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의 야구선수, rd1=강한울(야구선수))] ||<-2> '''{{{#white 前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KES_May.jpg|width=100%]]}}} || ||<-2> '''{{{+1 May}}}[* 前 SixTail][br]강한울 (Kang Han-wool) ''' || || '''출생''' || [[1992년]] [[11월 7일]] ([age(1992-11-07)]세) || || '''국적'''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대한민국]] || || '''포지션''' ||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svg|height=25]] [[탑(리그 오브 레전드)|탑]][* 2011 WCG 선발전과 WCG 당시엔 탑과 서포터로 경기를 뛰었다.] || || '''소속''' || [[나진 e-mFire/리그 오브 레전드|EDG]] (2011.??.??~2011.??.??) [[Xenics|[[파일:/mtasp/gamemeca/2012/2012022215412600020_img1.jpg|width=30]] Xenics Storm]] (2012.02.21~2012.11.12) [[Team OP|[[파일:Team_OPlogo_square.png|width=30]] Team OP]] (2012.11.12~2013.01.??) [[진에어 그린윙스/리그 오브 레전드|[[파일:진에어 그린윙스 로고.png|width=30]] 진에어 그린윙스]] (2015.06.04~2015.07.??)[* 숙소 합류는 그 이전부터 한 것으로 보이나 공식 발표일을 기준으로 함] [[Hong Kong Attitude|[[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HKES_logo.png|width=30]]Hong Kong Esports]] (2015.07.17~2015.08.18)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1332126451_1.jpg|width=100%]]}}} || || {{{#white '''Kang "May" Han-wool'''}}}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본래는 EDG(現 나진 엠파이어)소속으로 서포터였지만 다른 포지션을 원해서 팀을 탈퇴한 후에 제닉스 스톰 및 윈터 시즌 Team OP 소속으로 활동했었던 전 탑 라이너. [[컨디션 헛개수 NLB Winter 2012-2013]]를 끝으로 은퇴를 선언했다 [[https://www.facebook.com/#!/photo.php?fbid=181994598641671&set=pcb.181994645308333&type=1&theater|서포터 시절의 모습]]과 탑으로 활동할 시기의 모습이 확연하게 차이가 나지만 은퇴하고 인지도가 폭삭 떨어져서 이제는 관심 밖. 그런데 2015년 6월 14일자 아주부 방송에서 진에어 팀 이름을 달고 아주부 방송을 시작하면서 진에어로 들어간것이 확인되었다. 현재는 잊혀진 1세대 롤 프로게이머이지만, 롤 프로게이머 중에서 프로 활동 중에 군입대로 인해 프로 생활을 중단한 후, 전역하자 복귀한 최초의 선수라는 기록을 가지고 있다.[* 단순히 전역 후에 프로 데뷔를 한 선수라면 1~2세대 프로게이머 중에는 넘쳐나고 최근에는 [[Liiv SANDBOX/리그 오브 레전드|리브 샌드박스]]의 [[조재읍|조커]]와 [[DWG KIA/리그 오브 레전드|DWG KIA]]의 [[윤설(프로게이머)|바이블]]이 있지만 이들은 군대 내에서/전역 후에 롤을 알게 된 케이스이므로 메이와는 다르다.][* 해외에서는 그리스의 [[콘스탄티노스 초치우|포기븐]]이 이런 케이스이다.] 최근 프로게이머의 연령대가 낮아지면서 군 입대 = 프로 은퇴나 다름 없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고, 군 복무기간이 1년 6개월인 한국에서는 더더욱 이런 경향이 심한 만큼, 한국 내 롤판에서는 유일한 사례로 남을 가능성이 높아 보였으나, 2022년 군 전역 후 코치로 활동하다가 현역 복귀를 선언 후 실제로 경기에도 출전한 [[신우영|세라프]]의 등장으로 유일한 사례는 아니게 되었다. == 선수 경력 == 과거에는 [[전호진|라일락]], [[장건웅|건웅]], [[윤하운|막눈]]과 함께 국내 최고급 탑솔러로 꼽혔다. 보통 라일락을 탑솔 최고로 꼽고, 그 바로 아래에 메이와 건웅을 꼽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2012년 10월 지금은 막눈과 위에 거론되지 않았지만 [[복한규|래퍼드]]에게 밀리고 있다. 이건 그의 기량 하락이라기 보단 제닉스 스톰 팀 자체의 문제. 2012년 11월 12일 스폰서인 제닉스와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계약 해지 하였다. 그리고 구 제닉스 스톰 멤버들과 함께 Team OP[* 스프링 때의 [[Team OP]]와는 다르다. 이 때의 멤버는 이 때 당시에도 [[Team OP]] 소속이었던 [[이상정(프로게이머)|콘샐러드]], [[이현진(프로게이머)|놀자]]와 [[Incredible Miracle/리그 오브 레전드|LG-IM]]의 [[전호진|라일락]], [[최현일(프로게이머)|파라곤]], 그리고 프로로 진항하지 않은 아샤트가 있었다. 다만 [[김승민(프로게이머)|매니리즌]]은 이전 [[Team OP]]의 길드원이었다.] [[OLYMPUS the Champions Winter 2012-2013]]를 진행했으나 A조 6위를 기록하며 [[컨디션 헛개수 NLB Winter 2012-2013]]로 내려갔으나 템페스트였던 신 [[제닉스 스톰]]을 만나 패배한다. 2013년 6월 도수 방송에 들어온 [[김남훈(프로게이머)|훈]]의 말에 따르면 군대를 갔다고 한다. 2015년 3월 2일자로 전역을 했으며 전역 후 순식간에 솔랭 챌린저를 달성했다.~~그리고 메이가 군생활을 할 동안 게임만 했는데 챌린저를 못 다는 라일락 지못미~~ [[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3866&l=3182147|#]] 전역날짜를 기준으로 학원에 다니며 공부에 전념한다고 한다. 또한 프로게이머는 다시 할 생각이 없다고 한다고 했는데... 2015년 5월 25일, [[강형우|캡틴잭]]의 아주부 스트리밍에서 [[진에어 그린윙스/리그 오브 레전드|진에어]] 숙소에 있는 것이 캠에 잡혔다. 다만 아직 상세한 것은 불명이다. 그리고 6월 14일자로 아주부 방송을 시작하면서 진에어소속으로 방송을 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기존의 탑 서브인 하늘 선수를 제치고 [[2015 네네치킨 LoL Challengers Korea Summer League 2|챌린저스 리그 2]]에 진에어의 탑솔러로 등장하면서 완전히 복귀했다. 그러나 롤챔스 1라운드 종료 이후 월드 챔피언쉽 진출을 위해 진에어를 나가서 LMS에 소속된 홍콩 e스포츠에 들어갔다.[[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e_sports&ctg=news&mod=read&office_id=347&article_id=0000074778|기사]] == 기타 == 원래는 정신나간 [[아칼리]] 장인으로 유명했으나 대회에서 쓸 픽이 안 돼서 다른 탑솔 챔프로 밀고 있다. 아이디 May는 5월이란 의미이다. ~~추측의 그 may가 아니다. 근데 정작 본인의 생일은 11월인게 함정.~~ [[파일:attachment/01_16.jpg]] 롤 인벤에서 한 [[이상정(프로게이머)|콘샐러드]]의 댓글 인터뷰에서 메이는 흥미를 잃어서 롤을 접었다고 한다. [[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3182&l=5067|*]] 다만 4월 1일에 아프리카에서 롤 방송을 재개하는 등 마음을 추스리고 다시 게임은 하는 듯 싶다. qwer을 즉시시전, zxcv를 타겟팅으로 두고 스킬을 사용한다고 한다. 제닉스 스톰 시절 죽어도 서폿 못하겠다고 해서 정언영이 서포터로 가게 되었다고 한다. [[https://imgur.com/a/4JNKcEq|#]]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리그 오브 레전드]][[분류:진에어 그린윙스/리그 오브 레전드/이적 및 은퇴]][[분류:1992년 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