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include(틀: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include(틀:역대 북한 중앙재판소장)]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02D09, #602D09)" {{{#FFF '''14기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부위원장[br]{{{+1 강윤석}}}[br]姜潤石 | Kang Yun Sok'''}}}}}}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PA 상임부위원장 강윤석(1).jpg|width=100%]]}}} || || '''소속 정당''' ||[include(틀:조선로동당)] || || '''선거구''' ||[[황해북도]] [[사리원시]] 선경선거구 (제368호) || [목차] [clearfix] == 개요 == 북한의 정치가, 법조인. == 생애 == 김정일 시기 중엽부터 김정일을 찬양하는 북한 법조계 인사로 모습을 드러내며 각종 토론회에 참석했다. 김일성종합대학 법대의 부학부장을 맡아 교편을 잡기도 했다. 2014년 9월 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66주년 중앙보고대회에 참가했다. 김정은 시기 중엽에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부장에 임명되었다. 2016년 5월 7차 당대회에서 중앙위원회 후보위원에 선출되었고, 2016년 6월 최고인민회의 13기 4차 회의에서 [[박명철]]의 뒤를 이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앙재판소|중앙재판소장]] 겸 법제위원에 보선되었다. 이를 보아서 13기 대의원에도 보선되었다. 2017년 중앙재판소 대표단 단장으로 러시아를 방문하였으며 2018년 10월 답방한 러시아 연방최고재판소 소장 뱌체슬라프 레베데프와 회담했다. 2019년 3월 14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에 재선, 4월 10일,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제7기 제4차 전원회의]]에서 당중앙위원회 위원으로 승진하였다. 4월 11일, 최고인민회의 14기 1차 회의에서 중앙재판소장에 유임되었다. 이후 2019년 5월 중앙재판소 대표단 단장으로 라오스, 베트남을 방문했으며 7월에 중국을 방문했다. 2020년 10월 10일, 조선로동당 창건 75돐 열병식에 참석했다. 2021년 1월 8차 당대회가 개최되자 대회집행부에 선출되었으며 대회 결과 중앙위원회 위원에 선출되었으며 1월 10일,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제8기 제1차 전원회의]]에서 당중앙검사위원회 위원에 선출되었으며 1월 14일, [[조선로동당 제8차대회]] 기념 열병식에 참가했다. 2021년 7월 1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14기 15차 전원회의에 참가했다. 2021년 9월에 열린 최고인민회의 14기 5차 회의에서 상임위원회 부위원장 [[태형철]]이 정치국 위원 겸 비서로 당무에 집중해기 때문에 부위원장에서 소환되자 중앙재판소장에서 소환되어 후임 부위원장에 선출되었다. 상임위원회로 조동되면서 법제위원 및 당중앙검사위원에서는 소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우연일 수도 있으나 최고검찰소장인 [[우상철]]이 정치국 후보위원으로 약진하고 있으며 규률조사부장 [[박태덕]], 법무부장 [[김형식(북한)]] 등 법률 관련 엘리트들이 중용되고 있는 김정은의 8차 당대회 이후 선택과 무관하지 않을 수도 있다. 2021년 10월,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부위원장 자격으로 17차 상임위원회 전원회의에 참석하였다. 2022년 2월 6일부터 7일 사이에 개최된 최고인민회의 14기 6차 회의에서 3,4번째 의정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육아법을 채택,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해외동포권익옹호법을 채택의 보고를 맡았다. 그 이후, 2022년 3월 10일, 대외경제상 [[윤정호(북한)|윤정호]]랑 함께 시리아 대사 술레이만과 작별담화를 하였다. 2022년 5월, [[현철해]] 장의위원을 지냈다. 2022년 6월, 8기 6중전회에서 검사위원회 인선이 있었는데 이때 검사위원에서 정식으로 소환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2022년 8월 7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14기 21차 전원회의에 참석하였다. 9월 7일, 최고인민회의 14기 7차 회의 주석단에 포함되었으며 첫째 의정과 둘째 의정을 보고했다. 10월 8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14기 22차 전원회의에 참석하였다. 10월 10일, 금수산태양궁전을 참배했다. 10월 25일, 중앙위 부부장 [[문성혁(북한)|문성혁]], 국방성 부상 김민섭 중장, 외무성 부상 박명호, 사회안전성 부상 [[김인철(군인)|김인철]]과 함께 중국의 6.25 전쟁 참전 72주년을 기념하여 우의탑에 화환을 진정하였다. 12월 2일, [[리일환]], [[김성룡(북한)|김성룡]] 부총리, 문성혁 부부장, 국방성 부상 김민섭 중장, 외무성 부상 박명호, 사회안전성 부상 [[김인철(군인)|김인철]], 대외문화련락위원회 부위원장 박경일, 평양시 인민위원회 부위원장 홍금철과 함께 [[장쩌민]]의 사망을 추모하기 위해 중국 대사관을 조의방문했다. 12월 26일, 사회주의 헌법 제정 50주년 기념보고회 주석단에 포함되었으며,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제8기 제6차 전원회의 확대회의]]에 참석했다. 2023년 1월 17일부터 1월 18일 사이에 열린 최고인민회의 14기 8차 회의에 참석, 3번 의정인 평양문화어 보호법 채택에 관하여 보고하였다. 2월,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제8기 제7차 전원회의 확대회의]]에 참석했다. 4월 11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14기 25차 전원회의에 참석했다. 5월 1일, 노동절 기념 《금속공업부문 로동자체육경기-2023》 결승경기에 참석했다. 5월 19일, 현철해 서거 1돐 추모대회에 참석했다. 6월 2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14기 26차 전원회의에 참석했다. 6월,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제8기 제8차 전원회의 확대회의]]에 참석, 최룡해와 함께 협의회를 지도했다. 7월 11일, 조중동맹 62주년 중국대사관 연회에 참석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W020230712412434075473.jpg|width=100%]]}}}|| || 2023년 7월 11일, 중국대사관 연회에 참석한 강윤석 || 7월 25일, 김덕훈, 박태성, 리창대, 조춘룡과 함께 조국해방전쟁참전렬사묘를 참배했다. 7월 26일, 최룡해, 김성남과 함께 방북한 리훙중 전국인대 상무위원회 부위원장을 환영하는 연회에 참석했다. 7월 27일, 조국해방전쟁승리 70돐경축 대공연에 참석했다. 최룡해와 함께 8월 20일부터 27일 사이에 진행된 《전국준법교양자료전시회-2023》을 참관했다. 8월 30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14기 27차 전원회의에 참석했다. 8월 31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창건 75돐기념 중앙연구토론회에서 발표를 하였다. 9.9절 열병식에 참석했다. 9월 19일, 김정은 귀국환영식에 참석했다. 9월 27일, 최고인민회의 14기 9차 회의에 참석하여 주요 의정에 대한 보고를 맡았다. 9월 28일, 중국대사관에서 베푼 중화인민공화국 창건 74주년 연회에 문석형 부부장, 박명호 외무성 부상, 조중친선협회 위원장 겸 대외문화련락위원회 부위원장 박경일과 함께 참석, 연설을 하였다. 10월 10일, 조선로동당창건 78돐경축 남자배구경기를 관람했다. 10월 19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제14기 제28차전원회의에 참석했으며, 지방인민회의 선거를 위한 중앙선거지도위원장에 위촉되었다. 10월 25일, 중공군 참전 73주년을 기념하여 왕야쥔 중국대사와 함께 우의탑에 화환을 진정했다. == 경력 == ||<#FF0000> {{{#ffffff '''임기시작'''}}} ||<#FF0000> {{{#ffffff '''임기종료'''}}} ||<#FF0000> {{{#ffffff '''비고'''}}} || ||<-3>'''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앙재판소장''' || || 2016년 6월 29일 || 2021년 9월 29일 ||최고인민회의 13기 4차 회의에서 임명[br]최고인민회의 14기 1차 회의에서 재선[br]최고인민회의 14기 5차 회의에서 조동 || ||<-3>'''13, 14기 최고인민회의 법제위원회 위원''' || || 2016년 6월 29일 || 2021년 9월 29일 ||최고인민회의 13기 4차 회의에서 임명[br]최고인민회의 14기 1차 회의에서 재선[br]최고인민회의 14기 5차 회의에서 조동 || ||<-3>'''조선로동당 8기 중앙검사위원회 위원''' || || 2021년 1월 10일 || 2022년 6월 8일? ||8차 당대회에서 선거[BR]8기 6중전회에서 소환 추정 || ||<-3>'''14기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부위원장''' || || 2021년 9월 29일 || 재임 중 ||최고인민회의 14기 5차 회의에서 선출 || == 참고문헌 == * 통일부 정세분석국 정치군사분석과, 『2020 북한 주요인사 인물정보』(서울: 통일부, 2020) [[분류:북한 중앙재판소장]] [[분류:조선로동당 7기 중앙위원회 후보위원]] [[분류:조선로동당 7기 중앙위원회 위원]] [[분류:조선로동당 8기 중앙위원회 위원]] [[분류:조선로동당 8기 중앙검사위원회 위원]] [[분류: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부위원장]] [[분류:13기 최고인민회의 법제위원회 위원]] [[분류:14기 최고인민회의 법제위원회 위원]] [[분류:14기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