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산성)] ||<-5>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30&height=30]] '''{{{#ffffff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 || || 29호 ||<|2> ← || '''30호''' ||<|2> → || 32호[* 31호 [[강화성당|성공회강화성당]]을 [[문화재청]]에서 2001년 4월 9일 사적 424호로 승격시키면서 해제했다.] || || 보문사마애석불좌상 || '''강화석수문''' || 심즙 신도비 || ---- ||<-2>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28]] '''{{{#ffffff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30호}}}''' || ||<-2> {{{#fff {{{+1 '''강화 석수문'''}}}[br]{{{-1 江華 石水門}}}}}} || ||<-2>{{{#!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include(틀:지도, 장소=강화석수문, 너비=100%, 높이=100%)]}}}|| || '''{{{#fff 소재지}}}''' ||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국화리 883-1 || || '''{{{#fff 분류}}}''' || 유적건조물 / 교통통신 / 교통 / 교량 || || '''{{{#fff 수량 / 면적}}}''' || 1기 / 77.5㎡ || || '''{{{#fff 지정연도}}}''' || [[1995년]] [[3월 2일]] || || '''{{{#fff 소유자(소유단체)}}}''' || 국([[문화재청]]) || || '''{{{#fff 관리자(관리단체)}}}''' || [[인천광역시]] [[강화군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석수문.jpg|width=100%]]}}} || || {{{#fff '''강화석수문'''}}} || [목차] [clearfix] == 개요 ==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신문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수문.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30호이다. [[강화산성]] 서문의 내성과 이어져 강화읍으로 흐르는 강인 동락천을 가로지르는 수문으로, 1711년([[숙종(조선)|숙종]] 37년)에 축조했다. 3개의 [[무지개]] 모양으로 한 홍예문으로, 재질은 [[화강암]]이다. 1910년부터는 갑곳리 동락천 입구의 다리가 되었다가 1972년에 하수문 자리로 옮긴 것을 1992년에 현재 자리로 다시 옮겼다. == 기타 == 강화석수문 근처에는 일본과 조선의 [[강화도 조약|첫 근대 조약]]을 체결한 연무당의 터가 있다. 또한 강화산성 서문이 있으며 석수문에서 올라갈수 있게 성곽이 이어져 있는데 강화 남장대- 강화산성 남문으로 이어진다. 남문 - 서문은 이어져 있고 서문 - 북문 구간으로 가는 길은 끊겼다. 동문은 고립되어 있다. [[분류: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분류:산성]][[분류:조선/건축]][[분류:강화군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