 두 개 이상 딸렸거나, 차 여러 개가 들어갈 수 있는 큰 개러지가 있는 집들도 많으며 이런 곳들은 개러지를 다른 용도로 사용하기가 더 편하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쓰임새가 많다보니 부동산 시장에서는 별도의 차고가 있으면 반드시 이를 명기하며, 아예 개러지만 따로 임대하기도 한다. 서양 공동주택에도 개러지가 존재하기는 하는데, 공동주택 특성상 창고 역할까지는 가능해도 사무실이나 음악실 용도로 사용하기는 아무래도 무리. 서양 공동주택은 임대용이 많아 저런 용도로 쓰기 위한 개조 자체가 애초에 어렵다. 다만 어쨌든 폐쇄된 독립 공간이므로 부족한 공동주택 공간을 보충하기 위해 대충 AV룸처럼 쓰거나, 운동기구를 갖다놓고 운동을 하는 등의 사례들은 있다. 한국내에선 [[영국식 영어]] 독음법인 개러지(gǽraːdʒ)라는 독음으로 널리 쓰이지만, [[미국식 영어]] 독음으로 읽으면 거라지(gəráːdʒ )에 더 가깝게 들린다. == 록 음악의 장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개러지 록)] == UK 개러지 ==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APurringAndPiquantBulb, 합의사항1=최상단 예시의 영상 직접 삽입은 3개이하까지\, 이외에는 링크처리시 허용으)] UK Garage. 1980년대 중반 [[미국]] 뉴욕의 US 개러지(개러지 하우스)가 영국에 유입되어 1990년부터 [[영국]]에서 시작된 음악 중의 하나. 1990년대 영국의 [[해피 하드코어]]와 [[정글]]을 중심으로 한 광란의 레이브 파티에서 벗어나 좀 더 차분한 분위기를 원한 이들을 위해 탄생했다. [[하우스(음악)|하우스]]에 영향을 받았으나 [[정글]]의 요소도 같이 섞이면서 퍼커션, 킥 드럼 등의 샘플을 이질적으로 사용하여 인기를 얻었으며 이는 이 장르에 영향을 준 [[정글]], UK 개러지에서 영향을 받은 영국식 힙합 [[그라임]]등의 영향을 또다시 받아 [[덥스텝]][* 특히 UK 덥스텝] 등으로 이어진다. 아티스트로는 [[Burial]], MJ Cole, [[디지 라스칼]], 아트풀 다저(Artful Dodger), [[크레이그 데이빗]]이 유명하다. 2013년 형제 프로듀싱 듀오인 [[디스클로저]]가 데뷔 앨범 [[Settle]]을 발매하면서 UK 개러지의 부흥을 일궈냈다. 데뷔 초기의 [[샘 스미스]]와 협업한 Latch, Omen 등이 이들의 대표곡. 다만 UK 개러지 색채가 많이 약해서 몇몇 곡은 하우스와 유사하다. Waterfall ft. Raye[[https://youtu.be/c1zN-sEUc68|#]] 같은 곡들이 대표적이다. 2020년대 [[NewJeans]]의 [[OMG(NewJeans)|OMG]], [[New Jeans(노래)|New Jeans]], [[Cool With You]] 또는 [[NMIXX]]의 [[Party O'Clock]][* 정확히는 세부 장르인 투 스탭 개러지에 가깝다.] 등 K팝에서도 UK 개러지 장르의 곡이 등장하고 있다. 이로써 한국에서도 [[UK 드릴]]과 함께 대중적인 장르로 도약할 것으로 보인다. [[https://www.youtube.com/watch?v=5wj6taJlsIQ|Grant Nelson - Move This Rhythm (Dirty Club Mix)]] [[https://www.youtube.com/watch?v=CmgkuA_BrrA|Somore (feat. Damon Trueitt) - I Refuse What You Want (Industry Standard Club Mix)]] [[https://www.youtube.com/watch?v=qYlckd0vYcs|TruStep - Boy I Know]] [[https://www.youtube.com/watch?v=wtHdocUZRos|Tuff Jam Experience - Experience (Classic Anthem Mix)]] [[https://www.youtube.com/watch?v=nJ1VIvUOxgw|M-Dubs - Over You (Vocal Mix)]] [[https://www.youtube.com/watch?v=yuWDZIeS840|숀 (SHAUN) - 생각나 (feat. 오반 (OVAN) & SUMIN)]] === 세부 장르 === [[파일:UKG-Tree.png]] ==== [[하우스(음악)#s-2.1|개러지 하우스]], 뉴욕 하우스 ==== 초기 UK 개러지의 모체가된 장르로 New York house, US 개러지로 불린다. 미국의 뉴욕을 중심으로 개발되고 발전한 장르다. 이 장르는 1990년대 영국에서 인기를 끌며 UK 개러지의 형성을 이끌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yRL6hOx2VkM|Subject - The Magic, The Moment (Momental Mix)]] [[https://www.youtube.com/watch?v=IaMz-C7tflA|Velma Wright - You're Not Right (Instrumental Dub)]] ==== 투 스텝 개러지 ==== [[https://www.youtube.com/watch?v=dJES8ffap14|Horsepower Production - Let's Dance]] [[https://www.youtube.com/watch?v=peTKQlQfq4U|Seven Wonders - Crazy]] [[https://www.youtube.com/watch?v=gRUyr9nb2VI|DJ Q - Something]] 2-Step Garage. 기본적으로 [[four-on-the-floor]]이나, 1번째와 3번째에, 또는 정통적인 [[드럼 앤 베이스]]처럼 킥드럼을 쑤셔넣고, 2번째와 4번째에 킥드럼 없이 스네어 드럼이 들어간다. 4분의 4박자에 하프 타임 리듬이 들어간거다.[* 처음에 2분의 2박자라고 되어있었다. EDM 위키의 본거지 영어 위키에서는 2분의 2박자와 4분의 4박자 하프 타임을 혼동하지 말라고 되어있음.] 이쪽은 UK 개러지로 불리는 일은 거의 없고 보통 투스텝으로 불리며, 투스텝 개러지로 진화/흡수되었다고 할 수 있다. [[덥스텝]]의 모체가 된 장르. ===== [[덥스텝]] ===== 위의 투 스텝 개러지에서 분화되어 덥 음악의 요소가 얹어지고 베이스가 강화되고 깊어진 느낌으로 발전하였다. 재미있는 점은 덥스텝과 UK 개러지의 연결고리가 거의 없다. 본문 참조. ===== 퓨처 개러지 (파생) ===== Future Garage. [[앰비언트]] 및 [[다운템포]]의 영향을 받아 몽환적인 분위기를 내는 것이 특징이다. BPM은 130~140에 리듬은 투 스텝 개러지와 비슷하다. [[퓨처 베이스]] 문서도 참조. * [[https://www.youtube.com/watch?v=V-gGLTPxEhE|Skrillex, Porter Robinson, & Bibi Bourelly - Still Here (with the ones that i came with)]] ==== 스피드 개러지 ==== Speed Garage. 2000년대 중후반 레이브 파티에서 등장한 개러지이다. 140BPM 정도의 빠른 속도를 가지며 UK 개러지의 베이스에서 파생된 특유의 베이스 소리가 있다. [youtube(FzXwLbPk4HU)] [[https://www.youtube.com/watch?v=uR3Vw8J8vUo|Double 99 - RIP Groove]] [[https://www.youtube.com/watch?v=NYFrFq3AOuI|Sammy Virji - Shapes (Oh Will)]] [[https://www.youtube.com/watch?v=ntq9R-CI5zg|SNEAKER PIMPS - SPIN SPIN SUGAR (Armand's Dark Garage Mix)]] ===== 베이스라인 ===== Bassline. 스피드 개러지에서 파생되어 베이스 중심적인 리드를 사용한 장르로 다른 개러지에 비해 정돈된 비트와 하우스의 영향이 조금 더 돋보이는 편이다. 속도는 범위가 넓은 편이지만 대개 130~140BPM 사이이다. 베이스라인만의 상징적인 FM 베이스 소리가 있다. [youtube(XoNl_5fQmD0)] 초창기 베이스라인. 4x4라고도 한다. T2 - [[https://www.youtube.com/watch?v=w_Chrqwt-Hk|Heartbroken]] 베이스라인이 유행할 때 가장 히트를 친 곡. [[https://www.youtube.com/watch?v=AD7CT2pWI3s|TRC & Zoe - Lately]] [[https://www.youtube.com/watch?v=lwxeieRcmvY|TS7 x Bianca - Come On Over]] 현재의 베이스 라인[* 아래에서 설명할 현대 베이스라인 중 드물게 옛날 스타일에 가까운 경우도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HBF4XQq5VLQ|Bassboy & Bru-C - Definitely]] [[https://www.youtube.com/watch?v=lPlX_c5AGA0|Shaun Dean - Foolish VIP]] [[https://www.youtube.com/watch?v=aQ7Rt9wKPBg|Jay Faded - Dirt]] T2의 Heartbroken이 히트를 치고 2000년대 중후반에 유행했다. 이후 인기가 거의 없다시피 했으나 2010년 중후반 점프 업 [[드럼 앤 베이스]]와 베이스 [[하우스(음악)|하우스]]의 영향을 받은 새로운 스타일이 영국에서 급성장했다. 앞의 두 장르의 영향 때문에 [[브로스텝|스피드 개러지, 4x4의 모습은 점점 사라지고 베이스가 더 강렬하고 자극적으로 변했다]]. 동시에 일부 베이스 하우스도 UK 베이스 음악으로부터 영감을 얻는 추세로 둘의 경계가 모호해졌다. 당장 유튜브 음악 채널만 봐도 베이스 하우스에 베이스라인의 태그를 붙이는 경우가 있다. 용어에 대한 논쟁이 있는 편인데, 현대의 베이스라인과 과거의 4x4 베이스라인은 굉장히 차이나기 때문이다.[* 비교적 느린 128~135BPM이 대다수이고, 옆집 베이스 하우스으로부터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결정적으로 베이스의 음색이 많이 다르다.] 이쪽으로 잘 알려진 DJ들도 현대적 베이스라인을 베이스라인이라 부르지 않고 단순히 UK 베이스 음악이라고 부른다. 서브 장르가 아닌, 곡과 프로듀서들이 이끌어낸 새로운 스타일로 보는 것. 맨 아래 문단에 [[UK 베이스]] 문서가 있으므로 참고. DJ Zinc, DJ Q 등이 기반을 마련했다면, Chris Lorenzo, Holy Goof, Skepsis 등이 현대 UK 베이스 장르를 확립시키는데 기여했다고 볼 수 있다. Axel Boy의 경우 덥스텝을 만들던 실력을 바탕으로 속도가 빠른, 베이스 하우스 같은 자신만의 특유한 스타일을 만들었다. 현재 베이스라인은 기존 4x4에서 사용하던 FM 베이스를 똑같이 사용한 채로 현대화가 된 스타일과 UK 베이스라고 불려야 적당한 스타일이 공존한다. 전자는 종종 올드스쿨 베이스라인이라고 불린다. 현재 만들어지는 베이스라인은 대부분 후자에 속한다. UK 베이스 예시 [[https://www.youtube.com/watch?v=BITamZck04M|Notion - Dreams]] [[https://www.youtube.com/watch?v=JryD96dkr8E&list=PLnk-kvXqq0FzoglY3hzeVXsVeWV3tYHeI|Notion - Burning]] [[https://www.youtube.com/watch?v=_r11xcQGv5o|Macky Gee - Not That Guy (ft. Tempa T)]] [[https://www.youtube.com/watch?v=uferm_DdeTk|AC Slater - Come Thru (ft. Frisco)]] === [[UK 베이스]] === [[UK 베이스|본문 참조]] === 관련 문서 === * [[그라임]] * [[덥스텝]] ==== 관련 커뮤니티 ==== 관련 커뮤니티로는 dcinside UK개러지 마이너 갤러리가 있다. [[https://gall.dcinside.com/ukgarage]] == 영화 == [include(틀:레니 에이브러햄슨 감독 장편 연출 작품)] [youtube(i7YewrLyQoY)] [[분류:동음이의어]][[분류:록]][[분류:UK 개러지]][[분류:영국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