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파일:external/pds24.egloos.com/a0100309_4f62b5d0c7e66.jpg|width=300&height=200]] || ||<-3> '''[[개구리밥|{{{#black 개구리밥}}}]]'''[* 저 [[연꽃|커다란 거]] 말고 주변에 자잘한 것들이 개구리밥이다.] || ||<-2>Duckweed||이명 : '''부평초'''|| ||<-3> '''Spirodela polyrhiza''' (L.) Schleid || ||<|8> 분류 || || [[계]] ||'''식물계'''|| || [[문]] ||속씨식물문(Angiosperms)|| || [[강]] ||외떡잎식물강|| || [[목]] ||택사목|| || [[과]] ||천남성과|| || [[속]] ||개구리밥속|| || [[종]] ||'''개구리밥'''|| [목차] [clearfix] == 개요 == 개구리밥은 전 세계에 널리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이며 수생식물이다. == 생태 == 수생식물로 엽상체[* 개구리밥은 잎도, 줄기도 없고 잎과 비슷한 무언가에서 광합성을 한다]의 중심부에서 가는 [[뿌리]]를 [[물]] 위에 내리며 7~8월에 [[꽃]]이 피지만 너무 작아 보이지 않는다. 또한 [[겨울]]이 되면 가라앉아서 [[겨울잠|동면]] [[상태]]에 들어간다. 번식력이 굉장히 강해서 금방 숫자가 늘어난다. [[한자]]로는 부평초([[浮]][[萍]][[草]])라고 한다. 바람만 불어도 물 위를 이리저리 떠다니는 개구리밥의 모습에서 나온 [[관용구]]가 바로 '부평초 같은 [[인생]]'. 물 위에 떠다니는 삶을 위해서 모든 것을 극단적으로 퇴화시킨 식물이다. == 활용 == 아직 [[인간]]에게 딱히 큰 쓸모는 없으나 [[미래]]에는 [[양식업|양식]]을 통해 [[이산화 탄소]] [[감소]]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빨리 자라는데다가 [[게놈]]이 간단한 편이라 [[유전자]] 조작이 쉽기 때문이다. 그리고 [[수질]]을 [[정화]]하는 [[기능]]이 있고[* 사실 수질정화기능은 비단 개구리밥 뿐만이 아니라 수생식물, 수중식물 전반적으로 가진 능력이다. 자라나면서 양분을 필요로 하는데 그 양분이 대개가 수생동물들이 배출하는 [[노폐물]]에서 비롯되기 때문이다.][* 수중생물이 발생시키는 노폐물의 암모니아는 박테리아가 암모니아 -> 아질산염 -> 질산염으로 산화시키고, 이 질산염을 수생식물이 비료로 사용하여 물 속의 질산염을 감소시킨다.], 개구리밥 자체는 [[단백질]]과 [[지방(화학)|지방]]이 풍부해 [[사료]]나 [[비료]]로 쓸 수 있기 때문에 이쪽으로 [[연구]]하는 경우도 있다. [[수경재배#s-3|아쿠아포닉]]이라던가. [[건조]] 후 갈아서 닭 [[사료]] 등에 섞을 수 있다고 한다. 별 가공 없이 생으로 줘도 닭이 환장하며 먹는 영상도 유튜브 등에서 볼 수 있다. 오리도 정말 잘 먹으며, 영어로도 duckweed이다. 그냥 놔둬도 물이랑 [[빛]]만 있으면 잘 자라는 [[식물]]이라 일부 [[생존주의]]자들은 개구리밥을 식량, 가축 사료로 사용한다. 그 외에는 생김새가 조그맣고 동글동글하다보니 꽤 귀여워서 이것 때문에 일부러 키우는 사람들도 있다. 사람이 먹을 수 있을 가능성도 보고 있는데, 단백질 함량이 자그마치 45%나 달하기 때문, 개구리밥으로 비건 [[단백질 보충제]]를 만들기도 한다. 개구리밥으로 불리는 것으로 좀개구리밥, [[물개구리밥]]이 있는데, 좀개구리밥은 가까운 [[친척]]이지만 물개구리밥은 [[양치식물]]로 완전히 다른 [[종]]이다.[* 찾아보면 생긴 것도 고사리 잎을 물에 띄워놓은 것처럼 생겼다.] == 어원 == 과거 논밭에서 흔히 볼 수 있었던 [[개구리]]가 나올 때마다 개구리밥이 입가에 붙어있는 경우가 자주 있었기에 조상들은 개구리의 주식이라 생각해서 개구리밥이라고 붙여졌다.[* 물론 말의 어원이 모두 그렇듯이 정확하진 않다.] 하지만 실제로 개구리는 곤충을 먹는 육식성 동물이라 실수로 입에 조금 들어갈수는 있어도 개구리밥을 먹지는 않지만, 잡식성인 [[올챙이]]라면 좀 먹을지도 모르는 일이다.[* 다만 먹으면 올챙이의 주식일 가능성이 크다. 왜냐하면 개구리밥은 전 세계에 분포하고 있어 양이 많기 때문이다.] [[분류:개구리밥속]][[분류:풀]][[분류:모델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